• 제목/요약/키워드: Multicultural Groups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4초

국내 패션잡지에 나타난 민족적 요소의 하이브리드 경향 (Hybridization of Ethnic-Cultural Elements Shown in Domestic Fashion Magazines)

  • 김선영
    • 복식
    • /
    • 제61권8호
    • /
    • pp.45-56
    • /
    • 2011
  • This study is about the features of hybridization of ethnic-cultural elements in Korean fashion magazines. Its purpose was to embody more creative and newer images in fashion by promoting better mutual understanding of foreign cultures and addressing the issues of fashion design from multicultural perspectives. In doing so,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and analyzed a total of 130 photographic images with any hybrid ethic element from two Korean fashion magazines, Vogue Korea and Harper's Bazaar Korea, issued between 2005 and 2009.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ere 66 images(50.8%) with a mixture of two different cultures and 64 images(49.2%) with a mixture of three or more different cultures. As seen from the results, the two categories had a similar number of cases. In regional terms, the use of two different cultural elements included a mixture of Asian and Western cultures in 32 images(24.6%), a mixture of Western and African, Middle Eastern or Latin American cultures in 23(17.7%), and a mixture of Western and Russian or European folk cultures in 11(8.5%). In the use of three or more different cultural/national elements, the present study found a mixture of Asian, African, Middle Eastern, Latin American and Western costume items in 20 photo images(15.4%), a mixture of African, Middle Eastern and Latin American elements plus Western costume items in 19 images( 14.6%), a mixture of all regional cultures in 13 photos(10%), and a mixture of Asian ethic cultures plus Western costume items in 12 cases(9.2%).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indicated that the hybridization of ethnic-culture elements in Korean fashion magazines consisted of diverse clothing and accessories from various ethnic groups. The expression of these multi-cultural hybrid images that consists background images and models from different cultures well-portrayed the multi-cultural elements based on total coordination and broke the stereotypical aspects of styling.

Experiences in Sport, Physical Activity, and Physical Education Among Christian, Buddhist, and Hindu Asian Adolescent Girls

  • Araki, Kaori;Kodani, Iku;Gupta, Nidhi;Gill, Diane L.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6권sup1호
    • /
    • pp.43-49
    • /
    • 2013
  • Multicultural scholarship in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should help us understand and apply cultural competencies for all to be physically active. In the present study, two Asian countries, Japan and Singapore, were chosen. The participation rate for physical activities among adolescent girls tends to be lower than that of boys in both countries. Thus, the purpose of the project was to gain knowledge and understanding about sociocultural factors that may explain adolescent girls' perceptions and behaviors toward sport, physical activity, and physical education (PE). A qualitative approach us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focus groups was used to understand meanings of physical activity among Buddhist Japanese, and Hindu Indians and Christian Chinese from Singapore. Each focus group consisted of four or five girls and female researchers. Based on the analysis, we created four themes which were "cultural identities", "Asian girls and sport/physical activities", "PE experiences", "motivation for future involvement". The Buddhist Japanese, Hindu Indian, and Christian Chinese participants each reported unique physical activity experiences, and all the participants were aware of how Asian culture may affect being physically active. Experiences of PE classes were similar but perceptions of their PE attire were different for Christian Chinese and Hindu Indian adolescent girls. Based on the results, the importance of nurturing cultural competencies and ways to encourage girls to be physically active throughout life were discussed.

결혼이주여성과 일반기혼여성 우울 비교 연구: 충남 소재 A군 거주자를 중심으로 (Comparison of depression between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Korean married women living in A town, Korea)

  • 김연수;이수진;백경원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1-75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level of depression and the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among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Korean married women living in A town.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women living in A town. Marriage immigrant women were purposively sampled subjects who visited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and conducted 1:1 face-to-face interviews. Korean married women were randomly sampled and conducted an online survey due to COVID 19. The final analysis subjects were 115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186 Korean married women.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mean comparison(t-test, ANOVA), correlation anaylsis(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27.0.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epression levels measured using the CES-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pression levels between the two group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Korean married women Results: Th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on depression of marriage immigrant women were age(p<.01), religious status(p<.01), period of residence in Korea(p<.1), husband's job (p<.05), subjective health status(p<.1), experience of domestic violence(p<.01), and family relationships(p<.05) and th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on depression of Korean married women were subjective health status(p<.01), age difference with husband(p<.05), experience of domestic violence(p<.05), and family relationship (p<.001).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program for mental health promotion was proposed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Korean married women in community.

소외 계층 학생들의 과학 학습 유형 (Minority Students' Learning Patterns in Science Class)

  • 신동희;김설희;이지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29-141
    • /
    • 2019
  • 다문화, 탈북, 저소득층 등의 소외 계층 학생들이 증가하면서 그들의 학습을 돕기 위한 많은 연구가 과학 교육에서도 필요하다. 소외계층 학생들의 다양한 성장 배경과 학습 환경으로 인해 집단 전체 특성보다는 집단 내 개인 특성의 차이가 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외 계층 학생 7명을 대상으로 약 50시간 동안의 과학 수업을 하고 수업 관찰과 면담을 통해 그들의 과학 학습의 특성을 파악하여 범주화했다. 7명의 소외 계층 학생들은 5개의 다른 학습 특성을 보였고 이에 따라 '과학에 빠져있다', '과학을 안다고 생각한다', '과학을 알고 싶다', '과학을 알 필요가 있다', '무엇을 원하는지 모른다' 등 5개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그들이 경험한 과학 활동이 교육적으로 모두 우수한 수준을 갖춘 것은 아니었지만, 과학 활동 경험만으로도 그들의 과학 학습 흥미와 욕구는 커졌다. 공적 제도 하에서만 과학 학습 경험이 가능한 이들 소외 계층 학생들에게 더 풍부한 과학 활동 경험과 교육 기회를 제공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중국 가정교육지도 서비스에 관한 문헌고찰 (A Literature Review on the Development of the Family Education Guidance Service in China)

  • 모효설;진미정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1권3호
    • /
    • pp.415-427
    • /
    • 2023
  • The Family Education Guidance Service is a public service developed by the government to give guidance and service to parents on educating their children in China. Recently, the service has attracted increasing attention from scholars, as well as from the Chinese Government. To assess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on the Family Education Guidance Service, this paper firstly introduces the policy history and clarifies the definition of the Family Education Guidance Service and other relevant terms used in China. It then presents a review of studies on the Family Education Guidance Service published in journals with high-grade ratings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current research in terms of year of publication, author affiliations, research themes, research methods, and target groups. Based on these, it makes suggestions for future development. Overall, 43 papers are reviewed, the findings of which reveal that related research is at the beginning of an upswing. Most authors belong to education colleges and law colleges of universities. The themes studied most often are the strategy exploration and legal construction of the Family Education Guidance Service. The parents of primary- and middle-school students are the most commonly studied group, followed by schoolteachers. The results indicate that despite the growing number of publications, research in this field is still in its early stages and many aspects require further exploration.

'월엄범오위'의 사례에 나타난 전통적 천문관에 관한 판단 유형: 4개 집단간 비교 연구 (Patterns of Reasoning Regarding the Korean Traditional Interpretation of Planet Occultation by the Moon: A Comparative Study among Four Groups)

  • 오필석;최승언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98-407
    • /
    • 2000
  • 월엄범오위(月掩犯五緯)의 사례에 나타난 전통적인 천문관(天文觀)에 관하여 중학생(164명), 고등학생(157명), 대학생(172명) 및 일반인(139명)의 판단 유형과 판단 이유를 조사, 비교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 월엄범오위에 대한 전통적인 해석 방식에 동의하는 응답자들이 15.7%, 동의하지 않는 응답자들이 38.1%, 분명히 말할 수 없다는 응답자들이 46.2%이었다.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대학생들이 전통적인 천문관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하여 과학적으로 옳은 판단을 내린 반면, 그와 같이 판단한 중학생들의 비율이 가장 적었다. 둘째 , 전통적인 천문관을 판단하는 데에는, 응답자들의 집단이나 판단 유형과는 관계없이, 자연관과 과학관이 공통적으로 중요한 판단 이유가 되었다. 특히, 우리 나라의 전통적인 자연관과 유사한 관념을 지니고 있는 응답자들이 많았으며,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다수의 경험적 자료와 실험을 통한 증명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셋째, 고등학생들과 대학생들이 다른 집단에 비해 자연관이나 과학관과 같은 형이상학적인 믿음을 더욱 중요하게 고려하는 반면, 중학생들과 일반인들은 자신들의 개인적 경험을 상대적으로 보다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넷째, 응답자들의 사회적 경험과 과학 지식 또한 전통적인 천문관을 판단하는 중요한 이유가 되었다. 하지만, 응답자들의 과학 지식의 차이가 판단 과정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론들은 개인의 사고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다양하며, 그들이 속한 집단이 공유하고 있는 사고의 방식 또한 서로 다르다는 것을 잘 말해 준다. 따라서, 다문화적인 환경을 고려한 과학 교육과 연구가 필요하다. 또, 학생들의 자연관과 과학관과 같은 형이상학적인 믿음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 PDF

숲교육(숲활동)에 대한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지식개념 연구 (A Study of Forest Education Concept Mapping of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 이연선;견주연;이시은;이소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9-49
    • /
    • 2014
  • 본 연구는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숲교육'에 대한 교사의 지식 내용과 수준을 분석하여 그들의 현 지식수준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숲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사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해보고자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B시에 소재한 유아교사 39명과 3, 4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60명, 총 99명을 대상으로 상위개념의 수, 내용요소에 따른 수, 종속 개념의 수, 특성, 위계, 밀도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 모두 '숲교육'에서 '자연(숲)'의 개념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숲교육'에 대한 상위개념에서 종속개념은 '생명', 위계는 '치유'와 '생명', 특성화 점수는 '숲 체험'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밀도는 1.00에서 4.80의 범위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숲교육'에 대한 상위개념에서 종속개념은 '자연(숲)', 위계는 생명과 자연(숲), 특성점수는 '자연(숲)'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밀도는 1.00에서 6.78의 범위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숲교육'에 대한 교사의 지식과 지식수준의 문제점 진단 및 '숲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사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숲유치원의 올바른 정착을 위한 사전교육과 재교육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숲교육이 올바르게 실천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을 기대한다.

Association of Knowledge and Cultural Perceptions of Malaysian Women with Delay in Diagnosis and Treatment of Breast Cancer: a Systematic Review

  • Khan, Tahir Mehmood;Leong, Jamie Pik Yan;Ming, Long Chiau;Khan, Amer Hayat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3호
    • /
    • pp.5349-5357
    • /
    • 2015
  • Background: Breast cancer is the most common cancer and the leading cause of cancer mortality among women of all ethnic and age groups in Malaysia. Delay in seeking help for breast cancer symptoms is preventable and by identifying possible factors for delayed diagnosis, patient prognosis and survival rates could be improved. Objectives: This narrative review aimed to understand and evaluate the level of in-depth breast cancer knowledge in terms of clinical breast examination and breast self-examination, and other important aspects such as side-effects and risk factors in Malaysian females. Since Malaysia is multicultural, this review assessed social perceptions, cultural beliefs and help-seeking behaviour in respect to breast cancer among different ethnic groups, since these may impinge on efforts to 'avoid' the disease. Materials and Methods: A comprehensive literature search of seven databases was performed from December 2015 to January 2015. Screening of relevant published journals was also undertaken to identify available information related to the knowledge, perception and help-seeking behaviour of Malaysian women in relation to breast cancer. Results: A total of 42 articles were appraised and included in this review. Generally, women in Malaysia had good awareness of breast cancer and its screening tools, particularly breast self-examination, but only superficial in-depth knowledge about the disease. Women in rural areas had lower levels of knowledge than those in urban areas. It was also shown that books, magazines, brochures and television were among the most common sources of breast cancer information. Delay in presentation was attributed mainly to a negative social perception of the disease, poverty, cultural and religion practices, and a strong influenc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rather than a lack of knowledge. Conclusions: This review highlighted the need for an intensive and in-depth breast cancer education campaigns using media and community health programmes, even with the existing good awareness of breast cancer. This is essential in order to avoid misconceptions and to frame the correct mind-set about breast cancer among women in Malaysia. Socio-cultural differences and religious practice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by health care professionals when advising on breast cancer. Women need to be aware of the risk factors and symptoms of breast cancer so that early diagnosis can take place and the chances of survival improved.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부정정서, 심리적 안녕감 및 임파워먼트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Negative Emotion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mpowerment of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오옥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0권1호
    • /
    • pp.45-65
    • /
    • 2014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부정정서가 삶의 만족도에 이르는 과정에서 심리적 안녕감과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 것으로,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부정정서로 인한 삶의 만족도 저하를 완화시키기 위한 요인을 실증적으로 입증하고자 하였다. 추가적으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인구사회학적 속성에 따른 심리요인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있는 다문화가정 어머니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첫째, 부정 정서의 경우 연령, 결혼 연수, 본인의 최종학력에 따른 집단 간 차이가 발견되었으며 심리적 안녕감과 임파워먼트에 있어서도 연령, 결혼연수, 본인 및 배우자의 최종학력에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부정 정서, 심리적 안녕감, 임파워먼트가 삶의 만족도에 이르는 경로를 살펴본 결과 부정 정서-임파워먼트, 부정 정서-삶의 만족, 심리적 안녕감-삶의 만족도에 대한 경로효과가 발견되었다. 이는 부정 정서에 대한 적절한 대처가 심리적 안녕감, 임파워먼트 나아가 삶의 만족도라는 3가지 차원에 긍정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심리적 요인을 세부적으로 고찰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위 연구결과는 향후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을 위한 정책적 대안마련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고 본다.

  • PDF

배우자 직업 유무가 부부공평성, 부부갈등대처방식, 의사소통기술, 결혼만족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부부와 국제결혼부부의 비교- (Relationships among Marital Equity, Communication, Conflict-Coping Style and Marital Satisfaction in Korean Couples and International Couples)

  • 안현숙;변상해
    • 벤처창업연구
    • /
    • 제7권2호
    • /
    • pp.215-225
    • /
    • 2012
  • 본 연구는 배우자 직업 유무가 한국인부부와 국제결혼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과 관련변인인 부부공평성과 부부갈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여 행복한 결혼의 지속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며, 추후 연구에서는 국제결혼한 부부의 경우 한국에서 안정적인 직업을 갖추고 생활할 수 있도록 국제부부를 위한 중장기적인 정책 대안도 연계시켜 구체적인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연구결과 집단별 배우자 직업유무에 따른 결혼만족도는 국제결혼 부부 여자 집단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본국에 일정액의 송금을 하는 경우 결혼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부부공평성의 경우 국제결혼부부 여자집단의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남으로 가장 공평치 않음이 나타났으며, 집단별 부부갈등 대처방법은 본인 갈등개입의 경우 국제결혼부부 남자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인 순종 점수는 국제결혼부부 여자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성역할태도와 의사소통은 성역할 태도의 경우 의사소통에서 집단 간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배우자의 직업 유무, 의사소통, 배우자의 갈등개입, 본인의 긍정적 문제해결, 갈등에서 본인후퇴, 배우자 학력, 심리정서 공평성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