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storied structure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8초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기초물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for Basic Properity of Ultra High-strength Concrete)

  • 김지만;공민호;양동일;정상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논문 발표대회 제6권1호
    • /
    • pp.39-42
    • /
    • 2006
  • Recently, more highly effective construction materials are needed for the reasonable and economical structure system is required as the construction structures become more multi storied, large-sized and diversified. That is to say, the highly qualified concrete, the molt universal construction material is positively promoted as a part of plan to establish the effective space according to the dead load of structures and diminish of segment profile and to build up the economic structures. In particular, it is tendency of that the study for high strength concrete increases and construction example of reinforced concrete (RC) using the high strength concrete partially increases. However, the high strength concrete has the problems such high brittleness and low ductility. Specially, for the high strength concrete, it has different strength from normal concrete as the internal temperature goes up steadily due to high heat of hydration by the quantities of highly level of cement, so the concrete which is mixed with various scible materials is used. This study conducted a basic experiment to conclude an adequate selection of materials and to calculate an optimal mixing proportion of those materials to produce High-strength concrete. And also we conducted an experiment to find out basic properties of this concrete such as slump-flow, strength.

  • PDF

한옥의 면진기법 적용 방안에 대한 개념적 고찰 (Conceptual Application Schemes of Seismic Isolation Techniques to Hanok)

  • 박범수;김영민;허무원;이상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
    • /
    • 제36권1호
    • /
    • pp.137-146
    • /
    • 2020
  • In this study, various application schemes of seismic isolation system which can be applied to Hanok have been studied by analyzing its structural characteristics under seismic load. Structural stability of Hanok is more required against seismic load as Hanok becomes long-spanned and multi-storied. To meet this goal, it becomes necessary to study more advanced technology such as seismic isolation design as well as seismic control design and seismic resistant design suitable to Hanok. Seismic isolation systems have been successfully applied to RC and steel structures to improve structural performance during earthquakes. Based on these previous study, we proposed four application schemes of seismic isolation design suitable for Hanok and analyzed their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applicability to Hanok in conceptual level based on its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e proposed four schemes are base isolation method, ground isolation method, roof isolation method and intermediate-story isolation method.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was evaluated by performing boundary nonlinear dynamic analysis to the typical Hanok for the two types of isolation method, that is, ground isolation method and roof isolation metho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s produced good performance enough to be applied to Hanok.

북한 건축 전문매체 분석을 통한 살림집 계획 동향 (North Korean Housing Planning Trend through Analysis on North Korean Architectural Media)

  • 최상희
    • 토지주택연구
    • /
    • 제8권4호
    • /
    • pp.223-23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upply status and planning trend of North Korean housing through analysis on the North Korean architecture specialized media data. The flat composition is changing and the living room is becoming the center of the houses. Also, in the urban areas, the standard apartment type is four apartments in a row and the plan form is getting diversified into circle type, Y type, and irregular type. On the other hand, in the rural areas, two houses in a row and single house are typical and the change in planning scale and space structure are not substantial. Since the 2000s, design changes have been made to emphasize the third dimensional structure of buildings such as the elliptical houses and L-shaped houses. Furthermore, 8~10 households are located on one floor which leads to the tendency of the building enlargement. In terms of house size, a square concept was introduced to replace the initial 2~3 room concept and the basic module of the room planning the 3 room house based on $3m{\times}3m$. However, there seems to be no standard house size, and the house size may differ depending on the social classandregion. In the early 1980s, when there was focus on the apartment complex construction, the high-rise apartment buildings of 30~40 floors was planned. However, during the Pyongyang redevelopment project, apartments of more or less than 10 floors were built and row-houses of more or less than 4 floors were built. In terms of the complex scale, a lot of small complexes of around 300 households are emerging after 2010. The construction projects are mainly limited to specific regions such as Pyongyang and Samjiyeon, and also limited to specific classes such as the workers and soldiers initially and the scientists lately. In addition, living boundary composition and ancillary facilities for sufficient green area ratio securement and the people of North Korea are maintained consistently. In recent years, the specialized floor planning such as solar house and the house for the disabled people, framework houses for redevelopment business, and multi-storied house construction technology are also emerging.

신갈나무-전나무 천연(天然) 혼효임분(混淆林分)의 경신(更新) 및 무육방법(撫育方法) I. 임분구조(林分構造)와 작업종(作業種) (Regeneration and Tending Practices for Natural Mixed Stands of Quercus mongolica-Abies holophylla I. Stand Structure and Silvicultural System)

  • 신만용;임주훈;전영우;고영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1권1호
    • /
    • pp.21-29
    • /
    • 1992
  • 본(本) 연구(硏究)는 강원도(江原道) 인제군 기린면 진동리 소재(所在) 천연(天然) 혼효임분(混淆林分)의 구조(構造) 파악(把握)을 통하여 작업종(作業種) 결정(決定)을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제공(提供)하기 위하여 실행(實行)되었다 이를 위하여 대상(對象) 임분(林分)의 직경(直徑), 분포(分布), 수고(樹高) 분포(分布), 그리고 경급별(徑級別) 재적(材積) 분포(分布)가 분석(分析)되었고 이를 이용(利用)하여 택벌임(擇伐林)의 가능성(可能性)이 검토(檢討)되었다. 1. 직경(直徑) 분포(分布)는 전형적(典型的)인 택벌임(擇伐林)에서 볼 수 있는 지수감소형(指數減少型) 구조(構造)를 나타냈고 수고(樹高) 분포(分布)에서도 택벌림(擇伐林)으로 유도(誘導)될 수 있는 높은 가능성(可能性)을 보였는데 이는 이 대상(對象) 임분(林分)이 자생(自生) 천연림(天然林) 특유(特有)의 복층림(複層林) 구조(構造)를 소유(所有)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경급별(徑級別) 재적(材積) 분포(分布)에서는 택벌(擇伐) 임형(林型)에 이르지 못한 미성숙(未成熟) 구조(構造)를 보이고 있는데 그 이유(理由)는 30cm 이상(以上)의 경급(徑級)에서의 본수(本數)의 부족(不足)에 기인(起因)한 것으로 판단(判斷)된다. 이러한 구조상(構造上)의 부확실성(不確實性)은 앞으로의 연구에서 밝혀져야 하는데 특(特)히 직경(直徑)과 재적(材積) 생장율(生長率)의 추정(推定)에 의한 미래(未來) 임분(林分) 구조(構造)의 파악(把握)이 시급(時急)한 것으로 보인다.

  • PDF

한국 고리수의 역사와 원형기술의 복원 연구 (A Study on History and Archetype Technology of Goli-su in Korea)

  • 김영란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6권2호
    • /
    • pp.4-25
    • /
    • 2013
  • 고리수는 편결(編結)과 금속공예의 기술이 접목된 새로운 형식의 수법(繡法)이다. 실올끼리 고리를 서로 엮어가며 공간상(空間上)에서 들떠 있어 마치 투조(透彫)와 같은 느낌을 준다. 수놓은 천에는 금박(金箔)이나 금실과 같은 황금 재질을 삽입하여 화려한 광택을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고리수가 서구의 레이스워크(lacework) 공예와 그 형태 및 기법이 유사하면서도 가장 다른 점이다. 10세기 고려 초기, 강원도 월정사의 동자문수향갑낭(童子紋繡香匣囊)에서 고리수의 결구원(結構元) 무늬를 통해 초창기 자취를 발견할 수 있다. 조선 중기 왜란 시(1592, 선조 25년), 고리수 유물은 일본으로 약탈되어 '고려번(高麗幡)'이라고 불리며, 지금은 탁의(卓衣)의 형태로 개조되어 전한다. 19세기의 연대와 출처가 확실한 조선시대 궁수(宮繡) 베갯모에는 삼각무늬의 금박지(金箔紙)를 삽입하여 노란색 누에실을 엮어 짠 고리 감기수가 완벽하게 보존되어 있다. 고리수의 침법(針法)을 크게 분류하면, '고리수', '고리 감기수', '고리 새김수'의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10세기경 초기 단계에서 13세기까지 고리수는 여러 침법으로 변화하며 점차 2~3가지의 입체적인 색채를 사용하였다. 고리수는 중세 이후 서양에서 비약적 발전을 보이며 고귀한 수공예로 알려진 레이스 짜기와 유사한 결구원을 지녔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이미 10세기경 혹은 그 이전부터 편결과 금속공예가 접목된 복합적 공예 양식으로 탄생하여 천년 동안이나 그 수법(繡法)을 지속적으로 사용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에서 19세기 자수 베갯모에 고리수가 여전히 사용되고 있음을 밝혔다. 아울러 이러한 연구의 성과를 토대로 고리수의 원형기술을 복원했다. 그리고 '중요무형문화재 제80호' 기능보유자 한상수 자수장과 조선시대 고리수 유물들을 재현했다. 고리수 자수품은 편결과 금속공예의 황금세공기술이 자수공예와 접목하여 탄생된 전통과학기술의 복합적 산물(産物)이다. 이것을 계승과 창조의 새로운 방향으로 자수, 편결, 직조, 염색 등 기타 공예 관련 산업 분야에 확대 응용한다면, 의료(衣料)와 패션, 장식공예, 미술 디자인 등에 고급 부가가치의 신기술로 개발되어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공예기술과도 상호 보완된다면, 표현 영역의 확대와 더불어 다양한 예술적 조형미를 추구할 수 있어 우리의 삶에서 더욱 풍부한 미적 생활을 공유하게 되리라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