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cous granules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17초

한국산 노랑민달팽이(Limax flavus L.)의 표피상피세포와 점액형성세포에 관한 미세구조 및 조직화학적인 연구 (Ultrastructural and Histochemical Studies on the Epithelial Cells and Mucus-producing Cells of Korean Slug(Limax flavus L.))

  • 장남섭
    • Applied Microscopy
    • /
    • 제18권2호
    • /
    • pp.1-20
    • /
    • 1988
  • The species of the slug used in the experiment is Limax flavus L. For identifying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epidermis, granules and mucus-producing cell of this animal is examined with methylene blue-basic fuchsin double stain and PAS-alcian blue reagent. For the ultrastructural research of the epidermal free surface, the epitheial cell and the parenchymal cell are used wi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respectively. I . Epidermal tissue The epidermal tissue of the slug is observed being divided into the dorsal and the ventral side(toot pad) respectively. 1) Dorsal epidermal tissue The dorsal epidermis of the slug is constituted with the simple columnar epithelium and the microvilli are compacted on the epidermal free surface. Two different types of the secretory granules of the neutral and the acid mucus are observed between the epithelial cells, and the neutral mucous granules are highest electron-dense but the acid mucous granules are observed to be electron-lucent. 2) Foot epidermal tissue The Foot epidermis is formed with the taller simple columnar epithelium than the dorsal epidermis and these cells have both a large number of the microvilli and a few number of the large villi. The secretory granules of three different types, which are acid, neutral and mixed mucous granule of two different types are observed between the epithelial cells. The neutral mucous granules are highest electron dense but the acid mucous granules are observed to be electron-lucent. II . Mucous granule-producing cell and mucus-producing cells Seven different types of the granules-producing cell and the mucus-producing cells are observed between the parenchyma. 1) A-type of acid mucous granule-producing cell The electron-lucent granules are largely occupied in the cytoplasm of these cells and then the granules are surrounded by irregular membrane. These electron-lucent granules exhibit alcianophilia with PAS-alcian blue reaction, so these granules are certified to be acid mucopolysaccharide. 2) B-type of acid mucus-producing cell The nucleus and the cytoplasm of these cells are pushed by the acid mucus of the electron-lucent toward the cell membrane. This mucus has been confirmed to be the acid mucopolysaccharide with PAS-alcian blue reagent. 3) A-type of neutral mucous granule-producing cell These cells contain the electron-dense round granules with approximately $1{\mu}m$ in diameter, which exhibit strongly PAS-positive reaction. These granules are confirmed to be the neutral mucoplysaccharide. 4) B-type of neutral mucous granule-producing cell These cells contain two different types of electron dense granules and electron-lucent granules; The former exhibits to be strongly PAS-positive and the latter to have alcianophilia reaction respectively. 5) C-type of neutral mucus-producing cell These cells are similar to the shape and the size of the B-type of mucus-producing cell but these two different types of cells are stained with reversing properties to each other. The mucus of the C-type cell that electron-lucent is largely occupied in the cytoplasm that exhibits strongly PAS-positive reaction. 6) D-type of neutral mucous granule-producing cell These cells contain round granules about $1{\mu}m$ in size which are observed to be medium electron-dense granules and those granules are stained brightly red with PAS-weak positive reaction. The granules are certified to be neutral mucopolysaccharide. 7) E-type of neutral mucous granule-producing cell These cells are similar to the shape and the size of the D-type of neutral mucous granule-producing cell. These cells contain a large number of granules with about $1{\mu}m$ in diameter showing electron-lucent and then granules are seen to be PAS-weak positive reaction. III. Parenchyma The clear cell and dark cell are found in the parenchyma of the Limax flavus L. 1) Clear cell These cells are round formed and the nucleus of the cells are larger than cytoplasm. These cells which have the electron-lucent cytosol possess poorly developed organelles. 2) Dark cell These cells are found to be dark cells due to high electron-density, which exhibit strongly methylene-blue reaction from double stain of methylene blue-basic fuchsin.

  • PDF

Ultrastructure of Acinar Secretory Granules of Submandibular and Parotid Salivary Gland in the Korean Striped Field Mouse, Apodemus agrarius (Rodentia, Murinae)

  • Jeong, Soon-Jeong;Jeong, Moon-Jin
    • Applied Microscopy
    • /
    • 제47권1호
    • /
    • pp.8-12
    • /
    • 2017
  • The ultrastructures of the secretory acinar granules of submandibular and parotid salivary gland were examined in the Korean striped field mouse, Apodemus agraius. The acini of the submandibular salivary gland had serous and mucous acinar cells filled with numerous secretory granules. The serous acinar granules had uniformly fine dense contents and were round typed with a definite boundary between the granules. The mucous acinar granules were relatively coarse, with moderate density, and clustered together as a result of the indistinct boundaries between the granules. The acini of the parotid salivary glands contained only serous cells filled with numerous round-typed serous acinar granules. Serous acinar granules had uniformed dense matrix and definite boundaries. The ultrastructures without substructure in a matrix of serous and mucous acinar granules in the submandibular and parotid salivary glands of A. agraius were similar to those of species of Rodentia but different from those of Soricidae in Korea with a characteristic substructure in a matrix. This ultrastructure and charateristics in secretory acinar granules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molecular comparisions of genetic relationships and are one of the key methods for classifying A. agraius.

뒤쥐, Sorex caecutiens 악하선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the Submandibular Gland in the Korean Spider Shrew, Sorex caecutiens)

  • 정순정;유지윤;정문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37권2호
    • /
    • pp.103-109
    • /
    • 2007
  • 뒤쥐 Sorex caecutiens의 악하선의 미세구조를 연구하였다. 악하선은 샘포들과 도관들로 구성되었다. 악하선 샘포는 잘 발달된 조면소포체, 미토콘드리아와 많은 전자밀도가 있는 분비과립으로 채워진 장액선 세포와 점액선 세포를 가지는 혼합샘이었다. 장액선 샘포 과립은 명확한 한계막이 없는 타원형으로 다양한 전자밀도를 가지는 거친 알갱이만을 가지고 있었다. 점액선 샘포 과립은 명확한 한계막이 없는 타원형이고 전자밀도가 있는 균질한 기질 내에 몇 개의 연하거나 투명한 띠를 가져 다양한 문양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뒤쥐아과(Soricinae)에 속하는 뒤쥐, S. caecutiens의 악하선 샘포 과립은 샘포 과립의 경계막의 부재와 점액 샘포 과립의 특별한 문양으로 땃쥐아과(Crocidurinae)를 포함한 다른 포유류 종들과 구분된다. 과립관세포에서 많은 작은 과립소포와 층으로 된 한계막으로 덮이고 거친 장액성의 분비 과립 혹은 균질한 기질로 채워진 몇 개의 특징적 구조들이 관찰되었다.

작은땃쥐 Crocidura suaveolens 악하선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the Submandibular Gland in the Lesser White-Toothed Shrew, Crocidura suaveolens)

  • 정순정;정문진;김도경;국중기;김흥중;윤명희;박주철
    • Applied Microscopy
    • /
    • 제35권2호
    • /
    • pp.65-72
    • /
    • 2005
  • 악하선의 미세구조를 작은땃쥐 Crocidura suaveolens에서 연구하였다. 작은땃쥐의 악하선은 장액선세포와 점액선세포로 구성된 혼합샘이었다. 이 샘포에서 분비된 과립들은 도관을 거쳐 구강으로 분비되었다. 장액선세포와 점액선세포는 잘 발달된 조면소포체와 미토콘드리아 그리고 많은 분비과립을 가지고 있었다. 장액선 분비과립의 경우, 미성숙 분비과립은 무형이면서 전자밀도가 있는 작은 알갱이로만 구성되었고, 성숙 과립은 단일막으로 싸여진 완전한 원형으로 전자밀도가 있는 균질의 중앙부와 전자밀도가 있는 작은 알갱이로 구성된 주변부를 가지고 있었다. 점액선 분비과립의 경우, 미성숙 과립은 원형으로 균질한 기질과 불명확한 경계막을 가지는 반면, 성숙 과립은 균질한 기질 내에 몇 개의 전자밀도가 있는 띠를 가짐으로서 문양의 다양성 가지는 매끈한 원형이었고 명확한 경계막을 가지고 있었다. 즉 작은 땃쥐의 성숙 점액선 분비과립은 문양의 다양성을 가져 다른 포유류와 구분될 뿐만 아니라 매끈한 원형이어서 C. lasiura의 그것과도 구분되었다. 거대한 분비 과립과 미엘린소체가 과립관세포의 세포질과 내강에서 관찰되었다. 3종의 땃쥐류 침샘의 과립관에서 만 보고된 특징적 구조물인 미엘린소체는 분비세포에서 내강으로 분비되었으며 분비과립의 배출방식과 약간의 차이점을 가졌다.

한국산 산민달팽이 (Incilaria fruhstorferi)의 타액선의 형태 및 조직화학적인 연구 (Morphological and Histochemical Study on the Salivary Gland of Korean Slug(Incilaria fruhstorferi))

  • 장남섭;한종민
    • Applied Microscopy
    • /
    • 제25권3호
    • /
    • pp.40-50
    • /
    • 1995
  • The results of observation on the salivary gland and salivary secretory duct of Korean slug, Incilaria fruhstorferi, in histochemical method are as follows. It is observed that there are six kinds of gland cells(Type-A, B, C, E and F) making up the salivary gland of Korean slug. Of those, type-A gland cell is observed as an acid mucous cell, and type-B, C, D, F gland cells as neutral mucous cells. But in type-E gland cell, while the membrane surrounding granules exhibit alcianophilia, granules show no reaction. The salivary secretory duct composing the salivary gland of Korean slug is composed of supporting epithelial cell and four kinds of gland cells(type-A, E, F and G), of which type-A, E, F gland cells compose both the acinus of salivary gland and endothelial tissue of salivary secretory duct, and are secreted into lumen through salivary secretory duct. But, type-G gland cell is observed only in the endothelium of salivary secretory duct and mucous granules are observed as neutral mucopolysaccharide.

  • PDF

돌돔 (Oplegnathus fasciatus) 아가미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the Gill of the Parrot fish, Oplegnathus fasciatus)

  • 김재원;백근욱
    • Applied Microscopy
    • /
    • 제34권2호
    • /
    • pp.139-143
    • /
    • 2004
  • 돌돔 아가미의 미세구조를 광학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아가미는 새궁 앞, 뒤 2열로 된 빗모양의 많은수의 새엽과 그리고 각 새엽은 전후 두 개의 새판(gill lamellae)이 근접하여 2열로 배열되어 있다. 상피세포층은 단층으로 큰 핵을 가진 편평상피로 구성되고 표면에는 미세융기가 잘 발달되어 있다. 새판의 기둥 구조는 세로 방향의 미세소관들과 측면 membrane interdigitation을 가지며, 염세포는 수많은 미토콘드리아와 tubular system이 잘 발달되어 있다. 미성숙된 점액세포는 조면세포체와 골지체가 잘 발달되었으며 일부 발달된 점액 과립을 가지고 있다. 성숙한 점액세포는 AB-PAS에 푸른 색을 띄었으며 구형이고 다양한 전자밀도를 가진 거의 같은 크기의 점액과립을 가지고 있다.

토끼 아래눈물샘의 미세구조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Rabbit Inferior Lacrimal Glands)

  • 박영희;안의태;고정식;박대균;김명수;박경호
    • Applied Microscopy
    • /
    • 제37권1호
    • /
    • pp.23-33
    • /
    • 2007
  • 눈물샘은 주위환경으로부터 눈의 표면을 보호해주는 눈물막(tear film)을 구성하는 데 중요한 작용을 한다. 포유동물의 종에 따라 눈물샘의 구조와 구성요소는 차이가 있다. 포유류의 눈물샘에는 크게 두 가지 종류 즉, 위눈물샘 (superior lacrimal gland)과 아래눈물샘 (inferior lacrimal gland)으로 나눌 수 있다. 위눈물샘은 사람, 토끼, 개, 말, 낙타, 소등에 있는데, 안구의 위쪽에 위치하며, 아래눈물샘은 설치류, 토끼, 식충류 등에 존재하며, 안구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토끼는 두 종류의 눈물샘 즉, 위눈물샘과 아래눈물샘을 모두 갖고 있는 데, 본 실험에서는 아래 눈물샘의 전자현미경적 구조를 관찰하였다. 토끼의 아래 눈물샘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일반구조는, 눈물샘은 전체적으로 피막에 싸여있었고, 샘실질은 결합조직에 의해 소엽으로 나뉘어지고, 소엽에는 분비부, 소엽속관 및 소엽사이관이 있다. 샘포세포는 아주 좁은 속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사이관(intercalated duct)은 샘포와 소엽속관을 연결한다. 소엽속관은 단층의 입방상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배출관인 소엽사이관이 결합조직 안에 잘 발달되어 있다. 눈물샘의 미세구조는 눈물샘 샘포세포는 피라밋형으로, 세포사이는 잘 발달된 연접복합체로 연접하였으며, 좁은 꼭대기 부분은 약간의 미세융모들이 샘의 내강쪽으로 향해 있다. 세포들의 가쪽면 사이에는 세포사이세관이 형성되었고, 그 속에도 상당수의 미세융모들이 관찰된다. 눈물샘분비세포는 세 종류로서 장액세포(serous cell), 장점액세포(seromucous cell)와 점액세포(mucous cell)로 이루어졌다. 장액세포는 샘포의 바닥 쪽에 많고, 세포질에는 전형적인 골지복합체와 전자밀도가 높은 분비과립이 있으며, 둥글둥글한 소포상의 과립형질내세망이 특징적인 구조이다. 한편 장점액세포는 전형적인 납작한 과립형질내세망이 조밀하고, 리보소체도 많아서 매우 어둡게 보이며, 분비과립에는 전자밀도가 높은 장액분비과립, 미세먼지같은 중등도의 전자밀도를 지닌 과립, 전자밀도가 낮으며 가끔은 융합되는 점액 분비과립을 갖고 있다. 점액세포의 과립세포질세망은 세포질전체에 퍼져 있으며, 관모양의 사립체들이 드물게 관찰된다. 점액세포에서는 세 가지 종류의 분비과립 즉, 전자밀도가 낮은 분비과립, 전자밀도가 비교적 높으며 빈도가 낮은 과립과 중간정도의 전자밀도를 가진 과립이 있으며, 전자밀도가 낮은 과립은 서로 융합된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과립세포질세망은 주로 세포의 바닥부분에 위치하며, 골지복합체는 세포의 중간부분인 핵상부에 주로 위치한다. 점액세포의 가쪽벽에는 세포사이공간이 있어 가쪽주름(lateral fold)과 내강에 미세융모를 지닌 세포사이세관(intercellular canaliculi)이 관찰된다. 분비관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들에는 세포질이 어두운 세포와 밝은 세포가 있었으며, 세포질내에는 전자밀도가 높은 분비과립이 관찰되었다. 전체적인 특징은 눈물샘분비세포 중 장액세포의 것과 비슷하였으나, 과립의 크기는 작았다. 분비관을 구성하는 세포들 사이에도 연접복합체가 매우 잘 발달되어 있었다. 샘포에서 사이관으로 이행되는 곳에서도 샘포세포와 사이관세포 사이에서도 연접복합체가 관찰되었다. 분비관세포의 분비과립 가운데는 중심부분에 전자밀도가 더 높은 중심을 가진 다른 모양의 과립이 관찰되기도 하였다.

다람쥐(Tamias sibiricus asiaticus Gmelin) 소장 점막 상피세포의 전자현미경적 연구 (An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Mucosal Epithelial Cell in the Small Intestine of Ground Squirrel, Tamias sibiricus asiaticus Gmelin.)

  • 노영복;정경아;정지숙;김정삼;김일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88-394
    • /
    • 1995
  • 동면동물인 다람쥐를 활동기와 동면기로 나누어 소장 점막 상피세포인 원주세포와 점액세포의 미세구조 변화를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활동기의 원주세포에서는 많은수의 미토콘드리아와 과립형질내세망을 관찰할 수 있었다. 동면기의 원주세포에서는 많은수의 리보소옴을 관찰할 수 있었다. 활동기의 점액세포에서는 크고 많은수의 점액과립과 세포소기관으로 미토콘드리아와 과립형질내세망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현저한 분비작용을 관찰할 수 있었다. 동면기의 점액세포에서는 수와 크기에서 감소된 점액과립과 활동기보다 증가된 리보소옴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분비작용은 활동기에 비해 감소하였다.

  • PDF

총담관 결찰이 집토끼 십이지장 점막내 배상세포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 (An Ultrastructural Study on the Duodenal Goblet Cells of Rabbit after Common Bile Duct Ligation)

  • 김인호;양남길;안의태;고정식;박경호
    • Applied Microscopy
    • /
    • 제20권1호
    • /
    • pp.51-64
    • /
    • 1990
  •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to study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goblet cells in the rabbit duodenal mucosa after common bile duct ligation. Healthy adult rabbits weighting about 2kg body weight were divided to normal and bile duct ligated groups. Common bile duct ligation was performed under ether anesthesia. Experimental animals were sacrificed on the 1st, 3rd, 5th, 7th and 14th day after the operation. Mucosal specimens from the upper part of duodenum were fixed in 2.5% glutaraldehyde-1.5% paraformaldehyde, followed by 1% osmium tetroxide, embedded in araldite mixture, cut with LKB-V ultratome, stained with uranyl acetate - lead citrate, and observed with JEM 100 CX II electron microscope. Observed results were as follow : 1. In the early stages(1st-5th day) of the experiments, the goblet cells showed apocrine and merocrine secretion. But those of the late stage(7th and 14th day) groups showed exocytotic merocrine secretion. 2. In the late stage of the experiments, there found than increase of newly formed goblet cells that contain electron lucent cytoplasms. 3. In the goblet cells of normal rabbit, mucous granules with higher or lower electron densities are found together in the cytoplasm, and electron lucent mucous granules occasionally fused together. But in the early stage of the common bile duct ligation, goblet cells contained granules of higher electron densities. 4. Considering the above findings, common bile duct ligation probably initiates the hypersecretion of mucous granules of goblet cells in the early stage, and may facilitate the differentiation of goblet cells in the later stage.

  • PDF

Comparative Ultrastructure of Secretory Granules of the Submandibular Gland in the Korean Spider Shrew, Sorex caecutiens, the Lesser White-toothed Shrew, Crocidura suaveolens and the Big White-toothed Shrew, Crocidura lasiura

  • Jeong, Soon-Jeong;Bae, Chun Sik;Lee, Hye-Yon;Choi, Baik-Dong;Yoon, Myung-Hee;Jeong, Moon-Jin
    • Applied Microscopy
    • /
    • 제42권4호
    • /
    • pp.186-193
    • /
    • 2012
  • The ultrastructure of the secretory granules of the submandibular gland was examined in the Korean spider shrew, Sorex caecutiens, lesser white-toothed shrew, Crocidura suaveolens and big white-toothed shrew, C. lasiura. The mucous and serous acinar granules of S. caecutiens with a border of the lucid corona differed from those of C. suaveolens and C. lasiurar with a dense lateral border. The mucous acinar granules of C. lasiura with several bands producing a variety of patterns in the matrix were similar to those of C. suaveolens. The serous acinar granules of C. lasiura had a homogenous pale center surrounded by minute dense specks or had an unusual substructure showing a geometric pattern according to the inclusions in the pale matrix of the granules. This is the first report of an unusual substructure showing a geometric pattern of the serous acinar granules of C. lasiura. The myelin-like body was observed in the granular duct cell of the three species of shrew. The myelin-like body of S. caecutiens with layers of unit membranes was different from that of C. suaveolens and C. lasiura with paired membranes. Therefore, the layers composing of the paired membranes of the myelin-like body might be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Crocidu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