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cous Cell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24초

홍어 장점막 점액의 조직화학적 성상에 관한 연구 (Histochemical Properties Study on the Mucosubstances of the Intestinal Mucosa in the Raja kenojei)

  • 주경웅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73-177
    • /
    • 2004
  • This study is performed in order to clarify the histochemical structure, the distribution of mucous cell and goblet cell, and the histochemical properties of the mucosubstances in the middle region of intestinal mucosa and rectum of Raja kenojei. In the H&E stain, distribution of the mucous cells and acidophilic cells were a more compacted middle portion than other regions of intestine, but the former was more than the latter in the number of mucous cells to rectum. The mucosubstances were stained with aldehyde fuchsin pH 1.7-alcian blue(pH 2.5) stain and then compared to distribution of the mucosubstances used in image and microscope technology(IMT-Size5). The middle intestine of Raja kenojei was composed of mucous cells having only large amounts of mucosubstances in the distal region was much more than that of proximal region. It was two types of mucous cells to rectum, one type was the same as proximal intestine while the other had small amounts of weakly sulfated and large amounts of carboxylated mucins.

  • PDF

한국산 육생 민달팽이(Incilaria fruhstorferi)의 표피상피세포에 관한 미세구조 및 조직화학적 연구 (Ultrastructural and Histochemical Studies on the Epithelial Cell of Korean Terrestrial Slug (Incilaria frubstorferi))

  • 장남섭;임연숙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93-106
    • /
    • 1989
  • 한국산 육생 민달팽의 표피상피세포 및 점액형성세포의 세포화학적 또는 미세구조적 연구를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I. 표피상피조직 민달팽이의 표피상피세포는 부위에 따라 외투, 족측상피조직으로 구분하였다. 이들 상피조직은 불규칙한 단층원주상 상피세포로 구성되었으며, 단층원주상 상피세포들은 감각상피세포, 지지상피세포, 점액형성세포 그리고 감각상피세포와 유사한 우명상피세포들로 각각 이루워져 있었다. 외투 및 족측상피조직에서는 감각상피세포와 지지상피세포가 관찰되고, 우명상피세포는 배측상피조직 사이에서만 관찰되었다. II. 점액과립 형성세포 산성점액과립 형성세포와 중성점액과립 형성세포들이 외투, 족측 그리고 배측의 불규칙한 단층원주상 상피세포 사이에서 관찰되었다. 이같은 점액과립 형성세포들의 수는 상피조직의 부위에 따라서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 PDF

Morphology and Histochemistry of the Skin of the Mud Loach, Misgurnus mizolepis, in Relation to Cutaeneous Respiration

  • Park, Jong-Young;Kim, Ik-Soo;Kim, So-Young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5권4호
    • /
    • pp.303-308
    • /
    • 2001
  • The skin structure of Misgurnus mizolepis was studied based on the microanatomical investigation of skin fragments taken from four regions. The epidermis was distinguished by two types of skin glands, a small mucous cell and a large club cell. The mucous cell was acid sulfomucins (some sialomucins) but the club cell did not give any histochemical tests for mucosubstances. The presence of a well defined lymphatic system with small lymphocytes was established in the stratum germinativum layer of the epidermis. A large number of blood capillaries run very close to each other just below the basement membrane, and a definite area giving AB and PAS positive was present between the basement membrane and scale. These structural features of skin in M. mizolepis seem to be closely related with cutaneous respiration.

  • PDF

동자개 (Pseudobagrus fulvidraco)와 밀자개 (Leiocassis nitidus)에 대한 피부점액세포의 조직화학 (Bagridae, Siluriformes) (Histochemistry of the Mucous Cells in the Skin of Pseudobagrus fulvidraco and Leiocassis nitidus (Bagridae, Siluriformes))

  • 김용호;이충렬;제갈승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3-99
    • /
    • 2001
  • 동자개과 (Bagridae) 어류에 속하는 동자개 (P. fulvidraco)와 밀자개 (L. nitidus)의 3부위 (등면, 측면 그리고 배면)의 피부 점액세포를 광학현미경하에 조직화학적인 방법으로 조사했다. 각 종의 피부에 존재하는 점액세포를 PAS, AB-PAS 그리고 HID의 염색방법을 통해 비교해 본 결과, 두 종간에 점액세포의 성분적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고, 그러나 조사 부위에서 점액세포의 위치, 형태, 크기 그리고 수에 있어서 차이가 존재했다. 동자개의 점액세포들은 편평상피세포층과 상피의 alarm substance cells (ASCs)층에 존재했다. 그러나 밀자개의 점액세포들은 편평상피세포층에만 존재했다. 상피의 ASC 층에 존재하는 점액세포는 편평상피세포층에 존재하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더 컸다. 편평상피세포층에서 두 종간 각 부위의 점액세포의 평균수는 이분산 T-test에 의해 인정되었고, 등분산 T-test에 의한 동자개의 두 층의 점액세포간의 평균수는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그리고 이분산 T-test에 의한 동자개와 밀자개 상피의 ASC 평균수는 등면과 배면에서만 차이가 인정되었다.

  • PDF

Atlantic halibut, Hippoglossus hippoglossus에 기생하는 피부흡충, Entobdella hippoglossi의 기생밀도와 숙주 점액 세포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Monogenean Skin Parasite Entobdella hippoglossi and Mucous Cell Distribution of its Host the Atlantic Halibut Hippoglossus hippoglossus)

  • 윤길하;크리스티나 소머빌;조재윤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34-138
    • /
    • 1999
  • 피부흡충인 Entobdella hippoglossi가 숙주인 Atlantic halibut의 피부에 기생할 때 기생 부위별 밀도와 숙주의 피부 점액세포 밀도를 조사하여 E. hippoglossi의 기생이 피부점액 세포의 밀도와 관계가 있는가를 조사하였다. 숙주인 Atlantic halibut 복측과 배측에 기생하는 E. hippoglossi의 밀도는 비슷하였으나 기생충의 크기는 복측이 배측보다 더 컸으며, 배측내에서는 배측의 머리부분에 기생하는 E. hippoglossi의 밀도가 배측의 중앙부나 꼬리부분에서보다 높았다. 숙주의 점액세포 크기, 밀도 그리고 표피 점액층의 두께는 대체로 기생충의 밀도와 비례하였고, 숙주내에서 기생충의 선택적 기생은 점액세포의 밀도와 관계가 있었다.

  • PDF

도룡뇽 (Hynobius leechi) 피부선의 미세구조: I. 점액선

  • 김한화;노용태;정영화;지영득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77-88
    • /
    • 1980
  • 도룡뇽 피부점액선의 미세구조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피부점액선은 선체부와 분비관으로 구성되며, 선체부는 선상피세포와 근상피세포로 구성되었다. 2. 피부점액선의 선체부의 선상피세포는 명세포, 암세포, mitochondria-rich cell, endoplasmic reticulum-developed cell, secretory granule-containing cell 및 vesiculated cells들로 구성되었다. 3. 명세포, 암세포 및 mitochondria-rich cell은 미분화세포, endoplasmic reticulum-developed cell은 분비전기세포, secretory granule-containing cell은 성숙세포 그리고 vesiculated cell은 분비후기세포라고 생각된다.

  • PDF

돌돔 (Oplegnathus fasciatus) 아가미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the Gill of the Parrot fish, Oplegnathus fasciatus)

  • 김재원;백근욱
    • Applied Microscopy
    • /
    • 제34권2호
    • /
    • pp.139-143
    • /
    • 2004
  • 돌돔 아가미의 미세구조를 광학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아가미는 새궁 앞, 뒤 2열로 된 빗모양의 많은수의 새엽과 그리고 각 새엽은 전후 두 개의 새판(gill lamellae)이 근접하여 2열로 배열되어 있다. 상피세포층은 단층으로 큰 핵을 가진 편평상피로 구성되고 표면에는 미세융기가 잘 발달되어 있다. 새판의 기둥 구조는 세로 방향의 미세소관들과 측면 membrane interdigitation을 가지며, 염세포는 수많은 미토콘드리아와 tubular system이 잘 발달되어 있다. 미성숙된 점액세포는 조면세포체와 골지체가 잘 발달되었으며 일부 발달된 점액 과립을 가지고 있다. 성숙한 점액세포는 AB-PAS에 푸른 색을 띄었으며 구형이고 다양한 전자밀도를 가진 거의 같은 크기의 점액과립을 가지고 있다.

목단피지황탕(牧丹皮地黃湯)이 위점막손상(胃粘膜損傷)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Mokdanpijihwang-tang on gastric mucosal damage in mice)

  • 박성식;이지영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71-183
    • /
    • 2000
  • 1. Back ground and purpose An experimental study has done to examine the effect of defense and cure gastric mucasal damage of Mokdan-pijihwang-tang. 2. Methods Mice had intragastric injected with MJ extract before indomethacin treatment which induces homorrhage infarct and erosion artificially. Degree of lipid peroxidation, general morphology, change of mucous cell, the distribution of PNA, ICAM and distribution of apoptotic cell were objected. (Abbreviation) MJ : Mokdanpijihwang-tang, PNA : Peanut Agglutinin, ICAM :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 3 Results 1) The degree of lipid peroxidation in INDO-group had increased conspicuously than control group. But the degree of lipid peroxidation in MJ-group had decreased than INDO-group and these decline had probability. 2) After indomethacin treatment, hemorrhage infarct and erosion had increased in stomach body. But in MJ-group, the configuration is normal, except the group intragastric injected with MJ extract at hour 24 before indomethacin treatment. 3) Surface mucous cell and neck mucous had disappeared in INDO-group. But in MJ-group tormal distribution had shown like control group except the group intragastric injected with MJ extract at hour 24 before indomethacin treatment. 4) PNA positive reaction had not shown in INDO-group. But medium PNA positive reaction had shown In Mj-group. 5) ICAM positive reacted cell had shown in INDO-group. The decrease of ICAM positive cell were shown than INDO-group. 6) A number of apoptotic cell was distributed in hemorrhagic erosion. A few number of apoptotic cell was distributed in MJ-group except some surface mucous. 4.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MJ has an effect on cure of gastric mucosal damage.

  • PDF

다람쥐(Tamias sibiricus asiaticus Gmelin) 소장 점막 상피세포의 전자현미경적 연구 (An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Mucosal Epithelial Cell in the Small Intestine of Ground Squirrel, Tamias sibiricus asiaticus Gmelin.)

  • 노영복;정경아;정지숙;김정삼;김일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88-394
    • /
    • 1995
  • 동면동물인 다람쥐를 활동기와 동면기로 나누어 소장 점막 상피세포인 원주세포와 점액세포의 미세구조 변화를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활동기의 원주세포에서는 많은수의 미토콘드리아와 과립형질내세망을 관찰할 수 있었다. 동면기의 원주세포에서는 많은수의 리보소옴을 관찰할 수 있었다. 활동기의 점액세포에서는 크고 많은수의 점액과립과 세포소기관으로 미토콘드리아와 과립형질내세망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현저한 분비작용을 관찰할 수 있었다. 동면기의 점액세포에서는 수와 크기에서 감소된 점액과립과 활동기보다 증가된 리보소옴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분비작용은 활동기에 비해 감소하였다.

  • PDF

무당개구리(Bombina orientalis Boulenger) 피부 점액선의 세포구조 및 점액분비물질의 조직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Ultrastructure of the Cutaneous Mucous Glands and Histochemical Pronerty of the Mucous Secretory Material in Bombina orientalis.)

  • 문명진;김기영;김우갑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21-231
    • /
    • 1989
  • 피부선이 잘 발달되어 있는 Bombina속 중에서 유일하게 국내에 서식하는 무당개구리를 재료로 하여 피부 점액선의 미세구조와 점액분비물질의 조직화학적 성질을 광학 및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무당개구리의 점액선은 진피에 위치한 단포상선으로서 선분비부는 외부의 근상피세포층과 내부의 선상피세포층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조직화학반응의 결과, 점액선에서 생성되는 물질의 주성분이 산성다당류임을 확인하였으며, 배피에 비해 복피에서 강한 양성반응을 나타내었다. 또한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피부표면의 관찰 결과, 점액선의 개구부는 피부의 표면에 돌출된 식물의 기공과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으며, 과립선의 개구부에 비해 분포밀도는 높았으나 크기는 소형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점액선의 선상피세포층에는 점액분비세포와 미토콘드리아가 잘 발달되어 있는 세포의 2종류로 이루어져 있었고, 선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점액분비세포는 세포의 분화정도에 따라서 성숙 또는 미성숙된 세포로 구분되었으며, 세포질 내에 함유된 점액분비물질의 주변에서는 조면소포체가 잘 발달되어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