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cilage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6초

몰로키아(Corchorus olitorius) 잎에서 추출한 mucilage의 이화학적 및 기능적 특성

  • 석호문;정창화
    • 식품기술
    • /
    • 제15권2호
    • /
    • pp.45-58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몰로키아 잎에서 추출한 mucilage의 이화학적 특성, 동물실험을 통한 콜레스테롤 대사에 미치는 영향가 임상실험에서의 비만 및 체지방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몰로키아 잎은 식이섬유의 함량이 37.4%, 단백질의 함량은 24.4%를 차지하고 있으며, 칼슘의 함량이 2,000mg% 이상으로 대단히 높았다. 몰로키아 앞에서 추출된 mucilage의 경우 단백질의 총당에 대한 비율이 $50^{\circ}C$에서 57.6%를 차지하였으며, 구성다당류의 분자량은 약 500,000 dalton의 크기를 나타내었고 40,000 dalton 이하의 것도 일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실험에서는 혈장의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구인 셀룰로오스 첨가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간에서의 지방 농도는 몰로키아 분말과 mucilage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고 변으로의 콜레스테롤 배설량도 몰로키아 분말 첨가군과 mucilage 첨가군 순으로 높았다. 몰로키아의 섭취가 다이어트와 변비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한 결과, 체중의 감소는 아주 낮은 유의성을 보였고, 혈액 내 생화학적 수치에서 초기치와 8주 후의 값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체지방율의 경우에는 현저히 줄어들었다. 또한 몰로키아의 섭취로 배변이 2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배변시의 통증도 상당히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마 점질물의 중금속 제거능과 ACE저해 효과 (Removal of Heavy Metal and ACE Inhibition of Yam Mucilage)

  • 하영득;이삼빈;곽연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751-755
    • /
    • 1998
  • Functional properties of yam mucilage were investigated by physicochemical analysis. Yam mucilage was extracted from the root of yam and then separated into two fractions by its selective aggregation with isopropanol concentration. Each mucilge fraction showed the excellent binding properties with heavy metal ions Co, Cr and Cu. Cr showed the higher affinity with mucilage than Co and Cu at pH 6.3. In ACE inhibition, IC50 values of mucilage fraction 1 and 2 showed 8.99$\mu\textrm{g}$/${mu}ell$ and 7.1$\mu\textrm{g}$/${mu}ell$, respectively.

  • PDF

Effect of mucilage from yam on activation of lymphocytic immune cells

  • Jang, Cheol-Min;Kweon, Dae-Hyuk;Lee, Jong-Hwa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권2호
    • /
    • pp.94-99
    • /
    • 2007
  • The immunostimulating activities of mucilage fraction from yam were investigated. The proliferation of BSA-primed lymph node cells was enhanced between 4.1- to 10.9-fold compare to control, when cultured with 1 to $25{\mu}g/mL$ of yam-mucilage fraction. It showed strong immunostimulating activity than ginseng extract and as remarkable as Bifidobacterium adolescentis M101-4 known as a positive immunostimulator. Mitogenicity to lymph node cells was fully induced by concanavalin A and lipopolysaccharide. The proliferation of splenocytes and Peyer's patch cells was enhanced between 5.0- to 14.1-fold and 2.4- to 6.4-fold, respectively, when cultured with 1 to $25{\mu}g/mL$ of yam-mucilage fraction. It enhanced the production of cytokines such as tumor necrosis $factor-{\alpha}$ and IL-6 in the culture of RAW 264.7 macrophage cells. In the culture of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 264.7 cells, production of cytokines was as similar as compared to controls. In unstimulated RAW 264.7 cells, both tumor necrosis $factor-{\alpha}$ and IL-6 production were enhanced between 15.6- to 60.1-fold and 2.3- to 9.1-fold, respectively. Mucilage fraction from yam is expected to be a safe immunopotentiator to maintain the host immunity and develop a physiologically functional food.

Chongkukjang Mucilage Stimulates Immunohistochemical Activities of Gastrointestinal Tract in Rats

  • Lee, Chang-Hyun;Yang, Eun-In;Song, Geun-Seoup;Chai, Ok-Hee;Kim, Young-So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6호
    • /
    • pp.813-817
    • /
    • 2005
  •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a viscous substance from chongkukjang (chongkukjang mucilage) on immunohistochemical reactions in rat gastrointestinal (GI) tracts, Rats fed a steady diet of chongkukjang mucilage showed an increase in the immunoreactive densities of gastrin and serotonin in the pyloric region of their stomachs and duodenal villi, The number of gastrin and serotonin immunoreactive cell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Feeding on dietary chongkukjang mucilage increased the immunohistochemical densities of $CD4^+$ and $CD8^+$ lymphocytes in the mucosa and submucosa of the rats' gastroduodenal region. The universal nitric oxide synthase (uNOS)-immunoreactive neurons and nerve fibers were strongly stained in the vascular walls of the submucosa and myenteric plexus in rats fed the test diet.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take of chongkukjang mucilage could increase mucosal immune activity, gastrointestinal motility, and blood circulation in the GI tract.

한지 제조용 새로운 천연 점질물의 개발 (제1보) -나무수국 점질물의 점도 및 한지 제조 특성 - (Development of Natural Dispersant for Korean Traditional Papermaking( I ) - Viscosity and Papermaking Characteristics of Hydrangea paniculata Mucilage-)

  • 최태호
    • 임산에너지
    • /
    • 제23권1호
    • /
    • pp.38-44
    • /
    • 2004
  • 한지의 제조에 있어서 점질물의 사용은 필수 불가결하다. 그러나 천연 점질물인 황촉규근 점액은 하절기 점도저하 문제를, 합성점제인 PAM이나 PEO 등은 수질의 영향과 응집성 및 용해성 불량이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천연 점질물의 개발을 위하여 나무수국 점질물의 점도 및 한지 제조 특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무처리 시료와 pH 9, 40℃에서 6 시간 처리한 시료 및 이것을 5℃에서 1주일간 보관한 시료 간의 점도 변화는 거의 없었다. pH 9로 조절한 시료를 40℃에서 120 시간 처리할 경우 점도 저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점질물의 구성당 분석 결과 가열처리 및 pH 9로 조절은 무처리 시료에 비하여 galacturonic acid 및 glucuronic acid의 함량이 감소되었다. 나무수국 점질물의 습지 분리성 및 한지의 물성은 황촉규근 점질물과 같거나 약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지초조용(韓紙抄造用) 점액(粘液)에 관한 연구(硏究) -제1보(第一報). 느릅나무근점액(根粘液)의 당류검색(糖類檢索)- (Studies on the Mucilage for the Manufacture of Korean Hand-made Paper -Part I. Detection of Sugars in the Mucilage of Ulmus Coreana, Nakai Root-)

  • 손주환;임제빈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5권3호
    • /
    • pp.166-172
    • /
    • 1982
  • 느릅나무근(根) 점액(粘液)의 액성(液性)은 처음에는 중성(中性)이나 산성(酸性)으로 변(變)한 다음 중성(中性)에 가까워지는 경시적(經時的) 변화(變化)가 일어나며 점액(粘液)의 점도저하(粘度低下)는 황촉규근(黃蜀葵根) 점액(粘液)보다 매우 완만(緩慢)하다. 또 이것은 유리(遊離) 환원당(還元糖)을 함유(含有)하고 함량(含量)은 경시적(經時的)으로 변화(變化)하여 처음에는 증가(增加)한 다음 급격(急激)하게 감소(減少)하며 당함량(糖含量)과 점도(粘度)와의 사이에서 분명(分明)한 비례관계(比例關係)를 찾아볼 수는 없다. 당류(糖類)를 경시적(經時的)으로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황촉규근(黃蜀葵根) 점액(粘液)과는 달리 glucose 및 galacturonic acid등(等) 2종(種)의 당류(糖類)가 검출(檢出)되었다. 그러나 점질물(粘質物)의 가수분해(加水分解) 생성물(生成物)에서 검출(檢出)된 당류(糖類)는 rhamnose, mannose, galactose, arabinose 그리고 galacturonic acid등(等)이며 황촉규근(黃蜀葵根) 점질물(粘質物)에서 검출(檢出)되었던 xylose는 검출(檢出)되지 아니하고 mannose가 검출(檢出)되었다.

  • PDF

황촉규근(黃蜀葵根) 점액(粘液)에 관한 연구(硏究) -[제육보(第六報)] 황촉규근(黃蜀葵根) 점액(粘液)의 점도변화(粘度變化)에 미치는 미생물(微生物)의 영향(影響)- (Studies on the Mucilage of the Root of Abelmoschus Manihot, Medic -[Part VI] The Influence of Microorganism for the Viscosity-)

  • 온두현;김종면;임제빈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2권2호
    • /
    • pp.101-108
    • /
    • 1979
  • 본(本) 연구(硏究)에서 얻은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황촉규모(黃蜀葵根) 점액(粘液)을 Bacillus subtilis ATCC 6633 Escherichia coli 1410등(等) 세균(細菌)의 증식배지(增殖培地)로서 매우 적합(適合)하고, $30^{\circ}C$, 24시간(時間)에 세균증식극기(細菌增殖極期)에 이른다. 2. 상대점도(相對粘度) ${\eta}_{\gamma}=10$으로 조제(調製)된 황촉규근(黃蜀葵根) 점약(點藥)의 점도(粘度)는 초기(初期)에 급격(急激)하게 저하(低下)되고 24시간(時間)이 경과(經過)된 다음에는 거의 일정(一定)하다. 항생물질(抗生物質)의 첨가(添加)나 고압가열조작(加熱操作)을 행(行)하여 점도저하(粘度低下)의 경향(傾向)을 어느정도(程度) 작게 할 수는 있으나 저하(低下)를 완전(完全)히 억제(抑制)할 수는 없다. 3. 황촉규근점액내(黃蜀葵根粘液內)의 당함량(糖含量)은 대분로 보아 세균(細菌)의 증식(增殖)에 따라 감소(減少)한다. 점액내(粘液內) 세균증식(細菌增殖)에 따른 세균수(細菌數)와 점도(粘度)의 저하(低下)는 서로 역상관관계(逆相關關係)가 이루어지나 당함량(糖含量)과의 관계(關係)는 모든 경우 반드시 역산관관계(逆相關關係)가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4. 황촉규근(黃蜀葵根) 점액내(粘液內)의 세균증식(細菌增殖)에 따른 수소(水素)이온 농도(濃度)는 초기(初期)에는 약간(若干) 저하(低下)하는 경향(傾向)을 보이나 12시간(時間)이 경과(經科)된 다음에는 세균(細菌)의 증식(增殖)에 적합(適合)한 액성(液性)을 나타낸다. 5. 황촉규근(黃蜀葵根) 점도(粘度)의 생물학적(生物學的) 요인(要因)에 의한 점도(粘度) 저하(低下)를 점액(粘液)의 fluidity ${\phi}$와 점액(粘液)의 점도저하속도(粘度低下速度) k와 관련(關聯)시켜 동역학적(動力學的)으로 고찰(考察)하여서 $l_n{\phi}_2l{\phi}\;=\;k_2-k_1$으로 나타낼 수 있는 근사(近似)한 관계식(關係式)이 유도(誘導)되며 이 식(式)으로 실험(實驗)의 결과(結果)가 잘 설명(說明)된다.

  • PDF

한지(韓紙) 초조용(抄造用) 점액(粘液)에 관한 연구(硏究) -제2보(第二報). 느릅나무근(根) 점액(粘液)의 아미노산류(酸類)의 검색(檢索)- (Studies on the Mucilage for the Manufacture of Korean Hand-Made Paper -Part II. Detection of Amino acids in the Mucilage of Ulmus coreana, Nakai Root-)

  • 손주환;임제빈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5권3호
    • /
    • pp.173-176
    • /
    • 1982
  • 느릅나무근(根) 점액(粘液)은 단백질(蛋白質)을 함유(含有)하며 그 함량(含量)은 황촉규근(黃蜀葵根) 점액(粘液)의 단백질(蛋白質) 함량(含量)보다 크다. 점액(粘液)에서 alanine, aspartic acid, glutamine, glutamic acid, hydroxyproline, isoleucine, leucine, proline, phenylalanine 및 tyrsine 등(等) 아미노산(酸_이 검출(檢出)되고 또 이 점액(粘液)에 무수(無水) ethanol을 가(加)하여 얻은 점질물(粘質物)의 가수분해(加水分解) 생성물(生成物)에서는 alanine, aspargine, aspartic acid, glutamine, glutamic acid, hydroxyproline, isoleucine, leucine, methionine, proline, phenylalanine, serine, tyrosine 그리고 valine등(等) 여러 종류(種類)의 아미노산(酸)이 검출(檢出)되었다.

  • PDF

난과식물의 생약학적 연구 (Pharmacognostical Studies on Orchidaceae Plants)

  • 도정애
    • 생약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93-304
    • /
    • 1994
  • In order to estimate accurate originality of the important crude drugs, Gastrodia, Dendrobium, Bletilla and Cremastra spp. were investigated comparing their morphological, anatomical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bacterial, antifungal activities. The results of the studies as follows: 1. In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studies, Korean Gastrodia contained more mucilage duct and symbiotic fungi than imported Gastrodia. Korean Dendrobium contained starch grains but without starch grains in the imported Dendrobium from China enclosed with thicken silicified wall. The corm of Cremasta appendiculata contained raphides of bundles with mucilage while the bulbs of Tulipa edulis contained several various starch grains form. 2. In physiological and TLC analysis, crude drugs in Orchidaceae contained common constituents with fluorescence and much mucilage. 3. The EtOH extracts of Gastrodia, Dendrobium, Bletilla, Cremastra showed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B. subtilis and E. coli (Dendrobium>Gastrodia>Bletilla>Cremastra). But, no antifungal activities against C. albicans, A. niger were observed.

  • PDF

Production of Carrot Pomace Fortified with Mucilage, Fibrinolytic Enzyme and Probiotics by Solid-state Fermentation Using the Mixed Culture of Bacillus subtilis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 Jung, Hye-Won;Lee, Sam-Pi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4권4호
    • /
    • pp.335-342
    • /
    • 2009
  • Bioactive compounds were produced from carrot pomace by solid-state fermentation using Bacillus subtilis HA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The carrot pomace (CP) fermented by B. subtilis HA with 3% monosodium glutamate (MSG) showed higher production of various bioactive compounds, with 1.64 Pa·sn of consistency, 2.31% of mucilage content, 16.95 unit/g of fibrinolytic enzyme activity, 35.3 unit/g of proteolytic activity and 37.5 mg% of tyrosine content. The mucilage production was greatly dependent upon the concentration of MSG added. Most MSG added in CP was converted into mucilage (2.3%) including 0.83% poly-$gamma$-glutamic acid (PGA) with 1,505 kDa of molecular weight. The CP fermented secondly by Leuc. mesenteroides showed acidic pH and lower consistency. However, the fibrinolytic and proteolytic activities were increased. The secondly fermented CP showed the viable cell counts with $2.5{\time}108$ CFU/g of B. subtilis HA and $3.7{\time}109$ CFU/g of Leuc. mesenteroides, respectively. The freeze-dried fermented CP showed 2.88 Pa·sn of consistency, 24% of mucilage content and 104.9 unit/g of fibrinolytic enzyme activity, respectively. Also, the powder of fermented CP indicated viable cell counts of $8.0{\time}107$ CFU/g of B. subtilis and $4.0{\time}108$ CFU/g of Leuc. mesenteroides. Therefore, the fermented CP that was fortified with dietary fibers, fibrinolytic enzyme and probiotics could be utilized as valuable ingredients of functional foods in food or cosmetic indust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