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uan area

Search Result 84,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국내 점토광물의 특성연구 (Characteristics of Domestic Clay Minerals)

  • 임응극;박순자;정수진;김환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3-19
    • /
    • 1980
  • Mineral identifications on halloysite in Hadong-Sancheong area and the halloysite bearing clay ii Yeoju, Yesan and Hampyeong-Muan area are carried out by the method of X-ray diffraction, electron microscopy and DTA. Chemical composition of the above minerals are analyzed by means of X-ray-fluorescence. Refractoriness are also measured by refractoriness tester. A standard diagram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halloysite is given.

  • PDF

난지형 마늘의 농업수리학적 재배적지 분류 (Water Balance-based Farmland Suitability for Southern-type Garlic Cultivation)

  • 김용완;홍석영;김이현;장민원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4권6호
    • /
    • pp.19-28
    • /
    • 2012
  • This study carried out farmland suitability analysis for southern-type garlic cultivation considering soil and temperature as well as water deficit conditions. The spatial extent was limited within the area derived by Kim et al. (2012) using just soil and temperature constraints. Daily soil moisture was simulated using a one-layer soil water balance model at a $100{\times}100m$ grid unit, and then annual water deficit was calculated from 2000 to 2010. The farmland suitability was classified as four steps: best suitable, suitable, possible, and low productive. As a result, total area of best suitable or suitable farmland was about 375,900 ha, and Gimje-si and Haenam-gun were appeared as the largest favorable area for southern-type garlic cultivation. The best suitable or suitable area at Haenam-gun, Goheung-gun, Shinan-gun, Namhae-gun, and Muan-gun, major production regions of southern-type garlic, were extracted as 20,187 ha, 13,018 ha, 4,715 ha, 1,319 ha, and 349 ha,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result showed that the adoption of sprinkler irrigation systems might be critical in cultivating the southern-type garlic at some regions having poor water balance.

광주.전남지역 지역특산물에 대한 인지도 조사 - 강진지역 일부 주부들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Local Special Food in Gwangju and Jeonnam Area - Focused on some Housewives in Gang Jin Region -)

  • 전은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155-161
    • /
    • 2006
  • This study investigated housewives' perception of local special foods in Gwangju and Jeonnam in Gang Jin. Of 150 questionnaires sent, there were 114 responses. The most perceptible local special foods in Gwangju and Jeonnam area are as follows: Watermelon in Gwangju (100.0%), Pear in Naju (90.0%), Rice in Suncheon (40.0%), Gorosoe in Gwangyang (76.7%), Hongeo in Mopko (63.3%), Dolsan leaf mustard Kimchi in Yeosu (100.0%), Sweet Persimmon in Jangseong (86.7%), Salted bamboo sprout in Damyang (46.7%), Apple in Gokseong (90.0%), Butterfly rice in Hampyeong (63.3%), Gorosoe in Gurye (56.7%), Onion in Muan (96.7%), Peach in Hwasun(40.0%), Dallmaji rice in Yeongam (50.0%), Oyster mushroom in Jangheung (63.3%), Green tea in Boseong(96.7%), Heuksanhongeo in Sinan (53.3%), Loess sweet potato in Haenam (83.3%), Kukija in Jindo (60.0%), Laver in Wando (76.7%), Tohajeot in GangJin (73.3%), Citron in Goheung (90.0%), and Gulbi in Yeonggwang (100.0%). The most perceptible area and local special foods in Gwangju and Jeonnam area were in the following order: Green tea in Boseong (17.37%), Tohajeot in GangJin (15.97%), Watermelon in GwangJu (10.0%), Pear in NaJu (9.3%), and Loess sweet potato in Haenam (9.3%).

무안군 카르스트 지역의 지하공동 탐지를 위한 전기비저항 탐사 기술 적용 (Application of Resistivity Technique for Identifying Cavities Near Surface in Karst Area, Muan-gun, South of Korea)

  • ;박삼규;송영수;김정호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1권4호
    • /
    • pp.368-372
    • /
    • 2008
  • 이 연구는 카르스트 지역에서 발생하는 연약층 또는 지하 석회암 공동의 영상화를 위한 지표 전기비저항 탐사의 유용성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연약층 또는 공동은 잠재적인 위험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은 도로 및 건축물의 붕괴를 야기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이미 지반침하가 있었음이 보고된 바 있는 전남 무안군 영월리에 있는 한 도로를 따라 2-3차원 전기비저항 탐사를 수행하여 지반 침하 현상을 조사하였다. 이 지역의 쌍극자배열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 풍화된 표토층과 연약층 또는 공동 그리고 기반암이 뚜렷이 구분되어 나타났으며, 또한 여러 곳의 저비저항 이상대가 나타났는데 이는 점토로 충전된 공동으로 시추결과 확인되었다. 아울러 시추 결과와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는 매우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지반 침하를 평가하는 데 있어 전기비저항 탐사를 통한 지하영상화 작업이 매우 높은 분해능을 가짐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지반 침하 지역을 조사하고 이를 평가함에 있어 $2{\sim}3$차원 전기비저항탐사가 매우 유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탐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지역 주변의 재해 취약정도를 작성하였다.

무안군 소재 초등학생들의 시훈련 효과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Effects of After Vision Training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Muan)

  • 장정운;김인숙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37-142
    • /
    • 2013
  • 목적: 무안군내 초등학교 학생들의 시력상태를 파악하고, 조절력과 버전스 부족 학생들의 시훈련 후의 시기능 향상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무안군내 초등학교 1학년~6학년까지 약 335명을 대상으로 자각적 타각적 굴절검사, 양안시기능검사 실시 후 시기능이상 증상을 호소하는 47명을 대상으로 시기능 훈련 실시 후 각 검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 대상 학생들의 대부분은 조절력보다는 폭주근점에서 문제를 나타내었다. 폭주근점은 훈련 전 $11.57{\pm}1.850$ cm에서 훈련 후 $5.66{\pm}0.965$ cm로 나타나 약 5.93 cm 정도 폭주근점이 당겨진 것을 알 수 있었고, 근거리의 양성융합 버전스는 훈련 후 사위량의 2배 값인 약 $19.64{\pm}3.66$ $\Delta$를 나타내었다. 조절력은 훈련 전 약 $10.02{\pm}2.566$ D에서 훈련 후 $12.30{\pm}1.397$ D 정도로 개선되어 평균연령 11.27세의 조절력 기대치와 비슷함을 나타내었다. 결론: 조절력과 융합버전스 부족 중에서 특히 폭주근점이 큰 폭으로 상승하였고, 조절용이를 포함한 대부분 시기능 항목들도 향상된 수치를 나타낸 것으로 보아 시훈련은 많은 효과가 있었다고 사료된다.

국내 산지별 마늘의 향기성분 및 항균활성 (Aroma Compounds and Antimicrobial Effect of Garlic from Different Areas in Korea)

  • 신정혜;김라정;이수정;강민정;서종권;성낙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99-207
    • /
    • 2011
  • 마늘의 산지별 품질특성 비교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국내의 한지형 및 난지형 마늘 주산지로부터 수집된 마늘 및 중국산 마늘의 물리적 특성, 향기성분과 항균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마늘 구의 폭은 난지형 마늘이 50mm 이상으로 한지형 마늘에 비하여 넓었으며 평균 인편수도 난지형 마늘에서 6.38~9.31개로 더 많았다. 마늘의 표면색 중 L값은 80.73~87.40의 범위였으며, a값은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b값은 남해산과 무안산에서 가장 낮아 각각 $20.97{\pm}1.20$$20.91{\pm}1.62$였으며, 제주산이 $26.38{\pm}2.08$로 가장 높았다. 마늘의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총 25~30개의 피크를 얻었으며, 이 중 GC-MS로 17종의 화합물을 동정할 수 있었고, 동정된 화합물 중 황화합물이 15종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마늘의 향기성분을 총 피크면적비로 계산한 결과 diallyl disulfide는 검출된 총 화합물 중 34.90~60.54%로써 타성분에 비해 월등히 높은 함량이었는데 중국산에서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무안산에서 그 함량이 가장 낮았다. 다음으로 diallyl trisulfide가 17.55~38.72%였다. Strep. mutans, B. subtilis, E. coti, V. parahaemolyticus, Asp. flavus, C. albicans에 대해 항균활성을 실험한 결과 모든 마늘 시료에서 E. coli와 C. albicans에 대해 비교적 활성이 높았으며, 전체적으로 활성이 높았던 태안, 제주 및 남해마늘을 농도별로 가하여 항균활성을 실험한 결과 시료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항균활성도 증가하였으며, 남해산 마늘에서 가장 항균활성이 높았다.

Infections with Zoonotic Trematode Metacercariae in Yellowfin Goby, Acanthogobius flavimanus, from Coastal Areas of Republic of Korea

  • Sohn, Woon-Mok;Na, Byoung-Kuk;Cho, Shin-Hyeong;Ju, Jung-Won;Lee, Soon-Won;Seok, Won-Seok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6권3호
    • /
    • pp.259-265
    • /
    • 2018
  • To investigate the infection status of zoonotic trematode metacercariae in yellowfin goby, Acanthogobius flavimanus, from coastal areas of the Republic of Korea (Korea), we examined total 344 gobies from 21 localities with an artificial digestion method from 2013 to 2017. The metacercariae of Stictodora lari were most frequently detected in 45.3% goby from 7 localities, i.e., Taean-gun (Chungcheongnam-do), Gochang-gun (Jeollabuk-do), Muan-gun, Shinan-gun, Haenam-gun (Jeollanam-do), Hadong-gun and Goseong-gun (Gyeongsangnam-do). Their infection rates were 90.0%, 66.7%, 46.7%, 8.0%, 3.3%, 26.7%, and 86.7% and intensities were 1,090, 6.2, 1.6 1.0, 2.0, 2.0, and 7.2 metacercariae per fish infected respectively. Heterophyopsis continua metacercariae were found in 38.2% goby from 6 localities, i.e., Gochang-gun, Muan-gun, Shinan-gun, Gangjin-gun, Boseong-gun (Jeollanam-do) and Goseong-gun, and their intensities were relatively low, 1-21 metacercariae. Stictodora fuscata metacercariae were detected in 61.3% goby from 4 localities, i.e., Taean-gun, Gochang-gun, Hadong-gun and Goseong-gun. Their infection rates were 90.0%, 53.3%, 5.9%, and 73.3% and intensities were 1,081, 3.1, 3.0, and 10.2 metacercariae per fish infected respectively. Heterophyes nocens metacercariae were found in 55.0% goby from Muan-gun and Shinan-gun. Total 3 metacercariae of Isthmiophora hortensis were detected in 2 (8.0%) gobies from Shinan-gun. Total 15 metacercariae of Centrocestus armatus were detected in 5 gobies (33.3%) from Gyeongpo-ho (ho means lake) in Gangneung-si, Gangwon-do.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yellowfin goby, A. flavimanus, acts as the infection sources of zoonotic intestinal flukes in western and southern coastal areas than in eastern coastal areas of Korea.

백련 종류에 따른 연근 크기와 수확량 (Yield and Size of Enlarged Rhizome among Different Kinds of White Lotus)

  • 임명희;박용서;조자용;박삼균;윤재길;장홍기;허북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2-48
    • /
    • 2009
  • 백련 4종류의 연근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2007년 4월 10일에 3.3 $m^2$ 당 비대근경 1개씩을 심은 후 2008년 2월 19일에 굴취하여 1 $m^2$ 당 수확량과 비대 근경의 크기를 조사하였다. 수확량은 '회산' 백련(3.0kg), '청양' 백련(2.5 kg),'가람' 백련(2.0 kg), '인취사' 백련(1.0 kg) 순으로 나타났다. 비대근경의 수는 '인취사' 백련 4.9개, '가람' 백련 4.3개,'회산' 백련 4.2개, '청양' 백련 4.1개 순이었다. 비대근경의 총 마디 수는 '회산' 백련(17.0개), '인취사' 백련(16.0), '청양' 백련(15.3개), '가람' 백련(14.1개) 순이었다. 뿌리의 길이는 '인취사' 백련과 '가람' 백련은 50 cm 이하인 것이 각각 76.3, 53.0%인 반면에 '회산' 백련과 '청양' 백련은 각각 38.2%와 40.3%를 나타내었다. 자생백련 비대근경의 첫 번째 마디는 다른 마디에 비해 긴 경향을 나타냈지만 직경과 횡경은 작아서 가늘었으며, 둘째 마디부터는 굵고 짧은 형태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백련근의 수확량 측면에서는 '회산' 백련이 제일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철원양파의 저장실험 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Storage Experiment of Cheorwon Onion)

  • 김동현;김연복;구현정;이희종;강창수;백현진;이정세;장광진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1권2호
    • /
    • pp.27-33
    • /
    • 2019
  • 본 연구는 다른 지역에 비해 일교차가 큰 철원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 양파와 각 지역별 전남 무안, 전북 부안, 경남 창녕지역 양파의 생육특성과 저장 후 변이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그 결과 철원, 무안, 부안, 창녕 지역의 양파 저장 실험 결과 저장 전 과 후의 생육특성(구경, 구고, 구중)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저장 전과 후의 당도는 저장 후에 당도가 약 1-2 brix 정도 감소되었다. 각 지역별로 저장 전과 후의 당도는 철원 양파가 높았고 저장 후에도 역시 같은 순이었다. 각 지역별로 저장 후 경도를 측정한 결과 철원(112.3g) > 무안(106g) > 부안(102.1g) > 창녕(92.6g)으로 철원양파가 높은 경도를 보였다. 경도의 차이는 지역별 낮과 밤의 온도차 및 재배농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저장 용기별(양파망, 종이박스, 박스) 저장 실험 결과는 종이박스에서 부패수가 가장 적었다. 따라서 양파를 저장할 때 부패수를 줄이기 위해 종이 박스를 이용하는 것이 유익하다고 사료된다.

물류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전남권 항만물류 활성화 방안 (A Plan to Promote Jeonnam Region's Port Logistics through Establishment of a Logistics Network)

  • 최동오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3-39
    • /
    • 2008
  • 본 논문은 점차 국제경쟁력을 갖추어 가고 있는 광양항을 전남지역의 국제물류거점으로 하여 전남권의 목포항, 여수항, 완도항, 등의 항만물류, 무안국제공항의 항공물류, 그리고 장성의 복합화물터미널인 내륙화물기지의 연계를 통하여 효과적인 물류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이를 통해 전남지역의 물류산업을 활성화 방안을 살펴보았다. 전남의 물류거점인 광양항, 장성복합화물터미널, 목포항, 무안국제공항을 연계하여 체계적인 지역혁신계획을 수립하여 지역혁신주체 및 산업혁신의 역량을 강화하고 지역산업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모색하여 전남 U-물류체계 구축을 위한 RFID/USN 기반의 종합물류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또한 3각 물류거점인을 연계하는 교통망의 추진과 관련하여 광주시내 및 인근에 산재해 있는 중소형 수출입 물류거점을 조기통합추진이 필요하며 국제공항인 무안공항을 중심공항으로 육성하기 위한 방안을 설정하고 항공화물 처리를 위한 화물터미널의 기능을 강화하여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