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t. Hoemun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회문산 일대의 관속식물 분포 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in the Mt. Hoemun)

  • 오현경;변무섭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01-110
    • /
    • 2009
  • The vascular plants in the Mt. Hoemun were listed 541 taxa composed of 113 families, 354 genera, 473 species, 1 subspecies, 64 varieties and 3 forms. Divided into 541 taxa; woody plants were 151 taxa (27.9%) and herbaceous plants were 390 taxa (72.1%). Based on the list of rare plants by the Korea Forest Service, 10 taxa were recorded in the studied areas; Lilium distichum (Preservation priority order: No. 159), Lilium callosum (No. 191), Tricyrtis dilatata (No. 97), Iris ensata var. sponianea (No. 197), Gastrodia elata (No.9), Aristolochia contorta (No. 151), Paeonia obovata (No. 30: Legal protection species), Prunus yedoensis (No. 110 : Planted species), Viola albida (No. 202), Schpolia japonica (No. 208). Based on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15 taxa were recorded; Cephalotaxus koreana, Lilium amabile, Salix purpurea var. japonica, Pseudostellaria multiflora, Aconitum pseudolaeve var. erectum, Filipendula glaberrima, Weigela subsessilis, etc. Based on the list of approved for delivering overseas of plants, 10 taxa were recorded; Carex okamotoi, Lilium distichum, Clematis trichotoma, Vaccinium oldhami, Paulownia coreana, Asperula lasiantha; etc. Specific plant species by floral region were total 4S taxa (8.3% of all 541 taxa of vascular plants); Gastrodia elata, Paeonia obovata in class V, Carex arenicola, Corydalis grandicalyx in class IV, 5 taxa (Spiraea salicifolia, Schpolia japonica, Asperula lasiantha, etc.) in class III, 7 taxa (Lilium distichum, Iris ensata var. spontanea, Caryopteris incana, etc.) in class II and 28 taxa (Camptosorus sibiricus, Orixa japonica, Lonicera praeflorens, etc.) in class I. The naturalized plants in the surveyed sites were 13 families, 38 genera, 43 species, 2 varieties, 45 taxa (Phleum pratense, Medicago sativa, Sonchus asper, etc.) and naturalization rate was 8.3% of all 541 taxa of vascular plants.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an ecosystem disturbing wild plants have been increasing. Therefore, the counter plants for continuous control and conservation are needed on the ecosystem of Mt. Hoemun.

『전경』에 기록된 사명당(四明堂)의 풍수 물형(物形) 연구 (A Study on the Fengshui Shapes of the Four Propitious Sites Recorded in The Canonical Scripture)

  • 신영대
    • 대순사상논총
    • /
    • 제41집
    • /
    • pp.133-178
    • /
    • 2022
  • 본 논문은 『전경』에 기록된 사명당의 물형을 토대로 역대 풍수고서 등에서 말하는 풍수적 명당의 조건인 용, 혈, 사, 수의 이치에 부합하는지를 현장답사와 전통적인 풍수서의 이론을 토대로 전반적인 국세의 부합 여부를 살펴보았다. 전통적인 풍수 이론을 토대로 살펴볼 때, 첫번째로 순창 회문산의 오선위기형의 용맥은 단단한 토질과 암반으로 구성되어 있고 거미줄처럼 얽히고설켜 전후좌우로 구불구불 꺾이고 끊어질 듯 이어지는 산줄기가 엎드리고 일어나기를 반복하는 변화의 산세를 이루고 있다. 두 번째로 무안 승달산의 호승예불형의 풍수적 특징은 승달산의 정상부에서 뻗어 나간 용맥의 좌우로 골을 형성하며 받쳐주는 지각과 견고하게 산맥을 지탱해주는 요도가 잘 발달 되어 있다. 이는 마치 용이 좌우로 꿈틀거리듯 굴곡의 변화가 높고 낮게 엎드리고 일어나는 용맥의 변화가 뛰어남을 알 수 있다. 세 번째로 장성 손룡선녀직금형의 형세는 전반적으로 산과 물이 유정하고 주산과 안산이 단정하며 물이 나가는 수구가 꽉 잠긴 듯하여 기운이 새어나가지 않고, 청룡, 백호, 주작, 현무가 서로 다정하여 물줄기가 길게 감싸는 곳이다. 흙과 암반이 뒤섞인 사이로 혈이 맺힌 손룡 일대는 뛰어난 풍수적 대명당의 적지로 볼 수 있다. 네 번째로 태인 배례전의 군신봉조형의 풍수적 특징은 주산과 안산의 주객이 분명하다. 마을 앞을 흐르는 물줄기가 횡수국으로 마을을 감싸며 산수음양의 기운이 합하여 생기를 품은 지기가 살아 숨 쉬는 국세를 이루고 있다. 산줄기인 용맥은 인체의 혈관과 같고 용은 인체의 수족에 비유됨으로 태인 배례전의 군신봉조형은 하늘과 땅이 스스로 이룬 명당대지임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