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und Area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19초

임해매립지 조경수목의 생리적 특성과 식재수목의 고사율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eath Rate of Planted Trees in Reclaimed Seaside Areas)

  • 박현수;이상석;이상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94-10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Death Rate of Trees (DRT) and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rees(PCT) in POSCO Gwangyang works, which is a reclaimed area. To analyze the DRT, 15 species of deciduous trees were selected, for example Ulmus davidiana var., Zelkova serrata, Melia azedarach var. etc. Though there were numerous factors to affect the growing of trees, 5 PCT were considered to be main factors, soil salt tolerance, wind salt tolerance, water needs, transplanting difficulty, and nutrient needs. According to two kinds of soil-base: mound and pot area, we tested the relationship between 5 PCT and DRT by use of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DRT of Acer palmatum, Cornus kousa, Magnolia kobus, Liriodendron tulipifera, and Albizzia julibrissin were high by more than 20%. On the other hand, Chionanthus retusa,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Celtis sinensis, and Lagerstroemia indica were low by less than 10% in the DRT and are considered to be species suitable for planting in reclaimed areas. 2. The DRT of trees in pot areas was meaningfully higher than in mound areas; for this reason the mound technique is desirable as a soil-base for planting in reclaimed areas. 3. In the pot area, the independent variables, in the order of soil salt tolerance, wind salt tolerance, transplanting difficulty, had an effect on the DRT more significantly than in mount area. On the other hand, wind salt tolerance and soil salt tolerance affected the DRT in mount areas. This means that soil salt tolerance, wind salt tolerance, and transplanting difficulty have to be considered as significant factors to the DRT. Although the researchers tried to interpret how the PCT affected the DRT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n reclaimed areas, it was neglected at an experimental level. Therefore, future research should work on this aspect in detail.

사석제의 건설 공정설계를 위한 수리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for. construction progress of rubble mound breakwaters)

  • 김홍진;류청로;김헌태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17-322
    • /
    • 2003
  • The Sectional and Spatial failure modes are discussed using the experimental data with long crest wave and multi-directional waves considering the failure modes occurring around the rubble-mound breakwater. The spatial & sectional stability and failure mode around the rubble-mound structures with construction progres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ubble mound structures at basic construction step was occurred serious failures when ${\xi}$ was about 6.5. 2) It was clarified that the failure modes at the round head of detached breakwater are classified as failure by plunging breaking on the slope, failure by direct incident wave force and failure by scouring at the toe of the detached break water. 3) The failure mode was found in the lower wave height than the design wave by the breaker depth effect. 4) The failure on the slope were also developed at the lee side of the round head because diffracted wave propagated into the behind area by grouping effect of multi-directional irregular wave.

  • PDF

중성자 방사화분석에 의한 5세기 옹관의 산지 연구 (A Study on Provenance of the 5th Century Jar Coffin using Neutron Activation Analysis)

  • 정광용
    • 보존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59-465
    • /
    • 2010
  • 국내 최초로 5세기 대 옹관을 생산하는 가마가 나주시 오량동유적에서 발견되었다. 이 가마는 영산강 중류에 입지하고 있으며 고대사회 장묘연구에 있어서 생산과 유통구조 그리고 소비체계를 연구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따라서 이 가마에서 생산되는 옹관이 어디로 소비되었는지를 밝히기 위하여 인근 영산강유역을 중심으로 하는 대표적인 옹관 고분유적 5기와 4세기 대 만동유적에서 발굴된 옹관유물을 대상으로 하였다. 중성자 방사화분석법을 이용하여 각 유물들의 미량성분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판별분석을 이용한 통계분석으로 산지의 동일성을 추정하였다. 나주 오량동 가마에서 생산된 옹관은 교역과 유통을 통하여 나주 반남고분, 영암 옥야리고분, 그리고 함평 반암고분에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또한 고창 만동유적과 무안 인평고분의 옹관은 나주 오량동 가마에서 생산된 것이 아니라 다른 산지의 옹관 가마로부터 교역과 유통을 통해 유입되었다고 사료된다.

신라 전기 적석목곽분의 묘형과 집단복합묘군의 성격 (The Nature of the Tomb Form and the Group Tomb Complex of the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 in the Early Silla Phase)

  • 최병현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0권4호
    • /
    • pp.168-197
    • /
    • 2017
  • 본고에서는 경주 월성북고분군에서 조영된 적석목곽분의 존재 양태의 두 측면, 즉 묘형과 집단복합묘군에 대해 고찰하였다. 적석 목곽분은 호석으로 한정된 봉분 안에 단위묘곽이 설치된 원형의 단위고분이 기본형으로, 그 묘형은 단일원분, 연접분, 다곽분으로 구분된다. 단일원분은 피장자 1인의 단장분이고, 연접분은 일반적으로 부부나 혈연관계인 가족의 합장분이다. 다곽분도 대개 최하위 랭크의 묘곽들로 구성된 합장분으로, 월성북고분군의 왕릉구역에만 존재했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현재 조사가 진행 중인 경주 월성북고분군의 쪽샘지구에서는 미고지를 따라 고분들의 소구역 군집현상이 보인다. 이는 당시 사람들이 친연관계에 따라 소집단별로 미고지를 점유하여 그 축선 방향으로 중형급 단일원분이나 연접분을 조영하고 그 주변으로 다수의 소형분들을 위성처럼 배치하여 집단복합묘군을 형성해 나갔기 때문이다. 대릉원지구를 비롯한 경주 월성북고분군의 왕릉구역에서도 고분들은 집단복합묘군을 형성하였다. 왕릉구역의 집단복합묘군은 마립간 왕릉인 초대형 단일원분이나 왕과 왕비의 합장릉인 초대형 표형분을 주분(主墳)으로 그 주변에 대소형 고분들을 배치하여 형성되었다. 집단복합묘군의 피장자 중에는 신분이나 사회적 인격이 대등한 부부나 혈연관계의 가족이 포함되었겠지만, 고분들 사이의 랭크 차이가 현저하여 피장자 모두가 혈연관계였다고 볼 수는 없다. 집단복합묘군에 포함된 하위 랭크 고분의 피장자들은 주분 피장자 및 그 가족과 주종관계의 '소속인'들이었다고 판단된다. 경주 월성북고분군의 적석목곽분에서 보이는 이와 같은 묘형과 집단복합묘군은 신라 마립간시기 중앙의 사회집단과 그 성격을 말해준다. 앞으로 이에 대한 좀 더 정밀한 분석은 당시 신라사회의 여러 측면을 밝히는 데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군장국가산단(장항지구) 호안 설계 (Design of Seawall at Jang-Hang Area)

  • 권오기;고장희;남세현;김성구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7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399-402
    • /
    • 2007
  • This project is the 1st. stage for the foreshore reclamation at Jang-Hang area and its scope is to construct a seawall as outer facilities, road adjacent to the seawall and drainage gate. for the safe protections of the facilities at the reclaimed land hereafter, we adopted the mild slope rubble mound type for the seawall structure which was excellent in interrupting the wave overtopping, as a result of numerical & hydraulic model test about alternative 4 sections. For the flooding prevention of the reclaimed land, we planned the drainage system that could make the flood water level lower than the reclaimed land level. Also, we planned the eco-friendly waterfront area with 8 nature themes through the whole seawall sections.

  • PDF

공동주택단지 내 인공지반 녹지조성 형태에 따른 우수유출 저감효과 (A Study on Runoff Water Reduction Effects According to Shapes of Formation of Artificial Soil Green Area in Multi-Housing Complex)

  • 남미아;장대희;김현수
    • KIEAE Journal
    • /
    • 제13권1호
    • /
    • pp.9-15
    • /
    • 2013
  • This study aims to analyze, by forming an experimental area of artificial soil green area that is of equal scale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runoff water in accordance with the cross-section configuration, applied the benefits in an actual multi-housing case study complex. In examining the measurement test results of the runoff water infiltration amount and surface runoff amount of a low-profile type green area(Dish type) and a general type green area(Mound type), Dish type was seen to have 1.5-times higher runoff water infiltration amount than Mound type during heavy rainfalls and showed about a 50% reduction with respect to the surface runoff amount. In other words, artificial soil green area offers the benefit of reduction of surface runoff amount and suggests, in actuality even with a change to the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artificial soil green area alone at the time of construction of multi-housings, the possibility of benefits and reduction of costs spent on existing rainwater management facilities.

진동다짐에 의한 기초사석의 침하거동 (Settlement Behavior of Foundation Rubble-mound by Vibro-Compaction)

  • 유건선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4C호
    • /
    • pp.127-136
    • /
    • 2011
  • 기초사석 위에서 진동하중을 받는 진동다짐판의 침하는 일시적인 진폭과 소성침하로 나타낼 수 있다. 최대 진동하중이 사석의 지지력을 초과하지 않는 한, 소성침하량은 극한값으로 수렴하며 궁극적으로 정상적인 진동을 한다. 이러한 진동다짐의 침하거동에 대한 실내실험은 수평방향이 구속된 시료에 대하여 진동하중이 전체면적에 작용하도록 수행되었거나 진동대에 시료를 놓고 실험을 수행한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실제 현장에서는 진동하중이 기초사석 표면적의 일부에만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조건에 맞게 쇄석에 진동하중을 작용토록 하였다. 쇄석에 대한 진동다짐실험에 따르면 전체 침하량의 약 90%가 2분 이내에 발생하며, 정적 및 동적응력을 포함한 진동응력 수준이 증가할수록 침하는 증가하였다. 진동다짐시, 진동다짐수, 진폭, 침하량, 재하폭, 진동응력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식을 제안하였다.

Distribution properties of Phragmites australis and Phacelurus latifoilus in the tidal-flat of Suncheon Bay

  • Min, Byeong-Mee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8권1호
    • /
    • pp.57-65
    • /
    • 2015
  • A natural mixed stand of Phragmites australis and Phacelurus latifolius was studied to clarify the distribution properties in a microsite in a tidal flat of Suncheon Bay. The height, density, and biomass of the shoots, as well as the biomass of the root system, were monitored for both species along with the altitude on a mound from June 2010 to October 2013. Firstly, the mean height and dry weight of both species were similar during the growth season. However, individual variations of the sizes of plants in the same species were noticeable. Secondly, the density and dry weight per unit area of P. latifolius increased, but that of P. australis decreased with the altitude on the mound. Thirdly, the root system (rhizomes and roots) of P. latifolius was mostly located in the upper layer (up to 20 cm depth), while that of P. australis was in the lower layer (over 70 cm depth) of the sediment. The roots of P. australis penetrated to the lower parts of the water table, while the roots of P. latifolius did not make contact with free water of the sediment. Fourthly, the removal of the shoot in the early growth season led to a visible reduction of biomass in the late growth season. The reduction rate was larger in P. latifolius than in P. australis. Lastly, in the area where the mound was removed, the density of P. australis increased in the first two years (2010-2011) and was highly sustained inthe last two years (2012-2013). However, the density of P. latifolius was low, and this plant was distributed at the edge of the mound only.

다면체 사석배열 해안구조물에 대한 수치해석모델의 모델링 기법 검증 (Validating Numerical Analysis Model Modeling Method by Polyhedral Rubble Mound Structure Arrays)

  • 최웅식;김기동;한동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3호
    • /
    • pp.723-728
    • /
    • 2014
  • 세굴방지를 위하여 설치하는 해안구조물의 쇄파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리조파실험이 실시된다. 하지만 수리조파실험을 실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실험 장치와 해안구조물의 제작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 수치해석모델과 수리조파실험의 해석결과를 비교하여 검증하면, 수치모델을 활용하여 쇄파효과를 예측할 수 있고 실험 장치와 해안구조물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면체 사석 구조물을 대상으로 수치해석결과와 수리조파실험 결과의 처오름 및 처내림 높이 비교분석을 수행하였고 해석적 모의 조파실험 모델링 기법을 검증하였다. 또한, 사용한 수치해석 접근 방법을 활용하여 사석의 부피비와 마찰면적을 변화시켜 쇄파효과를 예측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