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tor point

검색결과 778건 처리시간 0.031초

비대칭 6상 영구자석 동기 전동기의 정지 좌표계 DQ축 전류를 이용한 스위치 개방 고장 검출 기법 (Algorithm for Switch Open Fault Detection of Asymmetric 6-phase PMSM Based on Stationary Reference Frame dq-axis Currents)

  • 이원석;김한얼;황선환;이기창;박종원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265-270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정지 좌표계 dq-축 전류를 기반으로 하는 비대칭 6상 PMSM의 스위치 개방 고장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의 해당 모터는 2개의 3상 권선이 30°의 전기적 위상차를 갖고 중성점이 분리된 비대칭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듀얼 3상 PWM 인버터와 스위치 개방 고장으로 인한 검출기법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비대칭 6상 PMSM을 구동하기 위해 듀얼 dq축 전류 제어 방식을 사용하며 전역 통과 필터와 저역 통과 필터를 사용해 전류 변동을 감지하여 개방 고장이 발생한 스위치를 검출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의 효과와 유용성은 여러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전기-기계식 구동기를 이용한 블레이드 피치 조종 시스템의 동역학 모델 (Dynamic Models of Blade Pitch Control System Driven by Electro-Mechanical Actuator)

  • 진재현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11-118
    • /
    • 2022
  • 전기-기계식 구동기(EMA)는 전기 모터와 기계적 동력전달 요소를 결합한 것으로 설계 자유도와 유지보수 측면에서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에 적합하다. 본 논문에서는 UAM의 로터 블레이드 피치각을 조종하는 EMA에 대한 연구 결과를 제시한다. 구동기는 역구동형 롤러 스크류를 기반하며, 2절 링크를 통하여 블레이드 피치각을 조종한다. 구동기만의 동역학과 이것을 포함한 블레이드 피치운동의 동역학 방정식을 유도하였다. 블레이드 피치 동역학 방정식의 경우 링크의 영향으로 등가 관성모멘트는 링크 각도에 따라 변한다. 넛트 운동의 관점과 블레이드 피치 운동의 관점에서 등가 관성모멘트의 변동을 분석·비교하는 과정을 제시하였다. 사례로 선정한 모델의 경우에 전자의 등가 관성모멘트 변동이 후자에 비하여 작았으며, 그래서 넛트 운동의 관점에서 유도한 모델이 제어기 설계에 적합하다고 판단한다.

Effect of Step Height and Visual Feedback on the Lower Limb Kinematics Before and After Landing

  • Jangwhon Yoon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9-39
    • /
    • 2024
  • Background: Landing from a step or stairs is a basic motor skill but high incidence of lateral ankle sprain has been reported during landing with inverted foot. Object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anding height and visual feedback on the kinematics of landing and supporting lower limbs before and after the touch down and the ground reaction force(GRF)s. Methods: Eighteen healthy females were voluntarily participated in landing from the lower (20 cm) and the higher (40 cm) steps with and without visual feedback. To minimize the time to plan the movement, the landing side was randomly announced as a starting signal. Effects of the step height, the visual feedback, or the interaction on the landing duration, the kinematic variables and the GRFs at each landing event point were analyzed. Results: With eyes blindfolded, the knee flexion and ankle dorsiflexion on landing side significantly decreased before and after the touch dow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f landing height on the anticipatory kinematics on the landing side. After the touch down, the landings from the higher step increased the knee flexion and ankle dorsiflexion on both landing and supporting sides. From the higher steps, the vertical GRF, anterior GRF, and lateral GRF increased. No interaction between step height and visual feedback was significant. Conclusion: Step height and visual feedback affected the landing limb kinematics independently. Visual feedback affected on the landing side while step height altered the supporting side prior to the touch down. After the touch down, the step height had greater influence on the lower limb kinematics and the GRFs than the visual feedback. Finding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understanding of the injury mechanisms and preventing the lateral ankle sprain.

이마앞겉질을 제거시킨 흰쥐 앞뇌의 바닥핵무리에서 변성축삭종말의 미세구조연구 (Ultrastructure of Degenerating Axon Terminals in the Basal Forebrain Nuclei of the Rat following Prefrontal Decortication)

  • 안병준;고정식;안의태
    • Applied Microscopy
    • /
    • 제35권3호
    • /
    • pp.135-152
    • /
    • 2005
  • 중추신경계통에서도 최고중추인 이마앞겉질 (prefrontal cortex)은 거의 모든 대뇌겉질과 연결되어 있어서 대뇌겉질 각 부분에 저장된 감각, 운동, 언어... 등 모든 정보를 받을 뿐만 아니라, 앞뇌의 바닥핵들 (basal forebrain nuclei)을 비롯한 많은 신경핵들과도 연결되어 있어서 생체 내부환경과 본능에 관한 정보도 받아드린다. 이들 연결을 통해서 이마앞겉질은 변연계통의 본능, 감정, 기억, 학습기능과 줄무늬체계통의 적절한 표현, 대응, 절차기억, 운동조절기능들을 연계하고 조정한다. 앞뇌의 바닥핵들(꼬리핵 caudate nucleus, 줄무늬체바닥핵 fundus striati nucleus, 중격옆핵 accumbens septi nucleus, 중격핵 septal nucleus)도 역시 변연계통과 줄무늬체계통 사이에서 해부학적으로나 기능적으로도 교차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실험은 흰쥐의 이마앞겉질은 제거한 다음, 앞쪽 앞뇌의 바닥핵들에서 변성종말들이 있는지 여부와 그 미세구조를 관찰하려고 시행했다. $250{\sim}300g$된 흰쥐를 실험동물로 이용하였으며, 흰쥐들을 정상군, 대조군, 수술군으로 구분하였다. 수술군은 마취시킨 다음, 뇌수술장치에 고정시키고, 머리피부를 절개한 다음, 이마뼈에 구멍을 만들고, 이 구멍을 통해 이마앞겉질을 흡인하여 제거했다. 대조군은 이마뼈에 구멍을 만드는 과정까지만 실행하였고, 정상군은 아무조치도 취하지 않았다. 수술 후 2일 경과 후에 전자현미경 관찰을 위해 1% glutaraldehyde-1% paraldehyde 혼합액 (pH 7.4)에 1차 고정하였고, 뇌를 적출하여 고정액에 냉장시켰다가, 다음날 해당 신경핵을 적출하여 2차 고정액 (2% osmium tetroxide액)에 고정하였다. Araldite 혼합액에 포매하여 ultratome-V로 자른 절편은 4% uranyl acetate와 2.7% lead citrate로 염색하여 JEM 100CX-II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관찰결과 네 신경핵에서 모두 변성 축삭종말이 관찰되었는데, 출현비율은 상당한 차이를 보여서 가장 변성이 심한 신경핵은 꼬리핵 이었고, 다음은 줄무늬체바닥핵, 중격옆핵, 중격핵의 순서였다. 변성축삭종말이 각 부위에서 연접하는 모양을 비교한 결과 꼬리핵과 줄무늬체바닥핵에서는 모두 가지돌기가시(dendritic spine)에 연접하였으나, 중격옆핵과 중격핵에서는 가지돌기 (dendrite)에 연접하는 것과 가지돌기가시에 연접하는 것이 혼재하였다. 이들 두 신경핵 무리는 이마앞겉질에서 기원하는 축삭종말의 연접차이로 볼 때 서로 다른 회로계통에 속할 것으로 생각되며, 문헌고찰을 통해서 꼬리핵과 줄무늬체바닥핵은 줄무늬체회로 (striatal circuit)에 속하고 중격옆핵과 중격핵은 변연계통회로(limbic circuit)에 속할 것으로 판정했다. 이마앞겉질은 생리적, 약리적, 신경학적 및 형태학적 근거들로 보아 바닥핵들을 통해 변연계통과 대뇌겉질 전체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여겨지는데, 본 실험에서는 네 종류의 바닥핵들, 즉 꼬리핵, 줄무늬체바닥핵, 중격옆핵 및 중격핵과 관련된 신경연접들을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문헌 고찰한 결과 변연계통과 줄무늬체계통이 앞뇌의 바닥에 있는 신경핵들에서 형태학적 교차연결을 통해 정서와 마음의 상태를 행동과 대응으로 표현하는 중요한 신경회로가 존재함을 제안하였다.

Philips ARGUS 감마카메라와 바늘구멍조준기를 이용한 소동물 SPECT 시스템의 개발 및 성능 평가 (Develop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an Animal SPECT System Using Philips ARGUS Gamma Camera and Pinhole Collimator)

  • 김중현;이재성;김진수;이병일;김수미;정인순;김유경;이원우;김상은;정준기;이명철;이동수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445-455
    • /
    • 2005
  • 목적 : 임상용 Philips ARGUS 감마카메라와 특별 제작한 작은 구경의 바늘구멍조준기를 이용하여 animal SPECT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시스템의 물리적인 성능을 평가하고 소동물 실험에 적합한지를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스텝 모터와 이를 제어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피사체 회전장치를 개발하였다. 작은 입구(0.5, 1.0, 2.0 mm)의 바늘구멍조준기를 제작하였고 평면 공간해상도, 민감도, 단층촬영해상도 등을 포함한 물리적 성능을 모든 입구 크기에 대해 실험하였다. 조준기 입구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사용 가능한 시야를 측정하기 위하여, 같은 간격만큼 떨어진 여러 선선원의 영상을 얻고 영상의 시야 내에서 보이는 선 영상의 개수를 이용하여 사용 가능한 시야를 측정하였다. 시야의 정중앙에 놓인 내경 0.5 mm, 길이 12 mm의 Tc-99m 선선원을 이용하여 거리에 따른 평면 공간 해상도를 측정하였다. 전체 반값두께를 'mm'단위로 얻기 위한 환산인자를 평면 영상에서의 두개의 서로 떨어진 선선원으로부터 계산하였다. 시스템 민감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내경 1.0 mm의 Tc-99m 점선원을 사용하였다. 또한 냉소반점 모형과 열소반점 모형, 그리고 [I-123] FP-CIT를 정맥내 주사한 흰쥐의 뇌 영상의 SPECT 영상을 얻었고 여과후역투사 방법으로 재구성하였다. 결과: 사용 가능한 시야의 크기는 조준기의 초점으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하였고 이들의 관계는 선형 함수로 근사되었다(y=1.4x+0.5). 3 cm에서 1.0 mm 조준기로 측정한 민감도와 평면해상도는 각각 71 cps/MBq과 1.24 mm이었다. 1.0 mm 바늘구멍조준기에 대하여 [I-123] FP-CIT를 이용한 흰쥐의 뇌 SPECT 영상에서 각 반구의 줄무늬체 도파민 전달체 분포가 잘 구분되어 보였다. 결론: Philips ARGUS 스캐너와 작은 구경의 바늘구멍조준기로 개발한 새로운 소동물 SPECT 시스템이 소동물 영상을 얻는데 충분한 성능을 가짐을 입증하였다.

인구 고령화를 고려한 승용차 보급예측 연구 (Forecasting of Car Distribution Considering the Population Aging)

  • 김현우;이두헌;양준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31-39
    • /
    • 2014
  • 현대사회에서 자동차는 통근 통학뿐만 아니라 여가 및 편의생활을 위한 매우 중요한 이동수단으로 자리매김한지 오래다. 특히 대표적인 개인 이동수단인 승용차는 개인소득 증대와 개인의 여가시간과 편의 중시하는 라이프 스타일 변화로 인해 1970년대 이후 꾸준히 증가하였다. 1970년 우리나라 인구 천명당 1.9대에 불과했던 승용차는 2012년 기준 291.5대로 42년만에 153배가 증가한 매우 가파른 증가속도로 보유대수를 늘려왔다. 이러한 승용차 보유대수의 예측은 향후 자동차 관련 산업이나 도로건설 및 시설물 설치 등을 위한 계획, 시공, 관리 등에서도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장곡선모형을 이용한 승용차 보유대수 예측을 실시하였으며, 특히 인구 고령화 변수를 포함시켜 보유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2020년대 초에 1차 포화점을 지나 2045년에는 인구 천명당 486.8대를 보유할 것이며, 또한 인구 고령화의 영향으로 고령화 문제가 없을 때에 비해 2045년의 보유대수는 10%가까이 낮은 수치를 가질 것으로 예측되었다.

두가지 피에조 엔진의 사용자 만족도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he user satisfaction between two different piezoelectric engines)

  • 임현미;이규복;이완선;최소영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3권4호
    • /
    • pp.269-277
    • /
    • 2017
  • 목적: 치과의사의 사용 만족도 비교를 통해 두 가지 피에조 엔진의 성능을 비교평가 하고자 한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의 피에조 엔진을 평가하였다:TRAUS XUS10 (Saeshin), PIEZOSURGERY touch (Mectron). 20명의 치과의사가 11개 평가항목에 답하였고, 평가결과는 Likert의 5점 척도를 적용하여 수치화하였다. 핸드피스 소음평가는 10초 동안 5회 측정하여 최고소음을 비교하였다. 핸드피스 발열평가는 세 부위에서 3분동안의 발열량을 측정하였다. 결과: 평가항목 중 '주수펌프 모터의 소음'에서 TRAUS XUS10이 PIEZOSURGERY touch보다 유의하게 만족도가 높았다. 반면, '기능key의 만족도'와 '핸드피스 발열정도'는 PIEZOSURGERY touch가 더 우수했다. 소음 최대값은 TRAUS XUS10이 56.6 dB, PIEZOSURGERY touch는 56.0 dB였다. 두 기기 모두 3분 작동 후 $41^{\circ}C$ 미만의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안전기준을 만족하였다. 결론: TRAUS XUS10는 '기능 key' 및 '핸드피스 발열정도'에서 약간의 개선을 한다면 그 외 대부분의 평가항목에서는 PIEZOSURGERY touch과 견줄만한 성능을 보인다.

대학병원 응급의료센터로 전원되는 중증 외상환자의 현황 및 문제점 (Problems with Transferring Major Trauma Patients to Emergency Medical Center of a University Hospital from Another Medical Center)

  • 한상수;정경원;권준식;김지영;최상천;이국종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4권2호
    • /
    • pp.118-124
    • /
    • 2011
  • Purpose: The incidence of multiple trauma is increasing nowadays and is the leading cause of death among young adults. Initial treatment is well known to be crucial in multiple trauma victims. However, many indiscriminate transfers occur due to the lack of a well-organized trauma system in Kore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current serious state in which major trauma patients are transferred to the Emergency Medical Center of a university hospital from another medical center. Methods: From November 2009 to October 2010,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study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ho visited the Ajou University Medical Center located in Gyeonggi-do. We evaluated the ISS (injury severity score), and a score over 15 point was identified as major trauma. The major trauma patients were separat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visit route,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were analyzed. Results: Among the 88,862 patients who visited to the Emergency Medical Center, trauma patients accounted for 19,950, and 343 of them were evaluated as major trauma patients. Among the 343 patients, 170 patients had been transferred from other medical centers. The proportion of males to females was 3.3:1, and the mean ISS was 22.7. The leading cause of trauma was motor vehicle accidents. Of the total 170 patients, 77.6% were admitted to the Intensive care unit and 36.3% underwent surgery. The 170 patients that had been transferred to our medical center, 78.8% were transferred from Gyeonggi-do, 15.3% were transferred from other regions, and 5.9% were miscellaneous. Conclusion: Almost half of the major trauma victims treat at our medical center had been transferred from other medical centers. Establishing a traumatic system, supported by well-organized trauma centers and emergency medical services, that can reduce inappropriate transfers among medical facilities is essential.

3상 인버터 시스템에서 주파수 특성을 고려한 필름 콘덴서의 DC-link 적용 방법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DC-link Film Capacitor in 3 Phase Inverter System for the Consideration of Frequency Response)

  • 박현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17-122
    • /
    • 2018
  • 대용량 3상 시스템 에어컨은 최근 들어 소비 전력 저감을 위해 인버터 회로를 포함하고 있다. 인버터 회로는 교류를 다이오드를 통해 정류하고 DC-link 전원부 콘덴서에 의해 평활된 직류를 사용한다. 이 때 평활에 사용되는 DC-link 전원부 콘덴서는 전압 리플, 전류 리플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전해 콘덴서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콘덴서의 용량을 줄이게 되면 회로부의 크기 및 무게,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최소점 추정 PPL(Phase Locked Loop) 위상 제어와 평균 전압 d축 전류제어 기법을 조합하여 입력 리플 전류를 약 90% 저감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입력 리플 전류의 감소로 인해 DC-link 콘덴서의 전류 리플도 감소하므로 콘덴서의 용량을 줄일 수 있지만 전해 콘덴서의 경우 등가 직렬 저항(ESR : Equivalent Series Resistance)이 크기 때문에 발열로 인한 수명이 한계를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전해 콘덴서 대신 DC-link 단에 전류 리플을 고려한 필름 콘덴서를 선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필름 콘데서의 정전 용량 선정, 내압 선정, RMS(Root Mean Square) 전류 용량, RMS 전류 주파수 해석을 고려해 콘덴서의 용량을 선정할 경우 1680uF의 전해 콘덴서를 20uF로 용량을 낮추어 설계함으로써 전원부 콘덴서의 크기 및 무게, 비용을 줄였으며 전동기 구동을 통해 동작을 확인하였다.

우리 나라의 환경정책 방향 (Environmental Health Strategies in Korea)

  • 조병극
    • 환경위생공학
    • /
    • 제7권2호
    • /
    • pp.1-10
    • /
    • 1992
  • Since 1960's along with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economic growth has been . achieved, however, at the same time, environmental condition has been seriously deteriorated. . Currently, volume of wastewater has been increasing at annual rate of 7% in sewage and 20% in industrial wastewater. However, the nation's sewage treatment serves only 33% of the municipal wastewater as of 1991. Major portion of air pollutants comes from combustion of oil and coal which comprise 81% of total energy use and emission gases from motor vehicles increasing at an accelerated rate. It is known that Korea generates the highest amount of waste per capta. Nevertheless, it is not sufficient to reduce the volume of waste by means of resources recovery and recycling.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ozone layer depletion, global warming and acid rain, international society has been making various efforts since the 1972 Stockholm conference. In particular, it is expected that the Rio conference which has adopted the Rio declaration and Agenda 21 will form a crucial turning point of the emerging new world order after the Cold War confrontation. To cope with such issues as domestic pollution and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the fundamental national policy aims at harmonizing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he Ministry of Environment has recently set up a mid-term comprehensive plan which includes annual targets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According to the government plan, gradual improvement of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specific measures to achieve them is planned in time frame. Additional sewage treatment plants will be constructed in urban areas with the target to treat 65% of the nation's municipal sewage by 1996. Supply of clean fuels such as LNG will also be expanded starting from large cities as a cleaner substitute energy for coal and oil. In parallel with expansion of LNG, emphasis will be placed on installation of stack monitoring system. Due to the relatively limited land, government's basic policy for solid waste treatment is to develop large scale landfill facilities rather than small sized ones. Thirty three regional areas have been designated for the purpose of waste management. For each of these regions, big scale landfill site is going to be developed. To increase the rate of waste recycling the government is planning to reinforce separate collection system and to provide industries with economic incentives. As a part of meeting the changing situation on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after UNCED, and accommodation regulatory measures stipulated in the global environmental conventions and protocols, national policy will try to alter industrial and economic structure so as to mitigate the increasing trends of energy consumption, by encouraging energy conservation and efficiency. In this regard, more attention will be given to the policy on the development of the cleaner technology. Ultimately, these policies and programs will contribute greatly to improving the current state of national public healt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