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tivation for using smartphones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4초

스마트폰 이용동기와 활용능력이 스마트패드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Motivations and Ability of Using Smartphone on Smartpad Usage Intention)

  • 강응구;김영한;김광용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23
    • /
    • 2012
  • The growing interest in smartphones has increased the number of studies conducted on technology acceptance and user satisfaction. It is now over two years since the launching of smartphones, but there are not many researches on the usage behavior of today's smartphone users. Smart devices have evolved from smartphone to smart pad and smart TV, but there are still not many studies on variables such as knowledge about the parent product and the ability to use it. With this, I decided to study how the motivation and the ability of using smartphones affected the smartphone user's intention to use smartpads. This study presents the usage behavior of smartphone users and proves that the ability to use a parent product (smartphone) affects the user's intention to use an extension product (smartpad).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smartphone usage ability affected both variety of use and rate of use. The convenience and passing time factors affected variety of use; and the social interaction, entertainment and passing time factors affected rate of use. As for the intention to use smartpads, the smartphone usage ability and variety of use positively affected the smartphone user's intention to use smartpads. This study showed that the more the user used a smartphone to pass time and for convenience, the more effectively the user could use various functions. It proves that the variety of use of smartphone is highly related to the acceptance of smartpads. This study also proves that usage ability is an important factor in using innovative products, such as smart devices.

스마트폰 이용동기가 어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광고태도와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 광고침입성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smartphone usage motivation on application display advertising attitude and avoidance: Mediating effect of ad intrusion)

  • 유승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559-56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이용동기가 어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광고태도와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또한, 광고침입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참여자는 309명이며 설문조사방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공변량구조분석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이용동기와 어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광고태도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으며, 광고침입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스마트폰 이용동기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광고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광고태도가 광고회피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광고태도는 지각된 광고침입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스마트폰 에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광고의 침입성 지각은 광고회피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광고태도와 광고회피 행동간에 인과관계에서 광고침입성 지각은 매개효과를 미쳤다. 본 연구결과는 광고회피 행동을 감소시키는 전략을 제안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수업 활성화를 위한 스마트폰 앱·시스템 설계 방안 (Smartphone Applications/System Design Plan for Class Activation)

  • 임경희;김미량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213-223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95%이상의 청소년들이 소유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학교 수업에 활용하는 방안을 탐색하고자 스마트폰 활용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먼저 청소년 관련 요인과 스마트폰 수업 활용의 선행연구에 나타난 주의산만, 의존도, 동기부여, 협동심 고취 요인을 기반으로 필요 기능을 선정한 후에 학생, 교사, 부모의 교육적 역할에 따라 세 버전의 앱을 설계하였다. 이 앱을 이용함으로써 학생은 자율학습, 학습동기 부여, 활발한 상호작용이 가능하고 교사는 학생들과 더욱 밀착하여 세밀한 피드백을 하면서 수업의 질을 개선해 나갈 수 있으며 부모는 학생의 안전한 스마트폰 사용 학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방안으로 학교 수업에서 스마트폰 사용이 활성화되어 교육 효과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Examining the Use of Geotags on Instagram: Motivation, Satisfaction, and Location-based Information Sharing in Hong Kong

  • Chan, Hiu Feng;Cho, Hee Jung;Lee, Hye Eu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4권1호
    • /
    • pp.64-77
    • /
    • 2022
  • The advent of location-based social networks (LBSNs), and the pervasive use of smartphones have allowed individuals to easily inform their status through locational information. This led to a new trend in social media: to upload geotagged photos that illustrate the location of the images and then share them with others. In this circumstance, the curr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use of geotags on Instagram. Further, the motivations for using geotag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among the motivation, satisfac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behavior are analyzed.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411 respondents of Hong Kong who are active Instagram users. Based on uses and gratification theory and goal theory, the users' motivations and goals for utilizing geotags were divided into mainly two categories; task-involved and self-involved goals. Then, four different motivations (contribution, memory aid, showing off, and reputation gaining) were further examined. The result indicated that contribution, memory aid, and reputation gaining were the goals and motivation for the users to utilize geotags on Instagram, having a positive impact on satisfaction. However,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howing off and geotag satisfaction was not supported. Among four different factors, memory aid was found to have the strongest influence on geotagging satisfaction. The result of tes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eotag satisfaction and further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behavior also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findings are also discussed in the study.

The impacts on school life of a occupational therapy student use of smartphone

  • Lee, Sun-Myung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289-1297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ccupational therapy at M college in Changwon and the impact of smart phone use on the school life of college students and to help them find ways to further develop in the future. Method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using questionnaires, and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152 total questions with 15 interpersonal questions, 23 problem solving skills, 43 self-efficacy, 16 class participation scale, and 55 self-directed learning scale. It was conducted to first and second graders of M college and conducted a survey through the corresponding academic year from March 26, 2019 to March 29, 2019 to retrieve 120 questionnaires and use them fo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 20.0. Results: Studies show that "school life satisfaction" is usually the highest at 53 percent. The "smartphone user motivation" was the highest with 50.8 percent, while the "most frequently used feature on smartphones" was the highest with 57.5 percent on SNS. Satisfaction after using a smartphone was the highest with 49.2 percent, while 41.7 percent said it would be easier to acquire and utilize information in the areas of satisfaction. Conclusion: Smartphone addic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problem-solving skills, self-efficacy, participation in classes, and self-control learning items are not only affected by one part, but also by the other.

학습자 요구 분석에 따른 스마트폰 어휘 학습용 어플리케이션의 구현 (Implementation of Application for Vocabulary Learning through Analysis of Users Needs Using Smart Phone)

  • 이지선;최재혁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43-53
    • /
    • 2012
  •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많은 교육용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교육용 어플리케이션은 단순하고 일괄적인 학습 방법으로 인해 학습자들의 요구가 반영되지 않았고 학습 후에 주어지는 피드백 제시 방법에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어휘 학습용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기 위해 기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학습자들의 요구를 설문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학습자들의 동기를 지속시킬 수 있도록 학습자 스스로 세운 학습 목표에 따라 학습 단계에 맞춘 학습 스케줄을 설정하고 체계적인 피드백이 이루어지는 어휘 학습용 어플리케이션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 PDF

모바일 개인방송 시청 요인 분석: HMSAM 모델을 중심으로 (Analysis on the Viewing Intention of Mobile Personal Broadcasting by using Hedonic-Motivation System Adoption Model)

  • 임재완;박병호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8권4호
    • /
    • pp.89-106
    • /
    • 2016
  • 모바일 기술과 비디오 스트리밍 기술이 발달하고 미디어 플랫폼이 다변화 되면서 '페이스북 라이브', '아프리카 TV'와 같은 모바일 개인방송은 기존 IT 시스템과는 다른 수용 패턴을 보이고 있다. 모바일 개인방송 시청 요인에는 오락적 동기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므로 기존의 외재적, 생산적 동기 중심의 시스템 수용 이론으로는 연구의 한계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오락적 동기 시스템 수용 분석에 특화된 HMSAM(Hedonic-Motivation System Adoption Model)을 이론적 틀로 활용하여 모바일 개인방송 시청자의 수용 요인에 어떠한 오락적 동기가 작용하는지 실증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변인에는 즐거움(Joy), 시간 흐름 미인지(Temporal Dissociation), 현실도피감(Escapism), 몰입(Focused Immersion)과 같은 내재적 동기가 포함되었다. 또한 인지된 사용 용이성(Perceived Ease of Use), 인지된 유용성(Perceived Usefulness), 시청 의도(Intention to Watch) 변인도 포함되었다. 연구 분석은 Multi-indicator 모형의 구조방정식을 통하여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와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모바일 개인방송 시청의 즐거움은 시간 흐름 미인지, 현실도피감, 인지된 사용 용이성과 긍정적(+)인 관계를 맺고, 시청의도와 몰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현실도피감 역시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오락적 동기 시스템 수용에 대한 최신 연구인 HMSAM 모델을 이론적 틀로 활용하여 모바일 개인방송 시청 요인들을 새롭게 분석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향후 재미와 오락의 개념을 더 세분화하고, 미디어의 능동적 수용과 수동적 수용을 추가적으로 살펴본다면 더욱 발전된 후속 연구가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omputers and mobile devices on learning foreign languages

  • Chi-Woon Jo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5호
    • /
    • pp.189-196
    • /
    • 2023
  • 본 연구는 정보통신기술(IT)의 발전으로 외국어 교육과 학습에서 기존의 전통적인 '훈련과 연습(drill and practice)'의 방법에서 벗어난 '컴퓨터 보조언어학습(Computer-assisted learning: CALL)'과 '모바일 지원 언어학습(Mobile-based Language Learning: MALL)'이 실제로 어학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연구 대상은 비교적 영어 능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하지 않고, 또한 영어학습에 대한 동기부여를 충분히 느끼지 못하는 전문대학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은 멀티미디어 저작 도구를 이용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제작하여 이러닝(e-learning) 시스템에 등재하여 교육보조재료로 한 학기 동안 활용한다. 동영상 콘텐츠는 컴퓨터, 스마트폰, 테블릿, 노트북 등 다양한 매체로 접근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콘텐츠의 구성, 학습에 도움 여부, 보완해야 할 부분, 콘텐츠 접근 빈도, 학습경로 등을 분석한다. 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어학 학습의 효과, 교육용 콘텐츠의 개선해야 할 부분 및 교육에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제언한다. 궁극적으로는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을 위한 컴퓨터 및 모바일 매체에 대한 효용성 분석과 활용방안을 제언한다.

오픈소스 Moodle 학습관리시스템 기반의 협동학습 운영 사례에 관한 연구 - 사용자의 협동학습지원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f collaborative learning implementation using open source Moodle learning management system - for collaborative learning promotion by users -)

  • 이종기
    • 서비스연구
    • /
    • 제6권4호
    • /
    • pp.47-57
    • /
    • 2016
  • 오픈소스는 스마트폰의 등장과 함께 놀라운 확산을 하고 있다. 이러닝 분야의 오픈소스인 Moodle 학습관리시스템은, 상용프로그램인 Blackboard를 제외하고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학습관리시스템이다. 그 이유 중 하나는 교육공학의 이론적 기초가 되며, 이러닝의 핵심 원칙이라 할 수 있는 구성주의 원칙에 따른, 협동학습과 상호작용이 잘 지원되도록 설계되어, 높은 교육적 효과와 장점을 가지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오픈소스인 Moodle 학습관리시스템을 이용한 협동학습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사용자의 협동학습을 지원하는 구체적 내용을 소개하고, 사례를 통하여 나타난, Moodle 학습관리시스템 협동학습의 장점과 특이점을 살펴본다. 연구 결과 PC와 스마트폰 환경에서 동시에 구현된, Moodle 학습관리시스템의 팀 프로젝트 협동학습을 통하여, 협동학습의 재미와 유용성을 확인하고, 학습자체의 중요성을 넘어 관계의 중요성이 학습자의 협동학습동기를 유발시킨다는 것을 사례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관광지 교육을 위한 교육용 챗봇 큐레이터 (Study on Curator of Tourist Attractions using Chatbot)

  • 박종현;김임여름;류기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303-308
    • /
    • 2022
  • 챗봇은 문자나 음성을 통해 사람과 가능한 응답형 채팅 프로그램으로 스마트폰에 탑재된 'Siri'나 'Bixby'도 챗봇 시스템을 활용한 대표적인 인공지능이다. 챗봇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자 관광 외식 업계에서도 주목하기 시작했다. 머신러닝 기술이 발달하면서 보다 유연한 대화를 구사할 수 있게 되었고, 곧 교육의 영역까지 확대되었다. 이용자는 챗봇과의 대화를 통해 상호작용을 하게 되는데, 활발한 상호작용은 이용자의 욕구를 자극함과 동시에 학습동기 등의 긍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챗봇을 활용한 추천 시스템 프로그램들은 이용자의 선호도에 맞춰 상품을 추천해줌은 물론 다양한 부가 정보까지 제공한다. 본 연구는 챗봇 시스템과 관광서비스를 접목시킨 프로그램을 기획하였다. 챗봇 큐레이터는 이용자에게 학습을 통해 흥미와 호기심을 유도하고, 비로소 관광 욕구를 촉진시는 형태로 발전할 것이다. 본 연구를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기초 기반를 다지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