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rningness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18초

일주기 유형에 따른 삶의 만족도와 양극성 경향 (Life Satisfaction and Bipolarity according to Circadian Typology)

  • 박환진;이혜경;신용진;이건석
    • 생물정신의학
    • /
    • 제22권3호
    • /
    • pp.135-139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circadian typology, bipolarity and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Methods A total 1232 participants completed questionnaires, which included Composite Scale of Morningness (CSM),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 and Mood Disorder Questionnaire (MDQ). Statistical analyses were done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analysis of covariance. Results The CSM scor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WLS score (r = 0.232 ; p < 0.001). The morningness group has higher life satisfaction than the eveningness group (p < 0.001). The eveningness group has higher bipolarity than the morningness group (p < 0.001). The CSM score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MDQ score (r = -0.128 ; p < 0.001). Conclusions Bipolarity and life satisfaction were associated with circadian typology. Morningness was the important determinant of life satisfaction and bipolarity.

PER3 유전자다형성과 일중선호도의 연관성 (Association Study between Per3 Gene Polymorphism and Diurnal Preference)

  • 강승걸;최태영;윤호경;박영민;김린;이헌정
    • 수면정신생리
    • /
    • 제18권1호
    • /
    • pp.35-39
    • /
    • 2011
  • 목 적: 일중선호도는 하루 중 어느 시간대에 각성도가 높고 활기찬 지에 대한 경향으로 아침형-저녁형이라고도 알려져있다. PER3 유전자는 일중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젊고 건강한 피험자들에서 환경과 혼란요인들을 통제하고 PER3 유전자 다형성과 일중선호도간에 연관을 연구하였다. 방 법: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299명의 의과대학생들(남자 299, 여자 191명)이며 평균연령은 22.9세였다. 일중선호도는 13개 문항의 Composite Scale for Morningness (CSM)로 측정하였다. PER3 VNTR(rs57875989)의 유전자형분석은 중합효소연쇄반응법을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양측검정으로 유의수준은 p<0.05로 하였다. 결 과: 전체 대상자에 대한 CSM 점수는 31.90${\pm}$6.39 (평균${\pm}$표준편차)였다. 남녀간에 CSM 총점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ER3 5R/5R에서 CSM 점수가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PER3 VNTR(rs57875989) 유전자형과 대립유전자에 따른 CSM 점수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본 연구는 젊은 건강한 한국인에서 PER3 V- NTR과 일중선호도간의 연관을 입증하지 못했다. 향후 보다 대규모의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PER3의 여러 유전자들에 대해 다형성과 일중선호도간의 연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주요우울증 환자에서 일주기 형태에 따른 양극성 경향, 자살 사고, 청각유발전위와의 관련성 : 예비 연구 (Chronotype in Relation to Bipolarity, Suicidal Ideation, and Auditory Evoked Potentials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 Preliminary Study)

  • 박영민;이승환
    • 생물정신의학
    • /
    • 제21권1호
    • /
    • pp.14-20
    • /
    • 2014
  • Objectives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putative relationship between chronotype and suicidality or bipolarity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Method Nineteen outpatients who met the criteria for MDD according to the fourth edition of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text revision were recruited for the current stud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subgroups based on their Basic Language Morningness (BALM) scores (dichotomized according to the median BALM score). The Loudness Dependence of Auditory Evoked Potentials (LDAEP)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auditory event-related potentials before beginning medication with serotonergic agents. In addition, K-Mood Disorder Questionaire (K-MDQ), Beck Scale for Suicidal Ideation (BSS), Beck Hopelessness Scale (BHS), Barratt Impulsiveness Scale (BIS) were applied. Results The K-MDQ, BSS, BHS, BIS score was higher for the eveningness group than for the morningness group. However, the LDAEP,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Hamilton Anxiety Scale score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m.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total BALM score and the total K-MDQ, BSS, and BHS scores (r=-0.64 and p=0.0033, r=-0.61 and p=0.0055, and r=-0.72 and p=0.00056, respectively). Conclusions Depressed patients with eveningness are more vulnerable to the suicidality than those with morningness. Eveningness is also associated with bipolarity.

RORA 유전자 다형성과 한국인 젊은 성인에서 일중선호도와의 연관성 (Association of the RORA Gene Polymorphism and Diurnal Preference in a Young Korean Population)

  • 주훈;조철현;문정호;김린;이헌정
    • 수면정신생리
    • /
    • 제23권1호
    • /
    • pp.25-28
    • /
    • 2016
  • 목 적 : Retinoid-related orphan receptor A (RORA) 유전자가 일주기리듬의 조절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알려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RORA 유전자다형성과 일중선호도의 연관성을 한국인 젊은 성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방 법 : 광고를 통해 모집한 504명의 젊은 성인이 최종적으로 대상에 포함되었다. 모든 대상은 13문항 composite scale for morningness (CSM)를 작성하였다. RORA rs11071547 단일염기다형성은 PCR 기반한 실험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 CSM 점수결과 일중선호도는 RORA rs11071547 SNP의 유전자형과 대립유전자 보유여부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이러한 연구결과는 RORA rs11071547 SNP가 일중선호도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Relationship between chronotype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newly hired hospital nurses in the Republic of Korea

  • Semi Lee;Han-Na Jung;Jia Ryu;Woo-Chul Jung;Yu-Mi Kim;Hyunjoo Kim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 /
    • 제34권
    • /
    • pp.32.1-32.12
    • /
    • 2022
  • Backgrou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ronotype and depressive symptoms to provide grounded knowledge in establishing nurses' health promotion strategie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93 newly hired nurses working in 2 general hospitals within the university from September 2018 to September 2020. Sociodemographic and work-related characteristics were collected from a medical examination database and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These included sex, age, marital status, living situation, education level, alcohol consumption, physical activity, prior work experience before 3 months, workplace, and departments. To analyze the associations between the chronotype and depressive symptom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calculate odds ratios (ORs). Results: Among participants, 9.1% had depressive symptoms and 16.4% had insomnia. The subjects are divided into morningness (30.2%), intermediate (48.7%), and eveningness (21.1%).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ontrolling for age, living status, education level, alcohol consumption, physical activity, workplace, prior work experience before 3 months, and insomnia, revealed that the OR of depressive symptoms in the eveningness group was 3.71 (95% confidence interval [CI]: 1.50-9.18) compared to the morningness group, and the R2 value was 0.151. It also can be confirmed that insomnia symptom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ve symptoms (OR: 2.16, 95% CI: 1.03-4.52). Conclusions: Our findings suggest that evening-type nurses are more likely to have depression than morning-type nurses. We should consider interventions in a high-risk group such as the evening type nurses to reduce depressive symptoms in nurses.

대학생의 일주기유형과 우울한 기분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ircadian Types and Depressive Mood on Internet Addiction in Korean College Students)

  • 오규수;이혜경;이건석
    • 생물정신의학
    • /
    • 제23권4호
    • /
    • pp.173-178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circadian types, depressive mood and internet addiction an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ve mood between circadian types and internet addiction in Korean College Students. Methods A total of 2632 participants completed questionnaires, which included the Korean translation of the Composite Scale of Morningness (CSM),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PHQ-9),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Internet Addiction Test (KIAT). Statistical analyses were done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alysis of covariance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The CSM score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PHQ-9 score (r = -0.226, p < 0.001) and the KIAT score (r = -0.218, p < 0.001). The eveningness group showed higher scores in depressive mood and internet addiction than the morningness group (p < 0.001). Depressive mood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circadian types and internet addiction (${\beta}=0.255$, p < 0.001). Conclusions Internet addiction was associated with circadian types and depressive mood. These results suggest that depression and circadian rhythm management would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internet addiction.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일주기 리듬 특성에 따른 주간 졸음과 우울감의 차이 (Morningness-Eveningness Affects the Depressive Mood and Day Time Sleepiness of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Patient)

  • 김성호;주은정;이규영;구영진;김의중
    • 수면정신생리
    • /
    • 제19권2호
    • /
    • pp.77-83
    • /
    • 2012
  • 목 적: 저녁형일수록 우울해지기 쉽다는 경향성이 일반 인구집단이 아닌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들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와 상황별 졸음 평가지 등을 통해 얻은 자료 중 저녁형일수록 증가되는 항목과 우울할수록 증가되는 항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8년 1월 1일부터 2011년 2월 18일까지 을지병원 수면장애 클리닉에 내원한 환자들 중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OSA로 진단받은 환자 211명을 대상으로 인구학적 자료와 신체 계측 자료를 얻었으며, 상황별 졸음 평가지(ESS). 아침형-저녁형 설문지(HOQ), 한국판 기분상태척도(K-POMS),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얻은 자료를 분석하였다.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통해 아침형군과 저녁형군, 중간형군 별로 인구학적 자료 및 신체계측자료, 수면다원검사 자료에 대한 평균값 비교를 시행하였다. 이후 연령과 체중을 보정하여 인구학적 자료 및 신체계측자료, 수면다원검사 자료들간의 편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연령과 체중을 보정한 공분산분석을 통해 아침형군과 저녁형군, 중간형군 별로 각각의 인구학적 자료 및 신체계측자료, 수면다원검사 자료에 대한 평균값 비교를 시행하였다. 결 과: 나이와 체중을 보정한 편상관분석에서 HOQ점수에 따라 저녁형일수록 K-POMS, POMS-T, POMS-D, POMS-A, POMS-F, POMS-C 점수가 상승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반대로 아침형일수록 POMS-V, AHI, respiratory arousal index, snore time(%)이 증가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우울할수록 POMS 총점과 POMS-T, POMS-A, POMS-F, POMS-C, sleep latency, stage 2 sleep(%)가 증가되는 경향성이 나타나고, 우울할수록 HOQ점수가 낮아지므로 저녁형이며, 우울할수록 stage 1 sleep(%), AHI, TAI, respiratory arousal index, 목 둘레가 감소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공분산 분석을 통해 나이와 체중을 보정한 뒤 아침형, 중간형, 저녁형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항목은 K-POMS, POMS-T, POMS-D, POMS-F, POMS-C, spontaneous arousal index이다. 결 론: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도 일반인구집단에서처럼 저녁형일수록 우울한 경향성이 나타난다. 이러한 경향성은 주간 졸음 등과는 무관하며, 무호흡의 심각도와도 관련성이 적은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므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를 평가할 때 무호흡의 심각도를 평가하는 것과는 별도로 아침형-저녁형의 일주기리듬을 확인하고 저녁형인 경우 환자의 우울감에 대한 추가적인 접근을 하는 것이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수면의학(睡眠醫學)에 있어서 지필(紙筆) 척도(尺度)의 활용(活用) -과도한 주간 졸음과 일주기리듬의 평가를 중심으로- (Usefulness of Various Questionnaires in the Assessment of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and Circadian Rhythm)

  • 김무진
    • 수면정신생리
    • /
    • 제1권2호
    • /
    • pp.125-144
    • /
    • 1994
  • 수면의학에서 사용되는 여러 설문지 검사중 과도한 주간졸음과 일주기리듬의 평가를 위한 것들을 소개하고 그 장단점과 특성을 검토하였다. 임상수면의학, 산업의학, 혹은 역학조사에서 이러한 지필척도의 활용이 요구되고 있으나 아직 객관적 타당성이 충분히 검토되지 못했으므로 추후연구가 요구된다. 타당성을 제고할 임상, 혹은 교대근무상황에서의 연구가 더욱 확장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여성의 수면습관 및 식습관과 지각된 피부건강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Pattern, Eating Habit, and the Perceived Skin Health among Female Adults)

  • 양미영;서경현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1-22
    • /
    • 2009
  • Objectives: The researchers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pattern (circadian rhythm/sleep deprivation), eating habit, and the perceived skin condition of female adults, in orders to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to women who want to maintain healthy skin and professionals in health promo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97 female adults whose ages ranged from 20 to 60 (M=35.14, SD=10.37). The questionnaires and psychological tests used in this research included the following: Circadian Rhythm Questionnaire, Sleep Deprivation Scale, Eating Habit Questionnaire, Skin Condition Questionnaire, Scale for Perceived Skin Health. Results: Results indicated that evening type women had more fatty skin and felt their skins less healthier than morning type. Although women who did not deprived their sleep had more fatty and sensitive skin and felt their skins less healthier than women who deprived their sleep, sleep depriva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morningness, and the morningness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 preference of fatty and spicy foods. Only the preference of fatty foods among eating habit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fatty and sensitive skin, and negatively to the perceived skin health. Regression analyses with circadian rhythm and the preference of fatty foods revealed that only circadian rhythm was significant predictor for the fatty skin, while the preference of fatty foods was only significant predictor for the sensitive skin and the perceived skin health. And, circadian rhythm and the preference of fatty foods accounted for around 12.0% variance of the fatty skin. Conclusion: This study reiterates the roles of fatty foods on skin health, and found the role of circadian rhythm on skin health, and it is need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deprivation and skin condition further. These results may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health practitioners.

일주기 유형의 평가와 이해 (Assessment and Understanding of Chronotype)

  • 김소민;김석주
    • 수면정신생리
    • /
    • 제26권1호
    • /
    • pp.5-15
    • /
    • 2019
  • 일주기 유형의 차이는 다양한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기존 연구결과들에 따르면 일주기 유형 중 아침형이 몇몇 정신장애의 보호요인인 반면 저녁형은 위험 요인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아침형에서 나타나는 습관들은 저녁형보다 더 건강하다. 성인의 생활양식을 형성하는 과정에 있는 청소년 시기와 생활습관과 관련된 건강 문제가 잦아지는 노년기에 일주기 유형의 중요성이 더욱 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일주기 유형을 생물-심리-사회적 건강 모델에 포함시켜 보다 효율적인 예방 및 치료적 접근을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겠다. 정신장애 치료에서도 일주기 리듬을 고려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취침-기상, 식사, 그리고 일상 활동을 규칙적인 아침형 패턴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광치료(light therapy)와 멜라토닌 주입(melatonin administration)과 같은 전략들도 정신장애의 치료 및 재발 방지에 효과적일 수 있다. 일주기 유형 기저의 유전학을 이해하는 것 또한 어떤 사람이 특정한 생활 양식이나 정신장애에 취약한지 구별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