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nthly Active Users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1초

자판기로 모바일뱅킹 월별 고객 활성화 (Boost Mobile Banking Monthly Active Customers with Vending Machines)

  • 주영걸
    • 디지털정책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7
    • /
    • 2023
  • 본 중국에서는 시중은행들이 모바일뱅킹을 출시하고 있으며, 동질화된 상품으로 모바일뱅킹 경쟁이 치열하다.모바일뱅킹 월간 활성고객(MAU)은 모바일뱅킹 운영 성과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로 시중은행들이 직면한 과제이다.본 연구의 목적은 자동판매기를 이용하여 모바일뱅킹의 월간 고객활성화를 위한 전략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문헌법과 사례법을 통해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자동판매기를 사용하면 모바일뱅킹의 월간 활성고객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별화된 전략을 실현하여 모바일뱅킹 시장을 점유할 수 있다.동시에 이 연구는 상업 은행의 비즈니스 발전에 일정한 도움과 지도 의의가 있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분석: 사용자 반응과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중심으로 (Mobile Application Updates: User Responses and Unintended Consequences)

  • 송형근;고병완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1권2호
    • /
    • pp.91-115
    • /
    • 2019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시장에서 업데이트는 (i) 어플리케이션의 가시성을 높이거나, (ii) 기존 사용자들의 충성도를 높이고 가치를 제고하거나, (iii) 기능 추가를 통해 시장을 확대하는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한 전략적 마케팅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많은 연구와 사례들은 이러한 업데이트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시장에서 생존하기 위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다른 사례들은 업데이트가 오히려 사용자들의 반발과 이탈을 불러오기도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제 사용량 데이터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이용 목적과 시장경쟁 환경에 따라 업데이트가 사용자들의 어플리케이션 이용패턴에 사용자수 측면에서, 이용빈도수 측면에서, 그리고 이용시간 측면에서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였다.

콘솔과 PC 플랫폼 게임에서 모바일 플랫폼 게임 출시를 위한 효과적인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ive Methods for Launching Mobile Platform Games in Console and PC Platform Games)

  • 이민철;김효남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2호
    • /
    • pp.141-143
    • /
    • 2023
  • 콘솔 및 PC 게임이 모바일 플랫폼으로 진출하는 경우 기존에 출시했던 플랫폼과 다르게 모바일 플랫폼에 맞는 조작, UI, 과금 정책 등의 다양한 부분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모바일 플랫폼의 화면 크기 조작의 한계를 반영해 전투, 퀘스트 진행, 파티 조합, 장비 장착, 캐릭터 육성 등 게임 플레이 전반의 자동 시스템을 구축해 유저에게 조작 편의성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존의 유료화 게임 형태의 판매 전략에서 부분 유료화의 전환에 따른 기존의 유저가 느낄 수 있는 과금 거부감을 해소하기 위해 시즌 패스, 월정액 시스템 등을 도입해 소 과금으로 유저들에게 게임 내에서 만족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게임의 일회적인 판매량이 매출에 영향을 주는 것과 다르게 주기적인 유저들의 접속(DAU, MAU)에 따른 과금 정도가 매출 및 게임 순위 등에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꾸준한 업데이트와 이벤트 제공을 통해 기존 유저들이 장기적으로 게임에 접속하도록 유도하고, 신규 유저들이 게임에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과정과 같은 발전 방안을 제시해 본다.

  • PDF

A Cross-Sectional Analysis of Breast Reconstruction with Fat Grafting Content on TikTok

  • Gupta, Rohun;John, Jithin;Gupta, Monik;Haq, Misha;Peshel, Emanuela;Boudiab, Elizabeth;Shaheen, Kenneth;Chaiyasate, Kongkrit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9권5호
    • /
    • pp.614-616
    • /
    • 2022
  • As of November 2021, TikTok has one billion monthly active users and is recognized as the most engaging social media platform. TikTok has seen a surge in users and content creators, ranging from athletes to medical professionals. In the past year, content creators have utilized the app to advocate for social reforms, education, and other uses that were not previously considered. Breast cancer is the most commonly diagnosed cancer in women, with an expected 281,550 new cases of invasive breast cancer in 2021. As more individuals with breast cancer choose to undergo resection, the demand for autologous fat grafting in breast reconstruction has increased due to the natural look and feel of breast tissu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content related to breast reconstruction with fat grafting found on TikTok and recommend methods to improve patient education, care, and outcomes. We searched TikTok on November 1, 2021, for videos using the phrase "breast reconstruction with fat grafting." The top 200 videos retrieved from the TikTok search algorithm were analyzed, and all commentaries, duplicates, and nonrelevant videos were removed. Video characteristics were collected, and two independent reviewers generated a DISCERN score A total of 131 videos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y were found to have a combined 1,871,980 likes, 41,113 comments, and 58,662 shares. The videos had an average DISCERN score of 2.16. Content creators had an overall low DISCERN score in items involving the use of references, disclosure of risks for not obtaining treatment, and support for shared decision-making. When stratified, the DISCERN score was higher for videos created by physicians (DISCERN average 2.48) than for videos created by nonphysicians (DISCERN average 1.99; p < 0.001).

페이스북 브랜드 팬 페이지의 경품 이벤트 마케팅 전략에 관한 탐색적 연구 (Exploring Sweepstakes Marketing Strategies in Facebook Brand Fan Pages)

  • 최윤진;전병진;김희웅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6권2호
    • /
    • pp.1-23
    • /
    • 2017
  • Purpose Facebook is a social network service that has the highest number of Monthly Active Users around the world. Hence, marketers have selected Facebook as the most important platform to get customer engagement. With respect to the customer engagement enhancement, the most popular and engaging post type in the Facebook brand fan pages related to what was usually classified as 'sweepstakes'. Sweepstakes refer to a form of gambling where the entire prize may be awarded to the winner. Which makes customers more engaged with the brand. This study aims to explore sweepstakes-oriented social media marketing approaches based on the application of big data analytics. Design/methodology/approach we collect sweepstakes data from each company based on the data crawling from the Facebook brand fan pages. The output of this study explains how companies in each category of FCB grid can design and apply sweepstakes for their social media marketing. Findings The results show that they have one thing in common across the four quadrants of FCB grid. Regardless of the quadrants, most frequently observed type is 'Simple/Quiz or Comments/Quatrains [event type of sweepstakes] + Gifticon [type of reward prize] + Image [type of message display] + No URL [Link toother website] +Single-Gift-Offer [type of reward prize payment]'. So, if the position of the brand is hard to be defined by the FCB grid model, then this general rule can be applied to all types of brands. Also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quadrants of the FCB grid were observed. This study offers several research implications by analyzing Sweepstakes-oriented social media marketing approaches in Facebook brand fan pages. By using the FCB grid model, this study provides guidance on how companies can design their sweepstakes-oriented social media marketing approaches in the context of Facebook brand fan pages by considering their context.

시군 실업통계 작성을 위한 소지역 추정모형 (Small Area Estimation to Unemployment Statistics in Korea)

  • 김진;김재광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7권3호
    • /
    • pp.337-347
    • /
    • 2010
  • 대부분의 통계조사는 전국 및 시도단위와 같은 전체 또는 규모가 큰 지역을 위한 통계작성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들어 소규모 지역의 신뢰있는 통계결과에 대한 통계 이용자들의 요구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경제활동인구조사는 전국 및 16개 시도를 위한 실업률을 매월 작성하고 있으나, 시군별 직접추정량은 적은 표본규모 때문에 신뢰도가 낮다. 본 연구에서는 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 제공되는 실업자수에 대한 통계를 시군별로 작성하기 위한 모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보조정보로부터 "정보를 빌려오는(borrow strength)" 지역단위모형(Area level model)을 사용하였다. 제안된 모형 기반 추정(Model-based Estimation)은 모형 오차의 정규성 가정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평균제곱오차 측면에서 제안된 모형들을 비교하였다.

베이비부머 소비자의 온라인을 통한 외식정보채널유형 선택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Type of Selecting Channels through the On-Line about Restaurant Information by Baby Boomer Consumers)

  • 최수지
    • 한국노년학
    • /
    • 제36권3호
    • /
    • pp.711-726
    • /
    • 2016
  •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 외식소비자가 온라인을 활용한 외식정보를 탐색 시 1)군집에 따른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차이 2)군집별 온라인 채널 선택유형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3개월 내 온라인 채널을 활용해 외식정보를 탐색한 수도권지역에 거주하는 베이비부머 외식소비자 총 280명을 대상으로 2016년 4월15일부터 4월 30일까지 조사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요인분석, 군집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결과 온라인 활용속성은 3개의 요인, 정보 유용성 몰입, 온라인 주도활동과 습관이 도출되었다. 요인분석을 바탕으로 베이비부머 소비자를 군집분석 하였다. 4개의 군집으로 온라인 적극활용형, 습관형, 온라인 주도 활동형과 소극활용형으로 세분화되었다. 군집별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성별과 월평균소득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개인형 온라인 채널에서 4개의 군집 모두 개인블로그, 페이스북, 트위터 순으로 선택하였다. 기업형 온라인 채널에서는 온라인 적극활용형과 습관형은 외식업체 공식홈페이지. 공식블로그, 공식페이스북, 공식트위터 순으로 선택하였다. 온라인 주도 활동형과 소극활용형은 외식업체 공식홈페이지. 공식블로그, 공식트위터, 공식페이스북 순으로 선택하였다. 또한 시사점과 향후도 논의하였다.

장기요양서비스 수요의 결정요인 (Determinants of Demand for Long-Term Care)

  • 정완교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1권1호
    • /
    • pp.139-167
    • /
    • 2009
  • 본 논문은 65세 이상 고령인구의 수와 노인들의 건강상태 등만을 중심으로 한 기존의 연구에 더하여,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제2차 시범사업의 자료를 이용한 계량분석을 통해 장기요양서비스 수요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우선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상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에 대한 보험 적용 대상자를 정하는 등급판정에 일상생활활동에서의 장애가 노인들이 많이 앓고 있는 고혈압, 관절염, 치매 등의 질환을 통제하고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노인들의 건강상태, 여성, 기초생활수급자 여부, 노인가구 형태, 노인가구의 월평균 소득 등이 장기요양서비스이용 및 이용 양태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노인가구의 월평균 소득을 통제하고서도 장기요양서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기초생활수급 대상 노인들의 재가서비스 이용확률이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소득과 더불어 장기요양서비스의 가격도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의미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