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nocotyledoneae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초

단자엽 식물아강(관속식물문 : 피자식물강)의 잡초 가해 곤충상 (Phytophagous Insect Fauna of Monocotyledoneae (Tracheophyta : Angiospermae) Weeds)

  • 추호렬;우건석;김준범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70-173
    • /
    • 1992
  • 단자엽식물아강의 잡초가해 곤충을 조사하기 위하여 1991년 5월부터 10월까지 전국의 각도를 전자형으로 나누어 교차지점인 9개지역을 중심으로 각도에서 무작위로 실시한 결과 잡초로는 벼목에서 14속 14종이 채집되었으며 분질배유목에서 1종, 백합목에서 1종등 17속 17종이 채집되었다. 이들을 가해하는 곤충으로는 5목 13과 27속 36종이 채집되었는데 메뚜기류와 노린재류 및 풍뎅이와 잎벌레가 빈번하게 채집되었고 5종은 미동정 되었다. 그중 닭의장풀에서 노란배남색잎벌레의 가해능력이 우수하였고 강아지풀에서 Oulema dilutipes 잎벌레가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그리고 골프장의 닭의장풀에서 채집된 다색풍뎅이는 가해능력은 우수하였으나 잔디와 수목해충으로 이들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 바람직하지못하였다.

  • PDF

공중비산화분(空中飛散花粉)에 관한 연구(硏究) (I) -종로구의 경우- (Studies on the Airborne Pollen Grains at Chong-ro District in Seoul)

  • 석귀덕
    • 생약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55-161
    • /
    • 1977
  • Pollinosis usually caused by the airborne pollen grains, is an allergical disease which causes snivel and sneeze. The author has studied on airborne pollen grains collected at Chong-ro district in Seoul about 15m from April 1975 to March 1976. The obtained grains were 4 spp. of Gymnospermae, 19 spp. of Dicotyledoneae and 10 spp. of Monocotyledoneae. The tree season ranged from March to June, Alnus, Pinus and Acer were prevalent. The grass season ranged from May to October, Gramineae were prevalent. The weed season ranged from August, Artemisia were prevalent and ragweed was found.

  • PDF

전국과학전람회 생물부문 출품작 분석 (An Analytical Study of the Exhibits in the Section of Biology in the National Science Fairs)

  • 최도성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2권1호
    • /
    • pp.97-108
    • /
    • 2003
  • The total 4,895 works presented at Science Fairs for the past 17 years(1986∼2002) are classified by subjects and participators, and the 1,277 works in biology section are analyzed by participators, contents, and object materia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proportion of exhibits according to sections was the most in Biology(26.1%). The social position of exhibitors and its proportion were 45.7% in students and 54.3% in teachers and popular people. The proportions of students' exhibits by the level of school were elementary school(68.3%). middle school(14.3%), and high school(17.4%). This indicates rapid decrease in the number of exhibi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The proportion of students' exhibits(55.9%) is higher than that of teachers' exhibits(44.1%) in the section of Biology. In terms of contents, exhibits about Physiology and Ecology were the most(67.6%). The materials used in those exhibits and the proportion were Animalia(50.9%), Plantae(39.9%), Fungi(5.7%), Monera(1.8%), and Protista(1.7%). The proportion of taxa in plants studied in the exhibits were Dicotyledoneae(65.9%) and Monocotyledoneae(17.3%). The proportion of taxa In animals was Arthropoda(60.2%), Vertebrata(24.9%), and Mollusca(11.1%). The species used in those exhibits and its times were pine tree(11 times), dandelion(10 times), and butterfly(11 times).

  • PDF

장산 생태숲 조성부지의 식생특성 (Vegetation Characteristics in Ecological Forest Site on the Mt. Jangsan)

  • 김석규;남정칠;박승범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1-16
    • /
    • 2012
  • The research has analysed the targeted land situation, the composition of species, legally controlled plants, vegetation distribution, dominance, species diversity, and the similarity to evaluate the plant characterization of the eco forest in Jangsan, Busa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s as following. The number of the plants that belongs to the area is 63 families, 126 genuses, and 163 species. Among them the fern plants : 4 families, 5 genuses, 5 species, and the egg species : 5 families, 8 species, 10 species, and angiospermae : 54 families, 113 genuses, 148 species have been checked. Monocotyledoneae of angiospermae : 7 families, 20 genuses, 22 species (13.5%) and dicotyledoneae : 47 families, 93 genuses, 126 species (77.3%) have been totally checked. The endangered wildlife species by the standard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 rare plants by the standard of IUCN evaluation realesed by the Bureau of Forest and National Plant Institution has never been checked but one species of Weigela subsessilis has been checked as an approving plant in being delivered abroad, the 8 imported plant by the standard of National Plant Institution checked, some disturbing ecosystem plants releas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2009) not emerged. The succession into the oak trees is occurring to the biodiversity of the researched area, the number of species and their species diversity.

부안 계화도일대의 관속식물 분포 특성 (Characteristics by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of the Gyehwado, Buan)

  • 변무섭;오현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44-53
    • /
    • 2007
  • The vascular plants of the studied area in the Gyehwado was listed 378 taxa; 99 families, 259 genera, 322 species, 1 subspecies, 50 varieties and 5 forms. In this, Woody plants were 130 taxa (34.4%), Herbaceous plants were 248 taxa (65.6%) of all 378 taxa vascular plants. Pteridophyta were 7 families, 9 genera, 11 taxa (2.9%), Gymnospermae were 4 families, 5 genera, 9 taxa (2.4%) and Angiospermae were 88 families, 245 genera, 358 taxa (97.7%). Angiospermae in this, Monocotyledoneae were 10 families, 45 genera, 60 taxa (16.8%) and Dicotyledoneae were 78 families, 200 genera, 298 taxa (83.2%). Based on the list of the rare plants by the Forest Research Institute, recorded in the studied areas; Phacelurus latifolius (Preservation priority order; No. 194), Tricyrtis dilatata (No. 97), Aristolochia contorta (No. 151) and based on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6 taxa were recorded; Cephalotaxus koreana, Populus tomentiglandulosa, Carpinus coreana, Indigofera koreana, Forsythia koreana, Weigela subsessilis. Specific plant species by floral region were total 30 taxa; Wistaria floribunda in class IV, 5 taxa (Ligustrum ovalifolium, Callicarpa mollis, Lonicera subhispida, etc.) in class III, 24 taxa (Cephalotaxus koreana, Aristolochia contorta, Grewia biloba var. parviflora, etc.) in class I. The naturalized plants in this site were 12 families, 27 genera, 34 species, 2 varieties, 36 taxa and naturalization rate was 9.5% of all 378 taxa vascular plants.

농업생태계에서 농경지유형에 따른 C4식물의 출현과 분포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C4 Plants under Diverse Agricultural Field Types in Korea)

  • 조광진;오영주;강기경;한민수;나영은;김미란;최락중;김명현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5-101
    • /
    • 2013
  • 본 연구는 논, 밭, 과수원, 도로변에 생육하고 있는 식물상을 조사하여 $C_4$식물의 분포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현장조사는 2002년부터 2006년까지 5년간 수행되었다. 그 결과, 총 74과 231속 352종이 확인되었으며, 쌍자엽식물 255종, 단자엽식물 89종, 양치식물 8종으로 분류되었다. 농경지유형별로는 논에서 55과 203종, 밭에서 49과 218종, 과수원에서 44과 115종, 도로변에서 48과 202종이 출현하였다. 본 조사를 통하여 논은 쑥과 고마리, 밭과 도로변은 쑥과 개망초, 과수원은 닭의장풀과 바랭이로 대표되며 농업생태계에서 출현율이 가장 높은 식물은 쑥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출현식물 중 $C_4$식물은 8과 25속 38종으로 확인되었으며, 논, 과수원, 도로변에서는 $C_4$ 단자엽식물의 출현율이 높았으며 밭에서는 다른 농경지유형에 비해 쌍자엽식물의 출현빈도가 높았다. 이러한 $C_4$식물의 출현율 차이는 고온 건조한 우리나라 밭 주변 식물서식환경을 반영하고 있으며, 논과 과수원은 상대적으로 습윤한 미기후조건에서 건조조건이 아니라 온도조건에 의해 $C_4$ 단자엽식물이 분포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농업생태계를 대표하는 $C_4$식물 중 단자엽식물은 바랭이와 닭의장풀이며 쌍자엽식물은 개비름과 명아주로 확인되었다. 본 조사에서 총 47종의 귀화식물이 확인되었으며 토양의 수분환경조건이 상대적으로 건조한 밭과 도로변에서 많은 귀화식물이 출현하였다. 귀화식물 가운데 $C_4$ 식물은 비름속의 개비름과 털비름 2종으로 나타났으며, 단자엽식물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농경지유형에 따른 대표적인 $C_4$식물의 분포특성이 확인되었으며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온의 상승으로 고온에 적응성이 높은 $C_4$식물의 새로운 유입과 이미 유입된 종 가운데 농업생태계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외래식물의 확산에 대한 장기적인 모니터링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기후변화에 따른 국내 C4 식물 목록과 분포 변화:고찰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C4 Plant List and Distribution in South Korea:A Review)

  • 김명현;한민수;강기경;나영은;방혜선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23-139
    • /
    • 2011
  • $C_4$ 식물의 식별 및 자료구축은 식생의 계절변동이나 천이와 관련된 생태학적 연구뿐만 아니라, 최근 주목받고 있는 기후변화의 영향을 과학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지표로서 그 활용이 크게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생육하는 $C_4$ 식물에 대한 전체 목록을 작성하고, 지구온난화에 따른 $C_4$ 식물의 반응과 식물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광합성 경로 유형에 대한 자료는 1971년에서 2010년 사이에 출판된 학술논문에서 얻어졌고, 그 자료와 국내에 구축되어 있는 식물목록 자료를 기반으로 국내에 생육하는 $C_4$ 식물의 목록을 작성하였다. 그 결과, 국내에는 약 197과 1123속 4476종의 관속식물이 생육하고 있으며, 그 중 $C_4$ 식물($C_3$-$C_4$ 중간형 포함)은 약 21과(10.7%), 84속(7.5%), 206종(4.6%)으로 확인되었다. 국내에 생육하는 $C_4$ 식물 중 쌍자엽식물은 53종(25.7%)이고, 단자엽식물은 153종(74.3%)으로 나타났다. 과 수준에서는 벼과가 102종(49.5%), 사초과가 45종(21.8%), 명아주과가 15종(7.3%), 비름과가 13종(6.3%), 국화과가 6종(3.0%), 석죽과, 대극과 및 메꽃과가 각각 3종(1.4%)으로 나타났다. 생활형을 살펴보면, 휴면형은 1년생식물이 95종(46.1%), 번식형에서 지하기관형은 $R_5$가 123종(59.7%), 산포기관형은 중력산포형($D_4$)이 179종(85.9%), 생육형은 총생형(t)이 122종(59.2%)으로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온 상승은 국내에 생육하는 $C_4$ 식물에 좋은 환경조건을 제공해 줄 것이며, 그 결과 $C_3$ 식물과 $C_4$ 식물간의 종간경쟁, $C_4$ 식물의 분포, 식물계절 및 생물다양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