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noclonal

검색결과 1,165건 처리시간 0.028초

후두 편평상피의 전암성 및 악성병변에서 화상분석기를 이용한 DNA 배수성검사와 Ki-67 항체 양성세포의 분석에 관한 연구 (Study on DNA Content and Ki-67 Antibody Expression by Means of Image Analyzer for the Benign and Malignant Lesions of the Larynx)

  • 주형로;이선희;최종욱;김인선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3년도 제27차 학술대회 초록집
    • /
    • pp.89-89
    • /
    • 1993
  • 후두의 상피세포에서 발생하는 질환중 전암성병변은 이형성(dysplasia)과 상피내암(carcinoma in situ)등이 있으며, 이들은 진행하게되면 침윤성 악성병변으로 전환하게 된다. 따라서 전암성 병변의 정도를 정확히 구분 및 파악함으로써 침윤성 암종으로의 전환여부를 미리 예견한다는 것은 악성 후두질환의 병태파악 및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다. 이에 저자들은 최근 후두경하에 절제생검을 시행한 26례(침윤성 편평상피세포암 14례, 상피증식증 5례, 성대결절 7례)를 대상으로, 22례에서는 생검조직을 touch imprint법으로 도말하여 Feulgen염색한 후 CAS 200 화상분석기로 DNA함량분석을 시행하였고, 전례에 대하여 파라핀 포매조직에서 Ki-67 단크론성 항체(M1B1)를 이용하여 면역효소염색을 시행한 후 화상분석기로 양성표현율을 측정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Ki-67 양성표현율은 침윤성 암종에서 31.65$\pm$11.59%, 상피증식증에서는 20.14$\pm$3.38%, 성대결절에서는 11.66$\pm$3.02%이었다. 2) 핵산지수(DNA index)는 침윤성 암종의 경우 비배수성이 10례 중 7례(70%), 상피증식증에서는 5례중 2례(40%), 성대결절에서는 7례 모두 이배수성을 보였다. 3) DNA함량분석에서 5기와 G2/M기를 합한 증식지수(PI)는 침윤성 암종에서 23.42$\pm$11.33%, 상피증식증에서는 13.09$\pm$10.90%, 성대결절에서는 4.50$\pm$1.19%로 침윤성 암종에서 가장 높았다. 이상의 성적에서 성대의 생검조직과 같은 미세조직으로부터도 DNA함량검사와 함께 Ki-67 양성표현율을 측정함으로써 전암성병변의 악성화 가능성 정도를 예견할 수 있었으며, 악성종양 환자의 예후판정에 도움을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Characterization of Two Novel mAbs Recognizing Different Epitopes on CD43

  • Kim, Soseul;Hong, Jeong Won;Cho, Woon-Dong;Moon, Yoo Ri;Yoon, Sang Soon;Kim, Min-Young;Hong, Kwon Pyo;Lee, Yong-Moon;Yi, Jae Hyuk;Ham, Young Jun;Rah, Hyung Chul;Kim, Seung Ryul;Song, Hyung Geun
    • IMMUNE NETWORK
    • /
    • 제14권3호
    • /
    • pp.164-170
    • /
    • 2014
  • JL1, a specific epitope on CD43, is a potential biomarker for the diagnosis of acute leukemia. Although qualitative assays for detecting leukemia-specific CD43 exist, there is a need to develop quantitative assays for the same. Here, we developed two novel monoclonal antibodies (mAbs), 2C8 and 8E10, recognizing different epitopes on CD43. These clones are capable of pairing with YG5, another mAb against JL1 epitope, because they were selectively obtained using sandwich ELISA. Antigens recognized by 2C8 and 8E10 were confirmed as CD43 by western blotting using the CD43-hFC recombinant protein. When expression on various leukemic cell lines was investigated, 2C8 and 8E10 displayed a disparity in the distribution of the epitope. Enzyme assays revealed that these mAbs recognized a sialic acid-dependent epitope on CD43. Using normal thymus and lymph node paraffin-embedded tissues, we confirmed a difference in the epitopes recognized by the two mAbs that was predicted based on the maturity of the cells in the tissue. In summary, we developed and characterized two mAbs, 2C8 and 8E10, which can be used with YG5 in a sandwich ELISA for detecting leukemia-specific CD43.

인체 특발성 폐섬유증에서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1의 발현에 관한 연구 (Expression of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1 in Human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 박성수;신동호;김태화;이동후;이정희;이중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0권2호
    • /
    • pp.185-191
    • /
    • 1993
  • 연구배경 : ICAM-1은 90 kD의 당단백으로서 ${\beta}_2$ integrin과 관계를 가지며, 특발성 폐섬유증의 병인론에 있어서 ICAM-1의 발현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특발성 폐섬유종에 있어서 ICAM-1의 발현 정도는 상향조절된다. 특발성 폐섬유증에 있어서 ICAM-1의 발현 양상에 대한 보고는 드물다. 방법 : 본 연구는 특발성 폐섬유증에 있어서 ICAM-1의 발현 양상을 연구하고자 개흉폐생검으로 채취된 특발성 간질성 폐섬유증 3예의 6절편과 폐절제시 채취한 3예의 정상조직을 연구재료로 하여 ICAM-1의 단세포군항체를 이용하여 연역조직화학적 검색을 실시하였다. 결과 : ICAM-1은 3예의 정상조직의 기관지 상피세포나 폐포 세포에서는 발현되지 않았다. 3예의 특발성 폐섬유증 6절편 중 5절편에서 폐포벽의 간질성 섬유아 세포들에서 발현되었고, 1절편에서는 증식된 폐포내 폐포세포에서 발현되었다. 그 정도는 비균질적인 양상을 보였다. 3예의 6절편 중 5절편에서 강한 발현을 1절편에서는 약한 발현정도를 나타냈다. 결론 : 위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ICAM-1의 발현 증가는 특발성 폐섬유증의 병인과 상당한 관련이 있음을 암시해 주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원발성 폐암환자의 혈청 및 조직에서의 p53단백 표현 (The Significance of p53 Expression in Serum and Tissue from Patients with Lung Cancer)

  • 장중현;성순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2호
    • /
    • pp.333-340
    • /
    • 1998
  • 연구배경: 폐암은 전세계적으로 암중에서도 높은 발생빈도를 보이는 질환이며 흡연, 공해와 환경오염 등으로 인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폐암에서는 다양한 유전학적 변화가 나타나는데 그중에서도 특히 p53의 유전자 변이와 그에 따른 p53 본래의 종양억제력의 상실은 종양발생에 관련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P53 변이의 확인은 면역조직염색, PCR 분석법과 ESISA 분석 등으로 조사할 수 있다. 방 법: P53의 혈청학적 측정은 69명의 폐암환자와 대조군으로 42명 비폐암 호흡기질환자에서 조사되었다. 혈청 p53 변이단백은 ELISA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조직 면역화학염색은 p53의 단크론항체를 이용하였다. 결 과: 혈청학적 검사에서 비소세포 폐암의 p53 변이단백은 0.28ng/mL, 소세포폐암은 0.20ng/mL, 그리고 대조군은 0.34ng/mL로서 세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폐암의 임상병기에 따른 p53의 농도에는 어떤 상관성도 발견할 수 없었다. 폐암조직에 대한 p53 면역화학염색상 50%의 양성율을 보였으나 혈청학적 검사와는 어떤 상관성을 볼 수 없었다. 결 론: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변이 p53단백에 대한 혈청학적 검사는 폐암에 대한 진단적 가치는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원발성 폐암의 p53 변이를 확인하기 위한 조직면역화학염색은 50%에서 양성을 확인하였다.

  • PDF

소 난자에 있어서 세포질내 정자, 정자두부.미부 주입 후 미세소관과 염색질의 구조변화 (Microtubule and Chromatin Organization in Bovine Oocytes following Intracytoplasmic Injection of Spermatozoon, Sperm Head and Tail)

  • 도정태;전수현;최종태;강영선;이보연;김승보;김남형;이훈택;정길생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4권3호
    • /
    • pp.301-309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체외수정, 난자내 정자 직접주입, 난자내 정자 두부 미두 주입 후의 핵과 미세소관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핵과 미세소관의 움직임은 형광염색을 실시한 후 공초점주사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체외수정에서 관찰된 바와 동일하게 정자를 난자에 직접주입 한 직후 정자 중편부에서 성상체가 형성되었고, 이 성상체에 의해 자성 웅성 전핵이 융합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러나 난자내 정자를 직접주입하였을 경우 웅성전핵으로 발달하는 비율이 낮았다. 이는 주입된 정자가 원형질막과 perinuclear theca에 싸인 체 난자내로 들어가 난자내의 sperm nucleus decondensing factor와 정자 핵과의 반응이 억제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정자 두부 만을 주입하였을 경우 성상체가 형성되지 않았지만 자성 웅성 전핵 사이 또는 그 주위에서 두터운 미세소관층이 관찰이 되었다. 따라서 소에 있어서는 정자의 중편부에 위치하여 microtubule organizing center (MTOC)의 역할을 하는 중심립 또는 중심체 없이도 모계에서 유래된 미세소관이 형성되어 이것이 전핵의 융합과 세포분열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정자의 미부 만을 주입하였을 경우 성상체가 형성이 되지 않았으며, 자성핵 사이에 형성된 미세소관과 떨어져서 관찰되었다. 따라서 주입된 정자의 꼬리는 미세소관형성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결과는 소에 있어서, 수정 시 정자로부터 유래되는 중심립 또는 중심체가 없이도 미세소관을 형성하여 미세소관에 의해 이후의 배발달이 정상적으로 일어남을 보여주고 있다.

  • PDF

효소면역측정법을 이용한 유전자재조합 콩과 콩나물의 분석 (Analysis of Genetically-Modified Soybean and Soybean Sprout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 곽보연;고승희;신원선;손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556-560
    • /
    • 2003
  • CP4 EPSPS에 대한 특이항체(다클론 및 단클론)을 이용하여 확립한 전보의 sandwich ELISA 분석법을 원료 콩의 GMO 분석에 적용가능한 가를 검토하였다. 원료 콩은 수입산 47점, 국산 20점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입산 콩의 CP4 EPSPS 분석치는 크게 두 군으로 나뉘어 높은 군$(39.1{\pm}13.5{\mu}g/g,\;n=33)$과 낮은 군$(2.6{\pm}1.2{\mu}g/g,\;n=14)$으로 나타났다. 수입산 콩의 GMO 비율은 약 70.2%로 나타났다. 한편, 국산 콩의 CP4 EPSPS의 함량 $(0.9{\pm}0.5{\mu}g/g,\;n=20)$은 아주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non-GMO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콩나물의 경우에 GM과 non-GM 간 CP4 EPSPS의 차이를 보이고 있었고 GM 콩나물의 자엽부에서 뿌리보다 높은 CP4 EPSPS의 함량을 보여주고 있다. 국산 콩으로 만든 콩나물의 경우 CP4 EPSPS의 함량은 아주 낮은 것으로 나타나 GM과 non-GM 콩간의 구분이 가능하였다. 또한 PCR에 의해 sandwich ELISA가 정확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상과 같이 sandwich ELISA 방법은 신속, 간편하게 많은 콩 시료의 GMO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국 유방암 환자에서 cancer/testis antigen의 발현분석 (A comprehensive Analysis of a Large Panel of Cancer/Testis (CT) Antigens in Korea Breast Cancer)

  • 배재호;김민주;박해림;송명하;김지연;이창훈;곽희숙;이상률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7호
    • /
    • pp.886-891
    • /
    • 2009
  • Cancer/testis(CT) antigens은 여러 종료의 암에서는 발현이 되지만, 정상조직에서는 고환에서만 발현이 되는 특이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이성은 immunotherapy을 하기 위한 항암백신 개발에 매력적인 유전자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29개의 한국유방암조직에서 13개의 CT antigens (NY-SAR35, SCP-1, SSX-1, SSX-2, SSX-4, MAGE-1, MAGE-3, MAGE-4, MAGE-10, CT-7, NY-TLU57, NY-ESO-1, and LAGE-1)의 발현빈도를 RT-PCR을 통하여 조사하고 환자의 임상학적 분류와 CT antigens의 발현빈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29개의 유방암조직에 RT-PCR결과, 13개의 CT antigen중에 MAGE-3 (66%)와 MAGE-1(57%)에서 발현빈도가 가장 높았고 LAGE-1 (55%),NY-SAR-35 (49%),MAGE-4(41%), NY-ESO-1(38%), CT-7(24%), SSX-4(24%)순으로 발현빈도를 보였다. 그러나 SSX-1, SSX-2. MAGE-10와 NY-TLU-57의 발현은 3-7%로 매우 낮았고 특히 SCP-1는 발현되지 않았다. 29 유방암 조직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CT antigen이 발현되는 샘플은 28(98%)이였다. 그러나 환자의 임상학적 분류와 CT antigens의 발현빈도와는 특징적인 관꼐가 없음을 알수있었다. 29개의 유방암조직에서 MAGE-3와 NY-ESO-1의 Protein level에서의 발현을 알아보기 위하여monoclonal antibody를 이용하여 면역조직염색을 하였다. MAGE-3은 29개 조직중에서 12개의 조직에서 발현되었으며 NY-ESO-1은 11개의 조직에서 발현되었다. 그러므로 CT antigens은 한국 유방암 조직에서 빈번하게 발현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CT antigens을 기반으로 한 암 백신개발의 잠재적인 표적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인간 말초혈액 단핵구 유래 수지상세포의 면역반응에 미치는 Gefitinib의 영향 (The Effect of Gefitinib on Immune Response of Human Peripheral Blood Monocyte-Derived Dendritic Cells)

  • 조진훈;김미현;이광하;김기욱;전두수;박혜경;김윤성;이민기;박순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9권6호
    • /
    • pp.456-464
    • /
    • 2010
  • Background: Synergistic antitumor effects of the combined chemoimmunotherapy based on dendritic cells have been reported recentl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arch new applicability of gefitinib into the combination treatment through the confirmation of gefitinib effects on the monocyte derived dendritic cells (moDCs); most potent antigen presenting cell (APC). Methods: Immature and mature monocyte-derived dendritic cell (im, mMoDC)s were generated from peripheral blood monocyte (PBMC) in Opti-MEM culture medium supplemented with IL-4, GM-CSF and cocktail, consisting of TNF-${\alpha}$ (10 ng/mL), IL-$1{\beta}$ (10 ng/mL), IL-6 (1,000 U/mL) and $PGE_2$ ($1{\mu}/mL$). Various concentrations of gefitinib also added on day 6 to see the influence on immature and mature MoDCs. Immunophenotyping of DCs under the gefitinib was performed by using monoclonal antibodies (CD14, CD80, CD83, CD86, HLA-ABC, HLA-DR). Supernatant IL-12 production and apoptosis of DCs was evaluated. And MLR assay with $[^3H]$-thymidine uptake assay was done. Results: Expression of CD83, MHC I were decreased in mMoDCs and MHC I was decreased in imMoDCs under gefitinib. IL-12 production from mMoDCs was decreased under $10{\mu}M$ of gefitinib sinificantly. Differences of T cell proliferation capacity were not observed in each concentration of geftinib. Conclusion: In spite of decreased expressions of some dendritic cell surface molecules and IL-12 production under $10{\mu}M$ of gefitinib,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s of gefitinib in antigen presenting capacity and T cell stimulation were not observed.

녹차 폴리페놀에 노출된 Imipenem 내성 Pseudomonas aeruginosa의 항균효과 및 세포반응 (Antibacterial Effects and Cellular Responses of Imipenem-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 Exposed to Green Tea Polyphenols)

  • 송유진;조윤석;오계헌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98-206
    • /
    • 2010
  • 본 연구는 항생제인 imipenem에 내성이 있는 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한 차 폴리페놀(TPP)과 imipenem의 살균 상승효과와 세포반응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Imipenem 내성 Ps. aeruginosa는 병원의 환자로부터 분리하였다. TPP와 imipenem을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와 병용으로 처리하였을 때의 최소억제농도(MIC)를 측정한 결과, imipenem 감수성과 내성 균주는 TPP와 imipenem을 병용처리 하였을 때, imipenem 농도가 각각 16배, 8배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time-kill 조사를 통해 TPP와 imipenem의 항균효과를 조사하였으며, 병용처리 하였을 때 낮은 농도의 imipenem에서도 동일한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TPP에 의한 imipenem 감수성과 내성 균주의 스트레스 충격 단백질 발현을 조사하기 위하여 anti-DnaK와 anti-GroEL 단일항체를 이용한 Western blot을 통해 관찰하였다. 스트레스 충격 단백질인 DnaK와 GroEL은 TPP의 노출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발현양이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유도된 DnaK와 GroEL의 분자량은 각각 70 kDa과 60 kDa으로 나타났다. TPP의 농도와 시간에 따른 세균의 LPS 증감 변화를 SDS-PAGE와 은 염색을 통하여 확인하였고, TPP와 imipenem에 노출된 세균의 세포 외부 형태변화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움푹 패이고, 주름진 표면을 가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핵소체 단백 B23과 세포질 단백 p80의 유사성에 관한 연구 (Study of an ER bound p80 Homologous to Nucleolar B23)

  • 이혜정;윤상인;최용천;안영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41-250
    • /
    • 1995
  • Protein B23 is one of the major nucleolar phosphoproteins associated with pre-ribosomal particles, and is localized in the granular region of the nucleolus. Recent studies suggest that protein B23 shuttles between nucleus and cytoplasm and also interacts with HIV Rev.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protein B23 is important in nucleocytoplasmic relationship and viral replication. However, the exact function of protein B23 is not clear yet. In acute nucleolar hypertrophy of rat liver, treated with thioacetamide, there was observed an increase of not only protein B23 but also B23-like protein p45 when anti-B23 monoclonal antibody (MAb) was used for identification. On the basis of the large B23 specific epitope structure composed of 68 amino acids, a hypothesis was formulated to examine that p45 is the pre-B23 resulting from excessive production of B23. In an attempt to investigate the precursor of B23, we analyzed the subcellular fractions and microsomal subfractions. Subsequently, we analyzed the finger printings of B23-like proteins using the tryptic peptide mapping. The results are summarized: 1) Using B23 MAb, we observed the presence of B23-like proteins in nucleolar fraction, nucleoplasmic fraction and microsomal fraction. 2) In the further microsomal subfractionation, we could partially purify B23-like protein in 2M layer of sucrose gradient. 3) When ion exchange chromatography was employed, there were protein species 80kDa(p80), 65kDa(p65) and 60kDa(p60). 4) Based on the tryptic map analysis of $^{125}I$ labeled proteins, the similarity between B23 and p80 was found only in 9 out of 14(B23) and 21(p80) peptides, and difference was found in the remaining peptides. p80 and p60 had 18 common peptides, and all the peptides of p60 were similar to those of p80. From these results, it is proposed that p45 is an abnormal metabolite resulting from carcinogenesis by thioacetamide, and it is not the precursor of B23. In addition, we suggest that p80 may be a precursor of p4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