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netary Fundamental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5초

Global Oil Prices and Exchange Rate: Evidence from the Monetary Model

  • ZAFAR, Sadaf;KHAN, Muhammad Arshad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1호
    • /
    • pp.189-201
    • /
    • 2022
  • The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impact of monetary fundamentals along with global oil prices on the Pak-rupee exchange rate using the monthly data over 2001-2020. Employing the cointegrating vector autoregressive with exogenous variables (VARX) and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with exogenous variables (VECMX), the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domestic monetary fundamentals while considering the foreign variables as weakly exogenous. In order to account for the structural breaks in the data, the Lagrange multiplier (LM) unit root test with two structural breaks has been used (Lee & Strazicich, 2003). The empirical results reveal that the domestic and foreign monetary variables significantly explain the exchange rate movements in Pakistan both in the long run and in the short run. The dynamic properties of the monetary model of exchange rate have been analyzed using the persistence profile analysis and generalized impulse response functions (GIRFs). The results reveal that the responses of shocks to domestic monetary fundamentals are consistent with the predictions of the monetary model of the exchange rate. Furthermore, being a net oil importer, a rise in global oil prices significantly depreciated the Pak-rupee exchange rate over the period of study. The global financial crisis (GFC) and pandemic (COVID-19) were also found to cause the Pak-rupee exchange rate depreciation.

화폐모형에 의한 환율 결정 이론의 비선형 문턱 공적분 검정: 100년간 자료를 중심으로 (Testing for Nonlinear Threshold Cointegration in the Monetary Model of Exchange Rates with a Century of Data)

  • 이준수;마크 스트래지시히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1권2호
    • /
    • pp.1-13
    • /
    • 2009
  • 환율 결정 모형의 근간이 되는 이론으로 널리 알려져 온 화폐모형은 두 국가 간의 환율이 각국의 통화량과 소득 수준에 의해 결정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 이론이 성립하려면 이 모형에 내포된 변수 간에 공적분이 성립해야 하는데, Rapach and Wohar(2002)의 논문은 10개 국가의 자료 중 대 여섯개의 자료에만 (선형) 공적분이 존재한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그들이 사용한 100년간에 걸친 자료를 사용하되, 환율 결정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비대칭적 조정과정을 감안하여 비선형 공적분이 성립하는가를 검증하였다. 또한 독립변수가 불안정적이 아닐 경우에는 공적분 관계를 설정하기 곤란하다는 이유로 누락시키는 경우가 많은데 본 논문에서 사용되는 방법론에서는 그러한 문제가 제기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선형 공적분 검정 결과에 비해 더 많은 경우에 있어서 비선형 공적분 관계가 있다는 검정 결과가 산출되었다.

  • PDF

한국 환율제도의 변화가 국내물가상승에 미치는 영향: 일본 및 호주와의 비교분석 (Korean Exchange Rate Regime Change and Its Impact on Inflation in Comparison to Japan and Australia)

  • 이병주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28권1호
    • /
    • pp.193-218
    • /
    • 2006
  • 본 논문은 한국의 근본적인 거시경제변수가 두 가지 다른 환율제도(자유변동 환율제도와 시장평균 환율제도)하에서 어떻게 다르게 반응하는가를 분석 연구한다. 이와 아울러 같은 기간 동안의 일본과 호주의 거시경제구조에 대한 비교 분석도 곁들인다. 한국은 1997년의 경제위기를 전후하여 환율정책을 시장평균 환율제도에서 자유변동 환율제도로 전환하였다. 이 시점을 계기로 한 한국의 외환정책 변경은 두 가지 환율제도를 비교 분석하는 데 아주 좋은 기회를 제공한다. 화폐경제이론에 기초한 환율결정 모델을 사용하여 대미환율과 거시경제변수에 대한 관계를 분석해 본 결과, 대미환율은 시장평균 환율제도하에서보다 자유변동 환율제도하에서 근본적인 거시경제변수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mpulse Response Analysis 분석결과에 의하면, 환율변동이 물가상승률에 미치는 영향은 시장평균 환율제도하에서 보다 자유변동 환율제도하에서 단기적으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론은 개발도상국가에서는 안정적인 관리 환율제도가 경제성장을 위해 필요하다는 일반적인 견해와 일치하는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