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lecular weight of PC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4초

LC/MS 데이터 분석의 새로운 접근 방법 - 피크 군집화와 조정 (A novel approach for analysis of LC/MS data - Peak Clustering and Fitting)

  • Han, Joon-Hee;Lee, Byung-Hwa
    • 한국생물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정보시스템생물학회 2004년도 The 3rd Annual Conference for The Korean Society for Bioinformatics Association of Asian Societies for Bioinformatics 2004 Symposium
    • /
    • pp.296-306
    • /
    • 2004
  • LC/MS를 이용하여 펩타이드 혹은 단백질 같은 물질을 분석하는 실험이 급격히 늘어남에 따라 LC/MS 데이터를 자동으로 처리하는 기술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LC/MS 데이터의 자동 분석 기술에 대한 연구는 현재 활발히 진행되어 왔고, 이를 직접 구현한 여러 상용 소프트웨어들이 개발되어 있는 상태이다. LC/MS 데이터는 noise 제거, background 데이터 제거, deconvolution 알고리즘을 적용한 분자량(molecular weight) 할당 등의 작업을 거쳐 분석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얻어진 분자량에 대한 데이터가 올바른 값인지 검증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검증 작업과 관련하여 Peak Clustering and Fitting(이하 PC&F)에 대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PC&F은 peak 데이터들이 지니고 있는 속성에 대한 Mahalanobis distance를 이용하여 peak 데이터를 각 retention time에 따라 clustering 분석을 하는 작업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PC&F 알고리즘을 Microsoft Visual C++ 6.0 MFC 환경에서 직접 개발한 소프트웨어(PeakClusterFitLCMS)로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PC&F 작업을 통해 동일한 구성물질로부터 발생한 peak 데이터를 모아서 보다 신뢰할 수 있는 분자량을 구할 수 있었고, 구성물질에 의해 발생되지 않은 noise peak 데이터를 찾아 제거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의 분자량 조절 및 유변학적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Molecular Weight Contro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Branched Polycarbonate)

  • 이봄이;프러산터;김희승;유승윤;김연철
    • 공업화학
    • /
    • 제23권4호
    • /
    • pp.388-393
    • /
    • 2012
  • 말단캡핑제(end capping agent) 4종류와 함량별로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를 용융중합법으로 제조하였다. 합성된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의 화학구조는 FT-IR과 $^{1}H-NMR$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확인하였으며, 말단캡핑제의 반응여부는 FT-IR 스펙트럼의 수산기($3500\;cm^{-1}$) 존재여부로 확인하였다. 평균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도, 유리전이 온도 및 분해온도는 GPC, DSC와 TG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말단캡핑제의 화학구조에 따라 평균 분자량이 증가 또는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말단캡핑제로 4-tert-butylphenol (TBP)이 사용되었을 때 최적의 분자량 조절 결과를 나타내었다. 말단캡핑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평균분자량은 감소하였고, 4-tert-butylphenol이 0.05 mol%가 첨가될 때 폴리카보네이트의 대형 사출물 가공에 적합한 20000 정도의 수평균분자량을 나타내었다.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의 용융점도는 분자량이 감소할수록 감소하였으며, shear thinning effect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면역시스템을 통한 세포수명연장 천연물질 스크린 (Screening of Natural Product Libraries for the Extension of Cell Life-span through Immune System)

  • 유보경;권기상;고영화;김홍근;이석현;박관호;최지영;권오유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59-363
    • /
    • 2016
  • 한약진흥재단(NIKOM)의 640-천연물 라이브러리를 PC12세포에 10 μg/ml/day로 처리하였다. 면역강화에 관여하는 ERAP1 (Endoplasmic Reticulum AminoPeptidase 1)과 수명연장에 관여하는 FOXO1 (FOXO-family transcription factor) 유전자발현을 RT-PCR로 확인하였다. ERAP1 유전자를 1.5-2배까지 상승시킨 것은 22개, 2배 이상 발현시킨 것은 14개였다. FOXO1 유전자를 1.5-2배까지 상승시킨 것은 총 24개, 2배 이상 발현시킨 것은 4개였다. 동시에 ERAP1과 FOXO1 유전자를 2배 이상 상승시키는 것은 족도리풀(Asiasari radix)에서 분리된 (±)-Car-3-ene-2,5-dione, 두꺼비(Bufonis venenum)에서 분리된 Cinobufagin, 대국(Euphorbiae pekinensis)에서 분리된 Corilagin, 현호색(Corydalis tuber)에서 분리된 Corydaline 4종이다. 이들 4종의 천연물은 초파리를 이용한 개체의 수명연장실험에 사용될 것이다.

Polycarboxylate계 콘크리트 유동화제의 합성에 있어서 공중합 조건에 따른 계면물성 변화 및 이의 시멘트 몰탈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Coplymerization Conditions in Synthesis of Polycarboxylic Type Superplasticizer on Interfacial Properties and on Cement Mortar Fluidity)

  • 김영호
    • 공업화학
    • /
    • 제21권4호
    • /
    • pp.463-468
    • /
    • 2010
  • 콘크리트 유동화제로 사용되는 polycarboxylate 계 콘크리트 유동화제를 합성하였다. 합성에 있어서 친수기인 polyethylene oxide 부가몰 및 분자량에 따른 합성된 유동화제의 물성 및 이의 콘크리트 몰타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합성원료로서 methoxy-polyethyleneglycol 및 methacrylic acid의 종류, methacrylic acid 부가량, 개시제 종류 및 양에 따른 graft 공중합 조건에 따라 얻어진 PC의 물성 및 이가 모르타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물성으로는 PC 수용액의 계면물성, 시멘트 입자의 젖음성, 몰타르의 유동성 및 최종 콘크리트의 강도 등을 측정하였다. 합성된 PC는 수용액에 대한 표면장력 값이 작을수록 시멘트 입자에 대한 젖음성이 우수할수록 우수한 모르타르 유동성을 보였으며 콘크리트의 강도가 높았다. 본 연구 조건에서는 MPEG 대비 MA 함량이 1.3 정도일 경우 그리고 개시제가 KSP일 경우에 합성된 PC가 가장 적합하였다.

Benzothiadiazole-benzodithiophene을 기반으로 한 D/A구조의 공액 고분자 합성 및 광전변환 효율 특성 개선 연구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ower Conversion Efficiency of D/A Structure Conjugated Polymer Based on Benzothiadiazole-Benzodithiophene)

  • 성기호;윤대희;우제완
    • 공업화학
    • /
    • 제24권5호
    • /
    • pp.537-543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유기박막태양전지로 적용 가능한 push-pull 구조의 고분자를 합성하여 그 특성을 확인하였다. 전자주개 물질로는 benzodithiophene 유도체를 도입하였고, 전자받개물질은 benzothiadiazole 유도체를 사용하여 Stille coupling 반응으로 poly{4,8-didodecyloxybenzo[1,2-b;3,4-b]dithiophene-alt-5,6-bis(octyloxy)-4,7-di(thiophen-2-yl)benzo[c][1,2,5]-thiadiazole} (PDBDT-TBTD)를 합성하였다. 각 합성 단계별 단량체의 확인은 $^1H-NMR$과 GC-MS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합성된 conjugated polymer는 GPC, TGA, UV-Vis, cyclic voltammetry를 이용하여 물리적, 광학적 및 전기화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PDBDT-TBTD의 수평균 분자량은 6200이였으며, 초기 분해온도(5% weight loss temperature, $T_d$)값은 $323^{\circ}C$로 측정 되었다. 박막형태에서의 최대 흡수파장은 599 nm이며, 광학적 밴드갭(${E_g}^{opt}$)은 1.70 eV으로 확인되었다. 유기박막태양전지 소자는 ITO/PEDOT : PSS/PDBDT-TBTD : $PC_{71}BM/BaF_2/Ba/Al$ 구조로 제작하였으며, PDBDT-TBTD와 $PC_{71}BM$를 1 : 2 (w/w)의 비율로 블렌딩하여 광활성층으로 사용하였다. 제작된 소자는 solar simulator으로 광전변환효율을 확인하였고, 최대 광전변환효율은 2.1%이었다.

Poly(4-vinylphenol)/Ketone 용액계의 상평형 (Phase Equilibria of the Poly(4-vinylphenol)/Ketone Solutions)

  • 김미경;김기창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3권5호
    • /
    • pp.579-587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Poly(4-vinylphenol)(PVPh)/acetone 및 PVPh/methyl ethyl ketone 용액계의 액-액 상분리 실험을 TOA(thermal optical analysis)방법으로 실행하였다. 실험을 수행한 PVPh/acetone 및 PVPh/MEK 용액계의 상분리 거동은 두 용액 계 모두 LCST 형태의 거동을 보였고 상분리 온도는 고분자의 분자량이 증가함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용매의 분자량이 상분리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용매의 분자량이 큰 PVPh/MEK 용액의 상분리 온도가 PVPh/acetone 용액의 경우보다 높은 온도 영역에 분포하는 경향을 보였다. 실험에서 측정된 상분리 데이터를 PVPh와 ketone 분자간의 교차회합과 PVPh의 자기회합을 고려한 PC-SAFT 상태방정식 관계를 이용하여 액-액 상평형 관점에서 검토하여 보았다. PVPh의 PC-SAFT 상태방정식 파라미터와 교차회합 파라미터는 PVPh의 용융상태의 밀도 데이터와 PVPh/acetone 용액의 기-액 평형 데이터를 동시에 고려하여 추산하였다. 추산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각 고분자 용액계의 spinodal curve와 binodal curve를 계산하였으며, 계산된 binodal curve는 실험에서 측정된 상분리 온도와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Poly(ethylene oxide)-Li계 고분자 전해질의 전기화학적 특성 및 물리적 성질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Properties of Poly(ethylene oxide)-Li based Polymer Electrolyte)

  • 김형선;조병원;윤경석;전해수
    • 공업화학
    • /
    • 제7권3호
    • /
    • pp.433-442
    • /
    • 1996
  • 분자량이 큰 Poly(ethylene oxide)[PEO] 고분자에 $LiClO_4$, $LiCF_3SO_3$ 등의 리튬염과 ethylene carbonate(EC), propylene carbonate(PC) 등의 가소제를 고정화시킨 고분자 전해질의 전기화학적 특성 및 물리적 성질을 조사하였다. 가소제가 첨가된 PEO-Li계 고분자 전해질은 상온에서 $10^{-4}S/cm$의 이온 전도도를 보였고 4.5 V(vs. $Li^+/Li$)까지 높은 전기화학적인 안정성을 나타냄으로써 리튬 2차전지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리튬염 및 가소제의 첨가에 따라 PEO의 결정상이 감소되었고 특히 $LiClO_4$, PC등이 $LiCF_3SO_3$, EC 등에 비하여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리튬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고분자 전해질의 유리전이온도($T_g$)는 증가되었으며 반면에 융점온도($T_m$)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소제가 첨가된 고분자 전해질은 $6^{\circ}C$에서 결정화 되었다.

  • PDF

김치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 Lp2의 항균작용 (Antimicrobial Activity of Lactobacillus plantarum Lp2 Isolated from Kimchi)

  • 박연희;송현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637-643
    • /
    • 1991
  • 김치에서 Lactobacillus plantarum Lp2를 분리하여 E.coli, Staphylococcus aureus 등 5종의 식품관련 세균에 대한 억제작용과 억제물질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Lp2 배양액의 ether extract는 E.coli, Pseudomonas aeruginosa 및 호냉성 균주 Pc1에 대하여는 매우 강한 억제작용을 보였으나, Stapylococcus aureus와 Streptococcus faecalis에 대하여는 그 작용이 미약하였다. 이 물질은 methanol, acetone 및 ether에 가용성이며 pH가 5~6 사이에서 억제작용을 나타내었으며 중성 부근에서는 그 작용이 상실되었다. 이 물질은 열에 비교적 안정하며 분자량은 1000 이하인것으로 밝혀졌고 TLC에 의한 분리 결과는 $R_f$값이 0.73인 band에 억제물질이 함유된 것으로 확인하였다.

  • PDF

폴리카보네이트의 저분자량 화합물 및 휘발성 유기물에 대한 접촉추출 영향 (Effect of Solvent Extraction on the Low Molecular Weight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of Polycarbonate)

  • 최수정;윤경화;황인혜;이창용;김희승;유승윤;김연철
    • 공업화학
    • /
    • 제21권5호
    • /
    • pp.532-536
    • /
    • 2010
  • 비스페놀A계 폴리카보네이트 내에 잔류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과 저분자량 화합물 함량 변화에 대한 연구가 케톤류(아세톤, 펜타논, 부타논)의 용매를 사용한 접촉추출 실험으로 수행되었다. 접촉추출 전 시료의 저분자량 화합물의 양은 2.6 wt%이었으나 아세톤으로 접촉추출 한 시료의 경우 0.96 wt%, 펜타논으로 접촉추출 한 시료의 경우는 1.53 wt%로 나타났고, 아세톤의 경우가 저분자량화합물 추출에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도 변화 확인을 위해서 GC-Mass를 이용하였다. GC-Mass 실험 결과 휘발성 유기물로 염화메틸렌, 톨루엔 등이 확인되었고, 정량한 결과 펜타논의 경우가 아세톤의 경우보다 VOCs 처리에 효율적이었다. VOCs와 저분자량 화합물의 효율적 처리를 위해서는 아세톤과 펜타논의 혼합사용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고 혼합용매 사용결과 부피비로 50 : 50에서 최적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프탈이미드 유도체를 기본으로 하는 공액고분자의 합성과 특성, 그리고 태양전지의 적용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π-Conjugated Polymer Based on Phthalimide Derivative and its Application for Polymer Solar Cells)

  • ;하예은;김주현
    • 폴리머
    • /
    • 제37권6호
    • /
    • pp.694-701
    • /
    • 2013
  • 프탈이미드 유도체와 티오펜 단량체들을 이용하여 새로운 고분자인 poly((5,5-(2-butyl-5,6-bisdecyloxy-4,7-dithiophen-2-yl-isoindole-1,3-dione))-alt-(2,5-thiophene))(T-TI24T)를 Stille법을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T-TI24T의 수평균 분자량은 86500 g/mol로 매우 높으며 클로로포름, 1,2-디클로로벤젠, 톨루엔과 같은 용매에 매우 잘 용해된다. 또한 $380^{\circ}C$까지 매우 우수한 열적 안정성을 갖고 있다. T-TI24T는 꽤 낮은 호모에너지 준위(-5.33 eV)를 갖고 있다. 서로 다른 T-TI24T와 (6)-1-(3-(methoxycarbonyl)-{5}-1-phenyl[5,6]-fullerene(PCBM)의 무게비를 갖는 블렌드를 광활성층으로 하는 태양전지를 제작하여 특성을 살펴본 결과 고분자와 PCBM의 비율이 1:3일 때 가장 최적화된 결과를 보였으며, 이 때 광전변환 효율과 개방전압은 각각 0.199%와 0.99였다. T-TI24T 기반 태양전지들은 비록 매우 작은 광전변환 효율을 갖지만 잘 알려진 P3HT:PC61BM으로 구성된 태양전지와 비교해 큰 매우 큰 개방전압을 갖는다(약 0.5 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