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lecular medicine

검색결과 6,792건 처리시간 0.041초

동결건조 양막과 동적배양법을 이용한 토끼 각막 상피층의 재구성 (Reconstruction of Rabbit Corneal Epithelium using Lyophilized Amniotic Membrane and Dynamic Culture Method)

  • 안재일;장인근;신연호;서영권;윤희훈;윤문영;김재찬;송계용;이희구;양은경;김기호;박정극
    • KSBB Journal
    • /
    • 제20권4호
    • /
    • pp.305-310
    • /
    • 2005
  • 동결건조 양막과 자체 제작한 양막 지지체를 이용한 동적 배양법을 통하여 토끼 각막 상피층의 재구성 효과를 검토하였다. 각막 상피세포는 토끼 각막 윤부로부터 분리 배양 후 동결보존하여 사용하였고, 세포증식은 10계대까지 가능하였다. 동적배양을 한 경우가 정치배양보다 기저층이 잘 형성되었고, 세포 증식과 분화를 촉진하여 치밀한 상피층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재구성된 각막 상피층은 심한 각막 손상을 입은 환자의 조직 이식에 좋은 생체외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Pancreatic Compression during Lymph Node Dissection in Laparoscopic Gastrectomy: Possible Cause of Pancreatic Leakage

  • Ida, Satoshi;Hiki, Naoki;Ishizawa, Takeaki;Kuriki, Yugo;Kamiya, Mako;Urano, Yasuteru;Nakamura, Takuro;Tsuda, Yasuo;Kano, Yosuke;Kumagai, Koshi;Nunobe, Souya;Ohashi, Manabu;Sano, Takeshi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8권2호
    • /
    • pp.134-141
    • /
    • 2018
  • Purpose: Postoperative pancreatic fistula is a serious and fatal complication of gastrectomy for gastric cancer. Blunt trauma to the parenchyma of the pancreas can result from an assistant's forceps compressing and retracting the pancreas, which in turn may result in pancreatic juice leakage. However, no published studies have focused on blunt trauma to the pancreas during laparoscopic surgery. Our aim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ression of the pancreas and pancreatic juice leakage in a swine model. Materials and Methods: Three female pig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pancreas was gently compressed dorsally for 15 minutes laparoscopically with gauze grasped with forceps. Pancreatic juice leakage was visualized by fluorescence imaging after topical administration of chymotrypsin-activatable fluorophore in real time. Amylase concentrations in ascites collected at specified times was measured. In addition, pancreatic tissue was fixed with formalin, and the histology of the compressed sites was evaluated. Results: Fluorescence imaging enabled visualization of pancreatic juice leaking into ascites around the pancreas. Median concentrations of pancreatic amylase in ascites increased from 46 U/L preoperatively to 12,509 U/L 4 hours after compression. Histological examination of tissues obtained 4 hours after compression revealed necrotic pancreatic acinar cells extending from the surface to deep within the pancreas and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Conclusions: Pancreatic compression by the assistant's forceps can contribute to pancreatic juice leakage. These findings will help to improve the procedure for lymph node dissection around the pancreas during laparoscopic gastrectomy.

Molecular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 P38-Like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from Echinococcus granulosus

  • Lu, Guodong;Li, Jing;Zhang, Chuanshan;Li, Liang;Bi, Xiaojuan;Li, Chaowang;Fan, Jinliang;Lu, Xiaomei;Vuitton, Dominique A.;Wen, Hao;Lin, Renyong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4권6호
    • /
    • pp.759-768
    • /
    • 2016
  • Cystic echinococcosis (CE) treatment urgently requires a novel drug. The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are a family of Ser/Thr protein kinases, but still have to be characterized in Echinococcus granulosus. We identified a 1,107 bp cDNA encoding a 368 amino acid MAPK protein (Egp38) in E. granulosus. Egp38 exhibits 2 distinguishing features of p38-like kinases: a highly conserved T-X-Y motif and an activation loop segment. Structural homology modeling indicated a conserved structure among Egp38, EmMPK2, and H. sapiens $p38{\alpha}$, implying a common binding mechanism for the ligand domain and downstream signal transduction processing similar to that described for $p38{\alpha}$. Egp38 and its phosphorylated form are expressed in the E. granulosus larval stages vesicle and protoscolices during intermediate host infection of an intermediate host. Treatment of in vitro cultivated protoscolices with the p38-MAPK inhibitor ML3403 effectively suppressed Egp38 activity and led to significant protoscolices death within 5 days. Treatment of in vitro-cultivated protoscolices with $TGF-{\beta}1$ effectively induced Egp38 phosphorylation. In summary, the MAPK, Egp38, was identified in E. granulosus, as an anti-CE drug target and participates in the interplay between the host and E. granulosus via human $TGF-{\beta}1$.

Honokiol에 의한 토끼의 무릎 연골세포에서 PI-3K/AKT pathway를 통하여 nitric oxide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사멸의 억제 (Honokiol Inhibits Nitric Oxide-Induced Apoptosis in Rabbit Articular Chondrocytes via PI-3K/AKT Pathway)

  • 이원길;김송자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0호
    • /
    • pp.1443-1450
    • /
    • 2010
  • Honokiol은 작은 분자량을 갖는 중국의 약초인 'Magnolia officinalis'에서 추출한 리간드로서 중국과 일본에서 전통 의약제로 사용되어 왔다. 이전 연구에서는 honokiol이 다양한 종류의 암에서anti-angiogenic, anti-invasive,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등의 다양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는 이전 연구에서 Nitric oxide donor인 sodium nitroprusside (SNP)에 의해서 토끼 무릎관절연골세포에서 세포사멸이 일어나는 것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무릎 연골세포에서 NO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사멸이 honokiol 처리농도에 의존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세포형태, MTT assay, Western blot analysis 그리고 FACS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honokiol은 SNP에 의해 유도되는 p53의 발현 및 pro-caspase-3의 활성 저해, DNA fragmentation을 억제하였다. Honokiol에 의한 세포사멸 억제는 PI-3K의 특정 저해제인 LY294002를 SNP와 honokiol과 함께 처리하였을 때 세포의 사멸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honokiol이 PI-3K/AKT pathway를 통하여 NO가 유도하는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오미자 박 추출물 및 schizandrin에 의한 암세포 항성장 및 세포사멸 활성 (Anti-proliferative and Pro-apoptotic Activities by Pomace of Schisandra chinensis (Turcz.) Baill. and Schizandrin)

  • 김현지;서유미;이은주;정정욱;성화정;손호용;박종이;김종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15-420
    • /
    • 2018
  • 오미자는 다양한 인간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한약재로 사용되어 왔으며, schizandrin과 gomisin A와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오미자 박으로부터 에탄올 추출물(PSC)을 제조하고, 이들이 대장암 세포인 HCT116의 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과 ATF3, NAG-1, p21와 같은 pro-apoptotic 유전자의 발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오미자 박 에탄올 추출물의 처리는 농도 의존적으로 암세포생존율을 감소시켰으며, 세 가지 pro-apoptotic 유전자의 발현을 모두 증가시켰다. 또한, 오미자 유래의 순수물질인 schizandrin도 세포 생존율을 농도의존적으로 감소시켰으며, ATF3, NAG-1, p21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게다가, schizandrin을 처리한 세포에서 PARP cleavage를 확인함으로써 apoptosis가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PARP cleavage는 NAG-1 siRNA의 transfection에 의해서 회복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schizandrin에 의해 유도되는 apoptosis와 NAG-1의 발현증가가 직접적인 관련이 있음을 나타낸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결과는 오미자 박 추출물과 schizandrin에 의해 매개되는 항암 활성과 암세포 사멸현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생쥐 대식세포에서 HO-1 발현 유도를 통한 chrysoeriol의 항산화 효과 (Fortified Antioxidative Potential by Chrysoeriol through the Regulation of the Nrf2/MAPK-mediated HO-1 Signaling Pathway in RAW 264.7 Cells)

  • 박충무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3-49
    • /
    • 2018
  • Chrysoeriol은 alfalfa에서 주로 발견되는, 식물계에 많이 분포하고 있는 flavone으로 전통의학에서 소화불량, 천식, 비뇨기계 이상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 최근의 연구에서는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항산화 효과에 대한 분석은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chrysoeriol의 항산화 효과와 그 분자적 기전을 RAW 264.7 cell에서 세포생존율, reactive oxygen species (ROS)와 Western blot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Chrysoeriol은 lipopolysaccharide(LPS)에 의해 발생한 ROS를 세포독성없이 농도의존적으로 제거하였다. 그리고 항산화효과를 보이는 2상 효소 중 하나인 heme oxygenase (HO)-1의 발현을 강하게 유도하였고, 그와 동시에 전사인자인 Nrf2의 핵내 이동도 촉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세포내 산화환원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 (MAPK)와 phosphoinositide 3-kinase (PI3K)의 분석결과, chrysoeriol은 extracellular signal regulated kinase (ERK), c-Jun NH2-terminal kinase (JNK)와 p38의 인산화를 통해 HO-1의 발현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HO-1에 의한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chrysoeriol을 전처리한 후 t-BHP에 의한 산화 스트레스에 세포를 노출시킨 결과, chrysoeriol 처리에 의해 세포사멸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고, HO-1의 유도제와 억제제의 처리에 따라 세포생존율 또한 조절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chrysoeriol은 HO-1의 발현을 유도하여 항산화 효과를 높이고 이것은 Nrf2/MAPK 신호전달 체계에 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LPS로 유도된 염증 상태 내에서 MAPKs 세포신호 전달체계를 저해하는 올방개의 항염증 효과 (Eleocharis kuroguwai Ohwi Ameliorates LPS-mediated Inflammation by Suppressing MAPKs Signaling)

  • 김강훈;배은영;임현구;김미희;오태석;이승웅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476-482
    • /
    • 2020
  • 벼 농사에서 마릅으로 불리는 올방개는 문제의 잡초 종류 중 하나로서 제초 작용의 대상이다. 하지만, 올방개는 임상적으로 황달, 해열 및 통경을 위한 전통 의학에 쓰여왔다. 올방개는 오랫동안 임상적으로 사용되어왔음에도 불구하고, 분자생물학 기반의 생물학적 효과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때문에, 본 연구진은 LPS로 유도된 대식세포 내에서 올방개 추출물 처리에 의한 NO 생산량을 스크리닝 함으로써 항염증 효과를 조사했다. 가장 효과적인 항염증 fraction을 찾기 위해, 본 연구진은 HP20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5 종류의 EtOH sub-fraction을 동정하였다; 20%, 40%, 60%, 80%, 및 100% EtOH. 동정한 sub-fraction 중에서, 60%와 80% 성분에서 가장 유의성 있는 NO 생산의 저해를 나타냈으며, 세포독성 효과도 나타내지 않는 결과를 나타냈다. 추가적으로 80% sub-fraction은 유의성 있는 iNOS 저해와 전염증성 매개체의 mRNA; IL-6, TNF-α, 그리고 IL-1β를 저해하였으며, 이 결과는 MAPKs 세포신호전달과 관련 있는 JNK 및 ERK 단백질의 인산화 저해가 원인임을 밝혔다. 본 연구진의 결과는 올방개 추출물 80% sub-fraction EtOH가 항염증 활성을 가장 효과적으로 저해하는 성분 임을 밝혔으며, 이는 MAPKs 세포신호전달의 과 발현에 의한 염증성 질병의 치료제 후보 성분 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SNU-16 위암 세포의 mRNA 및 miRNA 프로파일에 미치는 제주조릿대 추출물의 영향 (Effects of Sasa quelpaertensis Extract on mRNA and microRNA Profiles of SNU-16 Human Gastric Cancer Cells)

  • 장미경;고희철;김세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501-512
    • /
    • 2020
  • 제주조릿대 잎은 항염, 해열 및 이뇨작용을 가지고 있어 위궤양, 목마름 및 토혈 치료를 위한 민간의약으로 사용되어 왔다. 본 저자들은 제주조리대 잎에서 분리한 피토케미칼 풍부 추출물(PRE)과 그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EPRE)은 여러 위암 세포주에서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항암 효과가 있다고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는 EPRE의 세포사멸 유도 기전에 관여하는 분자표적들을 탐색하기 위하여 EPRE을 처리한 SNU-16 세포에서 mRNA와 microRNA (miRNA)의 프로파일 변화를 분석하였다. RNA sequencing 분석을 통해 총 2,875개의 차등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들(DEGs)을 동정하였다. 유전자 온톨로지(GO)와 KEGG 경로 분석 결과, EPRE는 세포사멸, 유사 분열-활성화 단백질 키나제(MAPK) 및 염증 반응, 종양 괴사 인자(TNF) 신호 전달 및 암 경로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백질-단백질 상호 작용(PPI) 네트워크 분석으로 세포사멸 및 세포죽음과 관련된 유전자들 간의 상호작용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miRNA sequencing 분석을 통해 총 27개의 차별적으로 발현되는 miRNAs (DEMs)를 동정하였다. GO와 KEGG 경로 분석 결과, EPRE는 세포주기, 세포사멸 및 tropomyosin-receptor-kinase (TRK) 수용체 신호 전달, 성장인자-β(TGF-β), 핵인자 κB (NF-κB) 및 암 경로에 관여하는 miRNAs의 발현을 조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EPRE의 항암 효과의 근본적인 메커니즘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가족성 저칼륨성 주기성 마비에서 세포외 칼륨농도가 지연성 정류형 채널을 형성하는 KCNQ3와 KCNQ5 단백질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Extracellular Potassium on Delayed Rectifier Potassium Channel Proteins of KCNQ3 and KCNQ5 in Familial Hypokalemic Periodic Paralysis)

  • 김성조;김동현;김준범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0호
    • /
    • pp.1484-1488
    • /
    • 2009
  • 가족성 저칼륨성 주기성 마비란 상염색체 우성 유전 질환으로 저칼륨혈증을 동반한 간헐적인 가역적 이완성 근육 마비를 특징으로 한다. 세포내 저류된 칼륨으로 인해 저칼륨혈증이 지속되고 근세포 활성이상으로 인해 마비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증상발현의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확인하기 위해 세포 내 칼륨이온을 세포 밖으로 이동시키는 지연성 정류형 채널 단백질의 일종인 KCNQ3와 KCNQ5를 대상으로, 정상인과 환자에서 채취한 골격근 세포를 생리적 세포외 정상 칼륨농도인 4 mM과 탈분극 유도를 위한 고칼륨농도인 50mM에 노출시켜 단백질의 양적 변화 유무를 확인하였다. 유전자 발현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mRNA의 양적 변화를 확인한 결과 모든 조건에서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아 정상 칼륨조건과 고칼륨조건이 두 유전자발현의 변화를 야기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단백질 양을 관찰한 결과 환자의 골격근 세포가 50 mM의 칼륨농도에 노출되는 경우 KCNQ3 단백질은 세포질 내에서 증가하고 세포막 내에서 감소하였다. 이는 환자의 골격근 세포가 고농도의 세포외 칼륨에 의해 탈분극 되는 경우 재분극에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KCNQ3 채널 단백질이 세포질 내로 이동하여 재분극 형성의 장애를 초래하고 이로 인해 근세포 활성이 일어나지 않게 되어 마비를 유발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로 본 질환의 새로운 발병 기전을 설명할 수 있는 근거로 생각된다.

강원도 양식 연어과 어류에서 분리된 에로모나스 종의 유전학적 동정 (Genetic identification of Aeromonas species using a housekeeping gene, rpoD, in cultured salmonid fishes in Gangwon-Do)

  • 임종원;구본형;김광일;정현도;홍수희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79-88
    • /
    • 2017
  • 현재 양식장에서는 Aeromonad를 비롯한 다양한 병원균에 의한 전염병으로 인해 많은 경제적 손실을 겪고 있다. 연어과 어류뿐만 아니라 담수 및 해수어류에도 치명적인 감염을 야기하는 Aeromonas 종은 적어도 26종 이상이 보고되어왔으며, 전염병을 유발하는 유비쿼터스 세균이다. Aeromonas 종을 확인하기 위해 16S rDNA 및 하우스 키핑 유전자의 핵산 서열을 기반으로 한 분자생물학적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Aeromonas 종은 강원도 16개 양식장의 연어과 어류로부터 분리되었으며 Aeromonad의 16S rDNA와 하우스 키핑 유전자의 서열, 즉 RNA polymerase sigma factor ${\sigma}^{70}$ (rpoD) 또는 DNA gyrase subunit B (gyrB)를 기반으로 계통 발생 학적으로 동정했다. 그 결과 대서양 연어 (Salmo salar), 은연어 (Oncorhynchus keta), 산천어 (Oncorhynchus masou masou), 무지개송어 (Oncorhynchus mykiss)에서 96 개의 균주가 수집되었으며, 36개의 균주가 16S rDNA 분석에 의해 Aeromonas 속으로 확인되었다. 확인된 Aeromonas 속 균주는 rpoD 또는 gyrB 유전자 서열을 기반으로 추가 분석되어 Aeromonas salmonicida (24 균주), A. sobria (10 균주), A. media (1 균주) 및 A. popoffii (1 균주)로 검출되었으며, 이 것은 Aeromonas salmonicida가 강원도의 연어과 어류에서 주요 감염균임을 나타낸다. 또 하우스 키핑 유전자의 서열에 기초한 Aeromonas 종의 계통발생학적 동정은 16S rDNA 서열보다 더 정확하다는 것이 또한 증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