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lasses Addition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35초

NUTRITIONAL QUALITY OF WILTED NAPIER GRASS (Pennisetum purpureum Schum.) ENSILED WITH OR WITHOUT MOLASSES

  • Yokota, H.;Kim, J.H.;Okajima, T.;Ohshima, 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5권4호
    • /
    • pp.673-679
    • /
    • 1992
  •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lasses addition at ensiling on nutritional quality of wilted napier grass, chemical quality and nutrient composition of the silages, digestibility and nitrogen retention at feeding trials were analysed using 4 goats in a cross over design.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Molasses addition at ensiling decreased pH value (3.99) and ammonia nitrogen, and increased lactic acid content by 285% compared to non-additive silage (83.5 g/kg dry matter). 2.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digestibilities of dry matter, crude protein, neutral detergent fiber, acid detergent fiber, hemicellulose and cellulose between the silage ensiled with molasses (MS silage) and the silage ensiled without molasses (WS silage). Urinary nitrogen excretion, however,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in goats fed the MS silage, and nitrogen retention was positive in goats fed the MS silages, but negative in goats fed the WS silage. 3. Acetic acid concentration in remained fluids in goats fed the MS silage was lower and propionic and butyric acid concentrations were higher than those in goats fed the WS silage. As water soluble carbohydrate content was higher in the MS silage than in the WS silage, a part of added molasses was still remained in the silage at the feeding trials and could be utilized for energy sources by the goats. Nitrogen may be also effectively utilized in goats fed the MS silage, because the silage were inhibited in proteolysis during ensiling.

상황버섯박과 당밀의 첨가가 한약제박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olasses and Phellinus linteus Meal Addition on the Quality of Korean Herbal Medicine Meal Silage)

  • 장석훈;오현민;김성복;조치현;박노성;이봉덕;이형석;이수기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31-440
    • /
    • 2011
  • 본 실험은 상황버섯박의 이용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한약제박에 혼합하여 사일리지를 제조하고 그 품질을 조사하였다. 상황버섯박을 사일리지 재료로 사용함에 있어 한약제박에 건물기준으로 0, 15 및 30% 혼합하여 사용하였으며, 수용성 탄수화물의 함량이 적은 것을 보완하기 위하여 당밀을 0, 1 및 2% 첨가하였다. 한약제박에 대한 상황버섯박의 첨가수준이 높아질수록 사일리지의 조단백질과 조지방의 함량이 유의하게 높아지고, ADF 함량은 유의하게 낮아졌다. 사일리지의 pH는 상황버섯박 첨가량이 감소될수록, 당밀 첨가수준이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젖산 함량은 상황버섯박 첨가량이 적을수록, 당밀의 첨가 수준이 높아질수록 많아졌다. 초산함량은 상황버섯박 첨가량이 증가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당밀의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낙산 함량에 있어서는 상황버섯박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당밀 첨가구는 무첨가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적은 결과 보였다. 사일리지 중의 미생물 배양은 MRS 배지에 있어서는 상황 버섯박의 첨가수준이 낮을수록, 당밀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총세균수가 많아지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PDA 배지에 있어서는 MRS 배지의 결과와는 대조적으로 상황버섯박의 첨가수준이 낮을수록, 당밀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총세균수가 적었다. 사일리지의 $in$ $vitro$ 건물소실율은 상황버섯박 첨가량이 많아짐에 따라서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당밀의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사일리지의 제조에 있어 한약제박에 상황버섯박을 첨가하는 것은 사료의 영양가를 향상시키며, 당밀을 첨가하는 것은 사일리지의 유산 함량을 향상시켜 결과적으로 한약제박의 이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고 생각되며 첨가수준에 있어서는 당밀은 2% 정도로서 충분한 효과를 나타내며, 상황버섯박은 15% 정도 첨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유기물을 이용한 유기농 액비 제조 시 건조효모와 당밀 첨가에 따른 액비 특성 비교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f Organic Liquid Fertilizer Containing Organic Resource by Adding Dry-yeast and Molasses)

  • 안난희;조정래;이병모;신재훈;옥정훈;김석철
    • 유기물자원화
    • /
    • 제22권4호
    • /
    • pp.87-94
    • /
    • 2014
  • 본 연구는 골분과 미강을 이용한 유기 액비 제조 시 건조효모와 당밀 첨가에 따른 액비의 무기성분 특성 변화를 구명하고 첨가 효과를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액비 제조시 건조효모의 첨가 효과는 무첨가구에 비해 pH의 변화가 적고, EC의 증가폭이 컸으며 EC 값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NH_4$-N농도는 건조효모 첨가구가 $2,936mg{\cdot}L^{-1}$로 무첨가구의 $1,782mg{\cdot}L^{-1}$에 비해 높았다. 당밀 첨가 효과는 첨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해 pH가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EC는 당밀 무첨가구에서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NH_4$-N농도는 당밀 무첨가구가 $2,936mg{\cdot}L^{-1}$로 첨가구의 $2,378mg{\cdot}L^{-1}$에 비해 높았다. 따라서 액비 제조 시 건조효모 첨가는 유기물원의 분해를 촉진하여 식물이 이용할 수 있는 질소형태로 무기화를 촉진시키고, 당밀 첨가는 유기물의 분해를 억제하지만 발효 성상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또한 액비처리에 의한 부추생육을 조사한 결과, 양분공급에 의한 생육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다.

당밀과 질산성 질소의 C/N ratio 변화에 따른 탈질 및 미생물 군집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nitrification and microbial community characteristics by the change of C/N ratio of molasses and nitrate nitrogen)

  • 엄한기;김성철
    • 미생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05-112
    • /
    • 2018
  • 본 연구에서 탈질 효율 비교를 위해 당밀과 메탄올을 외부 탄소원으로 사용하였다. 세부 실험조건은 C/N ratio 조건에 따라 구분하였다. 회분식 실험 결과, 당밀과 메탄올 모두 C/N ratio가 증가할수록 탈질 효율은 증가하였다. 당밀의 최적 C/N ratio는 잔류 COD 농도와 탈질 효율을 고려할 때 4:1로 나타났으며, 이때 탈질 효율은 91.4%이다. 동역학적 인자로 SDNR을 도출한 결과, C/N ratio가 증가할수록 당밀과 메탄올은 유사한 SDNR 값을 보였으며, C/N ratio 4:1 조건에서 0.0292 g $NO_3{^-}-N$ removal/g MLVSS/day (molasse), 0.0299 g $NO_3{^-}-N$ removal/g MLVSS/day (mehtanol)로 나타났다. 미생물 군집 분석을 통해 당밀에 적응된 슬러지에는 Pseudomonas sp.와 Bergeylla sp. 박테리아가 우점화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미생물 군집의 다양성보다는 일부 박테리아에 대한 집중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당밀은 탈질에 특화된 미생물을 집중적으로 성장시키며, 탈질 성능을 높일 수 있는 대체 외부탄소원으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s of harvest time and added molasses on nutritional content, ensiling characteristics and in vitro degradation of whole crop wheat

  • Xia, Chuanqi;Liang, Yixun;Bai, Sarula;He, Yang;Muhammad, Aziz Ur Rahman;Su, Huawei;Cao, Bingha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3호
    • /
    • pp.354-362
    • /
    • 2018
  • Objective: Wheat is an alternative to corn silage for ruminant feeding in northern China.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harvest time and added molasses on nutritional content, ensiling characteristics and in vitro degradation of whole crop wheat (WCW). Methods: Fresh WCW at the milk-ripe stage was harvested at 0700 h (i.e., in the morning [Mo]) and 1700 h (i.e., in the afternoon [Af]), and then immediately used to prepare silage and make hay. Commercial molasses was added to Af WCW at 0%, 2%, 4%, and 6% (fresh weight) proportions. The WCW treated with molasses was mixed thoroughly prior to ensiling. Results: Dry matter (DM), neutral detergent fiber, water soluble carbohydrate (WSC) content (p<0.01), accumulative gas production in 72 h ($GP_{72h}$, 77.46 mL/g vs 95.15 mL/g) and dry matter disappearance in vitro (69.15% vs 76.77%) were lower (p<0.05), while crude protein (CP) content was higher for WCW silage (WCWS) compared to WCW (p<0.01). The propionic acid and butyric acid concentrations in WCWS from Mo WCW were 1.47% and 0.26%, respectively. However, the propionic and butyric acid concentrations were negligible, while the ammonia nitrogen/total nitrogen ($NH_3-N/TN$, p<0.01) concentration was lower and the rate of gas production at 50% of the maximum (17.05 mL/h vs 13.94 mL/h, p<0.05) was higher for Af WCWS compared to Mo WCWS. The incubation fluid's $NH_3-N$ concentration was lower in WCWS and Af WCW compared to Mo WCW (p<0.05). The CP and WSC content increased with increasing molasses levels (p<0.05). Furthermore, the pH (p<0.01) and time when gas production was 50% of the maximum (2.78 h vs 3.05 h, p<0.05) were lower in silage treated with 4% molasses than silage without molasses. Conclusion: Harvesting wheat crops in the afternoon and adding molasses at 4% level to WCW optimally improved ensiling characteristics, leading to well-preserved silage.

당밀의 첨가가 갈근탕박 사일리지의 품질과 산양의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olasses Supplementation on the Quality of Galgeuntang Meal Silage and the Palatability in Korean Native Goats)

  • 김성복;문계봉;이봉덕;오홍록;배형철;이수기
    • 농업과학연구
    • /
    • 제33권1호
    • /
    • pp.25-34
    • /
    • 2006
  • 본 연구는 당밀의 첨가수준이 갈근탕박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두가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I에서는 당밀의 첨가수준이 갈근탕박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0, 0.5 및 1.0%의 당밀 첨가수준에 3반복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II에서는 우리나라 재래산양의 갈근탕박 사일리지의 기호성을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실험 I에서, 당밀 1.0% 첨가구가 0.5% 첨가구 및 대조구보다 유산의 함량이 유의하게(p<0.05) 높았고, pH와 낙산함량은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사일리지의 총미생물수(total microbial cell)는 당밀 첨가구가 유산균 배지인 MRS에서는 많게 나타났고, 곰팡이 배지인 PDA에서는 적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in vitro 건물 소실율에 있어서도 당밀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재래산양을 사용한 실험 II에서는 갈근탕을 비롯한 모든 처리구에서 30분 및 6시간 동안의 섭취량은 유의한 성적은 아니지만 당밀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많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갈근탕박은 열탕처리를 거침으로 인하여 수용성 탄수화물이 부족할 것으로 사료되는 바, 이에 대하여 수용성탄수화물을 보충하는 방법으로 당밀을 첨가하여 사일리지를 제조하는 것은 매우 유용한 수단이라고 생각되며, 이로 인하여 한약제박 사일리지의 보존성도 향상된다고 하겠다.

  • PDF

당밀의 첨가가 대시호탕(한약제)박 사일리지의 품질과 산양의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olasses Supplementation Levels to Daesihotang (Herbal Medicine) Meal on Quality of Silage and the Palatability in Goats)

  • 김성복;문계봉;이봉덕;배형철;이수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5호
    • /
    • pp.683-690
    • /
    • 2006
  • 본 연구는 당밀의 첨가수준이 한약제박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두 가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Ⅰ에서는 당밀의 첨가수준이 대시호탕박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0, 0.5 및 1.0%의 당밀 첨가수준에 3반복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Ⅱ에서는 우리나라 재래산양의 대시호탕박 사일리지의 기호성을 측정하였다.본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실험 Ⅰ에서, 당밀 1% 첨가구가 0.5% 첨가구 및 대조구보다 조단백질 및 유산의 함량이 유의하게(P<0.05) 높았고, pH와 낙산함량은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사일리지의 총균수(total microbial cell)는 당밀 첨가구가 유산균 배지인 MRS에서는 많게 나타났고, 곰팡이 배지인 PDA에서는 적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in vitro 소실율에 있어서도 당밀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소실율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실험 Ⅱ에서는 모든 처리구에서 30분 및 6시간 동안의 섭취량은 유의한 성적은 아니지만 당밀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많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대시호탕박은 열탕처리를 거침으로 인하여 수용성 탄수화물이 부족할 것으로 사료되는 바, 이에 대하여 수용성탄수화물을 보충하는 방법으로 당밀을 첨가하여 사일리지를 제조하는 것은 매우 유용한 수단이라고 생각되며, 이로 인하여 한약제박 사일리지의 보존성도 향상된다고 하겠다.

곤충 핵다각체병바이러스를 이용한 담배거세미나방의 생물적 방제. II. 담배거세미나방 핵다각체병바이러스의 살충제 제제화 (Microbial Control of the Tobacco Cutworm, Spodopera litura (Fab.), Using S. litura Nuclea Polyhedrosis Virus. II. Formulation of S. litura Nuclear Polyhdrosis Virus as Viral Insecticides)

  • 임대준;진병래;최귀문;강석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44-251
    • /
    • 1990
  • 담배거세미나방 핵다각체병바이러스에 섭식촉진물질, 다각체 침전방지제 및 전착물질과 자외선 차단제를 첨가하여 만든 3종의 바이러스 살충제를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에 먹여 제제별로 살충 효과를 비교하였다. 바이러스 살충제에 설탕농도 1-5% 첨가로 섭식촉진이 증대되어 살충효과가 높았으며, 바이러스의 불활화 차단효과도 있었다. 살충제 제형에 따른 바이러스 침전방지는 polyvinylalcohoI 0.5%, 식물체 전착성은 Triton X -100 0.1 %에서 효과가 좋았다. 자외선차단제의 양은 white carbon은 100 L 당 800 g, molasses는 30%첨가에서 바이러스의 불활화가 감소되었으며 white carbon-molasses 혼합제는 white carbon 500 g, molasses 10%의 비율에서는 살충효과가 약간 감소하였으나 세 제제 모두 살포 3일후 95%이상의 살충율을 보였다. White carbon 체제는 molasses 제제보다 다각체 포매가 뚜렷하여 잔류효과가 증대되었으나 유충의 섭식은 molasses제제에서 촉진되었다.

  • PDF

Fermentation Quality of Ensiled Water Hyacinth (Eichhornia crassipes) as Affected by Additives

  • Ho, Thanh Tham;Ngo, Van Man;Thomas, Paul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2호
    • /
    • pp.195-201
    • /
    • 2013
  • A lab-scale ensiling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ermentation quality of water hyacinth (WH) supplemented with molasses, rice bran, as an absorbent, and an inoculant in the form of fermented vegetable juice and their combinations. After wilting the water hyacinths for 7 h to a dry matter (DM) content of 240 to 250 g/kg, the following treatments were applied: i) Control (C), WH only; ii) WH with sugarcane molasses at 40 g/kg WH (CM); iii) WH inoculated with fermented vegetable juice at 10 ml/kg WH (CI); iv) CM and CI (CMI) combined; v) WH with 150 g rice bran/kg WH (CA); vi) CA and CI combined (CAI); vii) CA and CM combined (CAM); and viii) CA, CM and CI combined (CAMI). After application of additives, the differently treated forages were mixed and ensiled in triplicates in 1,500-ml polyethylene jars. After ensiling for 3 d, pH values in all treatments, except C and CI, had decreased to approximately 4.0 and remained low till 14 d. After 56 d, pH had increased between 0.4 to 0.9 pH-units compared to those at 14 d. The ammonia nitrogen ($NH_3$-N) concentration ranged from an acceptable level in treatment CM (8 g/kg N) to a high $NH_3$-N value in treatment CMI (16 g/kg N). Lactic acid formation was higher in CI than in all other treatments. Butyric acid contents, which indicate badly fermented silages, were low in all silages (<2 g/kg DM). There were two-way interactions (p-values from <0.001 to 0.045) for almost all fermentation end-products and pH, except for the molasses${\times}$inoculant interaction on $NH_3$-N (p = 0.26). Significant 3-way interactions were found on all observed variables except for weight losses of silages. It is concluded that conserving wilted WH as silage for ruminants may be improved by the addition of molasses or rice bran.

Improvement of Nutritive Value and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of Leucaena Silage by Molasses and Urea Supplementation

  • Phesatcha, K.;Wanapat, 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8호
    • /
    • pp.1136-1144
    • /
    • 2016
  • Leucaena silage was supplemented with different levels of molasses and urea to study its nutritive value and in vitro rumen fermentation efficiency. The ensiling study was randomly assigned according to a $3{\times}3$ factorial arrangement in which the first factor was molasses (M) supplement at 0%, 1%, and 2% of crop dry matter (DM) and the second was urea (U) supplement as 0%, 0.5%, and 1% of the crop DM, respectively. After 28 days of ensiling, the silage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chemical composition. All the nine Leucaena silages were kept for study of rumen fermentation efficiency using in vitro gas production techniques. The present result shows that supplementation of U or M did not affect DM, organic matter, neutral detergent fiber, and acid detergent fiber content in the silage. However, increasing level of U supplementation increased crude protein content while M level did not show any effect. Moreover, the combination of U and M supplement decreased the content of mimosine concentration especially with M2U1 (molasses 2% and urea 1%) silage. The result of the in vitro study shows that gas production kinetics, cumulation gas at 96 h and in vitro true digestibility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level of U and M supplementation especially in the combination treatments. Supplementation of M and U resulted in increasing propionic acid and total volatile fatty acid whereas, acetic acid, butyric acid concentrations and methane production were not changed. In addition, increasing U level supplementation increased $NH_3$-N concentration. Result from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revealed a significant effect on total bacteria, whereas F. succinogenes and R. flavefaciens population while R. albus was not affected by the M and U supplementation. Based on this study, it could be concluded that M and urea U supplementation could improve the nutritive value of Leucaena silage and enhance in vitro rumen fermentation efficiency. This study also suggested that the combination use of M and U supplementation level was at 2% and 1%,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