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Molasses and Phellinus linteus Meal Addition on the Quality of Korean Herbal Medicine Meal Silage

상황버섯박과 당밀의 첨가가 한약제박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 Jang, Seok-Hun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Oh, Hyun-Min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Sung-Bok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Cho, Chi-Hyun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Park, Noh-Sung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Bong-Duk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Hyung-Suk (Woosong College) ;
  • Lee, Soo-Kee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장석훈 (충남대학교 동물자원생명과학과) ;
  • 오현민 (충남대학교 동물자원생명과학과) ;
  • 김성복 (충남대학교 동물자원생명과학과) ;
  • 조치현 (충남대학교 동물자원생명과학과) ;
  • 박노성 (충남대학교 동물자원생명과학과) ;
  • 이봉덕 (충남대학교 동물자원생명과학과) ;
  • 이형석 (우송정보대학) ;
  • 이수기 (충남대학교 동물자원생명과학과)
  • Received : 2011.09.26
  • Accepted : 2011.12.13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lasses and $Phellinus$ $linteus$ meal supplementation on the quality of Korean herbal medicine silage. Herbal medicine meal silages were produced by the addition of 0, 15, and 30% of $Phellinus$ $linteus$ meal and 0, 1, and 2% of molasses ($3{\times}3$ factorial design) and stored for 40 days at room temperature. There were three replicates per treatment. Its quality such as chemical composition, pH, organic acids, the number of microorganisms and $in$ $vitro$ dry matter disappearance were determined. As the $Phellinus$ $linteus$ meal level increased, crude protein and crude fat contents increased significantly, but the acid detergent fiber (ADF) content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addition of $Phellinus$ $linteus$ meal decreased, and molasses increased, pH tended to decrease, but the lactic acid content trended to increase. The acetic acid content was lower in a higher level (30%) of $Phellinus$ $linteus$ meal, and higher in a higher level (2%) of molasses. As the $Phellinus$ $linteus$ meal level increased, the butyric acid content decreased, and butyric acid of molasses treatment was higher than that of non-supplemented control. Molasses increased the number of Lactobacillus, but decreased the number of fungi in silage. A lower level of $Phellinus$ $linteus$ meal increased the number of Lactobacillus, but decreased the number of fungi. $in$ $vitro$ dry matter disappearance tended to increase by the addition of $Phellinus$ $linteus$ meal and molasses. It is concluded that the addition of molasses and $Phellinus$ $linteus$ to herbal medicine meal silage could enhance its nutritional quality. It is considered that proper levels of molasses and $Phellinus$ $linteus$ meal in herbal medicine meal silage were 2 % and 15% respectively.

본 실험은 상황버섯박의 이용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한약제박에 혼합하여 사일리지를 제조하고 그 품질을 조사하였다. 상황버섯박을 사일리지 재료로 사용함에 있어 한약제박에 건물기준으로 0, 15 및 30% 혼합하여 사용하였으며, 수용성 탄수화물의 함량이 적은 것을 보완하기 위하여 당밀을 0, 1 및 2% 첨가하였다. 한약제박에 대한 상황버섯박의 첨가수준이 높아질수록 사일리지의 조단백질과 조지방의 함량이 유의하게 높아지고, ADF 함량은 유의하게 낮아졌다. 사일리지의 pH는 상황버섯박 첨가량이 감소될수록, 당밀 첨가수준이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젖산 함량은 상황버섯박 첨가량이 적을수록, 당밀의 첨가 수준이 높아질수록 많아졌다. 초산함량은 상황버섯박 첨가량이 증가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당밀의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낙산 함량에 있어서는 상황버섯박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당밀 첨가구는 무첨가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적은 결과 보였다. 사일리지 중의 미생물 배양은 MRS 배지에 있어서는 상황 버섯박의 첨가수준이 낮을수록, 당밀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총세균수가 많아지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PDA 배지에 있어서는 MRS 배지의 결과와는 대조적으로 상황버섯박의 첨가수준이 낮을수록, 당밀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총세균수가 적었다. 사일리지의 $in$ $vitro$ 건물소실율은 상황버섯박 첨가량이 많아짐에 따라서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당밀의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사일리지의 제조에 있어 한약제박에 상황버섯박을 첨가하는 것은 사료의 영양가를 향상시키며, 당밀을 첨가하는 것은 사일리지의 유산 함량을 향상시켜 결과적으로 한약제박의 이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고 생각되며 첨가수준에 있어서는 당밀은 2% 정도로서 충분한 효과를 나타내며, 상황버섯박은 15% 정도 첨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원, 문점동. 1981. 약용식물의 사료화에 관한 연구. 1. 우슬(Achranthes Japonica Nakai)의 사료적 가치.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23(3):270-274.
  2. 김성복, 문계봉, 이봉덕, 배형철, 이수기. 2006a. 당밀의 첨가가 대시호탕박 사일리지의 품질과 산양의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48(5):683-690.
  3. 김성복, 문계봉, 이봉덕, 배형철, 이수기. 2006b. 당밀의 첨가가 갈근탕박 사일리지의 품질과 산양의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농업과학연구. 33(1):25-34.
  4. 김재황, 고영두. 2005. 쑥의 가공방법이 면양의 소화율과 반추위내 발효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47(3):409-418.
  5. 문계봉, 조성경, 박덕섭, 김성복, 이봉덕, 조철훈, 임재삼, 이수기. 2008. 당밀 첨가가 소청룡탕박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50(3):381-390.
  6. 박재현, 고병대, 송영한, 이영철. 1994. 한약재박 및 건조비지 첨가급여가 산란계의 산란성적 및 난황 Cholesterol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축산분야학회협의회 한국축산종합학술대회 초록집. p.142.
  7. 조성경, 장석훈, 문계봉, 김성복, 정강석, 장원섭, 이수기. 2008. 상황버섯박의 사료화에 관한 연구. 한국동물자원과학회 Proceedings vol. II. p. 111.
  8. AOAC. 1995.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 C.
  9. Duncan, D. B. 195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s. Biometrics 11:1-42. https://doi.org/10.2307/3001478
  10. El-Yassin, F.A., J.P. Fontenot and H. Chesterones. 1991.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nutritional value of ruminal contents and blood ensiled with untreated or sodium hydroxide-treated wheat straw. J. Anim. Sci. 69:1751-1759. https://doi.org/10.2527/1991.6941751x
  11. Goering, H.K. and P.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is. ARS, USDA Agric. Handbook.
  12. Kim, S.H., H.S. Lee, S. Lee, J. Cho, K. Ze, J. Sung and Y. C. Kim. 2004. Mycelial. culture of Phellinus linteus protects primary cultured rat hepatocytes against hepatotoxins. J. Ethnopharmacology 95:367-372. https://doi.org/10.1016/j.jep.2004.08.007
  13. Martin, L.C., C.B. Ammerman, P.R. Henry and P.E. Loggins. 1981. Effect of level and form of supplemental energy and nitrogen on utilization of low quality roughage by sheep. J. Anim. Sci. 53 2):479-488. https://doi.org/10.2527/jas1981.532479x
  14. Moon, G.B., S.B. Kim, S.W. Cha, B.D. Lee, S.K. Cho and S.K. Lee. 2007. Improvement of quality of Ojeoksan (herbal medicine) meal silage by molasses supplementation. J. Agri. Sci. Chungnam Nat'l Univ. 34(1):77-84.
  15. Pathak, T. and N.H. Lee. 1987. Effect of sugarcane molasses supplemented straw-manure silage on palatability and digestibility in sheep. Korean J. Anim. Sci.; 29(1):37-43.
  16. Petersen, M.K., V.M. Thomas and R.E. Rofflor. 1981. Reconstituted Kentucky bluegrass straw. I. ensiled with molasses and sodium or calcium hydroxides. J. Anim. Sci. 52(2):398-405. https://doi.org/10.2527/jas1981.522398x
  17. SAS. 1996. SAT/STAT user's guide. version 8,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18. Tilley, J.M.A. and R.A. Terry. 1963. A two-stage technique for in vitro digestion of forage crops. J. Brit. Grassland Soc. 18:104-111. https://doi.org/10.1111/j.1365-2494.1963.tb00335.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