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gera wogura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2초

Lack of genetic divergence between Mogera wogura coreana from Korea and M. w. robusta from Northeastern China and adjacent Russia (Soricomorpha: Mammalia), reexamined from 12S rRNA and cytochrome b sequences

  • Koh, Hung Sun;Jang, Kyung Hee;Han, Eui Dong;Jo, Jae Eun;Jeong, Seon Ki;Ham, Eui Jeong;Lee, Jong Hyek;Kim, Kwang Seon;In, Seong Teek;Kweon, Gu Hee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6권5호
    • /
    • pp.408-414
    • /
    • 2012
  • To reexamine taxonomic status of endemic Mogera wogura coreana from Korea, we first obtained partial 12S rRNA sequences (893 bp) and complete cytochrome b gene sequences (1140 bp) of this subspecies, and these sequences and partial cytochrome b sequences (402 bp) were compared to the corresponding haplotypes of M. wogura from East Asia, obtained from GenBank. The one of three 12S rRNA haplotypes in M. w. coreana was identical to one 12S rRNA haplotype of M. w. robusta from East Asia: 10 complete and 13 partial cytochrome b haplotypes of M. w. coreana formed a single clade with one complete and four partial cytochrome b haplotypes of M. w. robusta, respectively. We considered that M. w. coreana from Korea is an endemic subspecies with only morphological differences, although it is necessary to reexamine the subspecies status of M. w. coreana. Additionally, in the 12S rRNA and complete cytochrome b sequences, M. wogura from Japan was distinct from the two continental subspecies of M. w. coreana and M. w. robusta with average distances of 1.76 and 5.65%, respectively; insular M. wogura, with within-group distances of 2.09 and 4.38%, respectively, was also genetically more divergent than the mainland M. wogura, with within-group distances of 0.08 and 0.57%, respectively. Thus, we considered that insular M. wogura of Japan dispersed into neighboring East Asian continent, which is opposite to the traditional hypothesis on the origin of Japanese M. wogura.

운문산의 포유류상 (Mammal Fauna in Mt. Unmun, South Korea)

  • 김태욱;김병수;장민호;박수곤;한상현;오홍식
    • 환경생물
    • /
    • 제31권1호
    • /
    • pp.53-59
    • /
    • 2013
  • 본 연구는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산 자연휴식년제 지역일대의 포유류상을 밝히기 위해 2007년 12월부터 2009년 9월까지 수행되었다. 조사결과 6목 11과 24종의 포유류의 서식을 확인하였다. 우점종으로는 고라니 Hydropotes inermis, 다람쥐 Tamias sibiricus, 두더지 Mogera wogura, 흰넓적다리붉은쥐 Apodemus peninsulae 등이었다. 특히, 천연기념물(NM)과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종(ES)인 하늘다람쥐(Pteromys volans; NM #328, ES II급), 수달(Lutra lutra; NM #330, ES I급), 삵 (Prionailurus bengalensis; ES II급), 담비 (Martes flavigula; ES II급) 등 법적보호종 4종이 발견되었다. 다양한 포유류 종과 법적보호종의 서식에 대한 지리적 분포를 확인한 이 결과는 조사지역이 포유류의 서식에 필요한 자연생태계의 매우 양호한 조건을 갖추고 있는 지역임을 반영한다. 반면, 관리동물 종으로 지정된 들고양이가 다수 관찰되었다. 운문산 자연 생태계의 건전한 유지와 생태계 위해 동물의 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연구조사가 필요하다.

Current Status of Mammal Fauna on Jindo Island, Korea

  • Oh, Hong Shik;Park, Seon Mi;Kim, Yoo Kyung;Han, Sang Hyun;Lee, Hwa Jin;Ha, Jeong Woo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nspc9호
    • /
    • pp.73-79
    • /
    • 2016
  • In the present study,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of mammals that inhabit Jindo Island, Jeollanam-do, South Korea, a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6 to July 9, 2016. Using several survey methods, such as Sherman's live trap, footprint, caves, excretions, and road-kill investigations, the mammals observed on Jindo Island were found to be from 5 orders and 9 families, including 12 species in total. Among them, three species of small mammals were Mogera wogura, Crocidura shantungensis, and Apodemus agrarius. Additionally, two legally protected species were found through excretion observations. Lutra lutra and Prionailurus bengalensis, which were designated to endangered wild animal classes I and II, respectively. The survey results can be used as a valuable resource for identifying the distribution and habitat status of mammals in the Jindo-gun area, as well as for building a database for ecosystem preservation.

인천시 징매이고개의 도로에 설치한 생태통로의 생태 현황과 개선 방안 (Ecological Status and Improvement Suggestion of a Wildlife Road-Crossing Structure at the Jingmaei-Pass in Incheon, Korea)

  • 김진경;조형진;조강현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3권3호
    • /
    • pp.169-176
    • /
    • 2016
  • 도로가 서식지 파편화를 초래하는 주요인이라고 널리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도로에서 야생동물 이동통로는 격리된 서식지 사이의 연결성을 제공하는 가장 일반적인 해결방안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시 징매이고개의 도로에 설치된 야생동물 생태통로에서 보전 가치와 생태적 효율성을 평가하고 적응관리를 위한 대책을 제안하기 위하여, 생태통로에서 소음 교란도, 식생 구조 및 야생동물의 이동과 서식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지인 징매이고개 생태통로에서는 도로 차량으로부터의 소음 교란이 적절하게 차단되지 않고 있었다. 생태통로 식생에서는 단풍잎돼지풀, 개망초, 칡, 찔레꽃 등과 같은 천이초기종이 번성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식생 천이를 촉진하고 동물 서식지 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효과적인 식생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생태통로에서 족적과 폐쇄회로 티비로 야생동물을 조사한 결과, 등줄쥐, 너구리, 두더지, 청솔모 등의 제한된 포유류가 이동통로로 이용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징매이고개 생태통로는 현재 소음 간섭과 교란 식생의 번성으로 생물 이동통로로서의 적적한 기능을 할 수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야생동물 이동통로로서 기능을 향상하기 위하여 동물 서식과 이동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적절한 대책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