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dern Woman

검색결과 207건 처리시간 0.019초

근대시기 한국의 여의사 양성과정 성립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Women Doctor's Training Course in the Modern Period)

  • 신은정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13-127
    • /
    • 2023
  • The Gyeongseong Women's Medical Training Center was created as the result of the efforts of our internal visionaries with meaningful foreign missionaries to cultivate female doctors, yet the systematic structure of the institution developed primarily out of Korean efforts. Koreans have tried hard to cultivate their descendants and the skills of the Korean people within this framework, challenging the oppression of the ruling class in a given environment, and the results have continued to this day. First, during the Early period (1890-1909), Korea began to establish women's education and the first female doctors were trained with the help of foreign missionaries. Second, during the Growth period (1910-1919), while it was difficult for women's education to be easily expressed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the need for women's education was growing as part of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and female students who wanted to become doctors began to go abroad. In addition, during this period, the means to train female doctors in Korea was available, but this system was not recognized by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Third, during the Preparatory period (1920-1928), the Gyeongseong Women's Medical Class, which gave practical training to female doctors, was established and centered on Rosetta Hall and female doctors who studied abroad. Fourth, a women's medical school was established during the Establishment period (1929-1938), which created a foundation for stable supply of professional women's medical personnel. In this article, we studied the process of women who were marginalized in education until they were trained as professional intellectuals, and we hope that it will help them understand the current women's education in Korea and draw directions in the future.

페미니즘 관점으로 본 안느 테레사 드 키어스매커(Anne Teresa De Keersmaeker)의 <로사스 댄스 로사스 Rosas danst Rosas>, <에레나의 아리아 Elena's Aria> 작품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Feminism Represented in Anne Teresa De Keersmaeker's Works)

  • 정수동
    • 트랜스-
    • /
    • 제5권
    • /
    • pp.83-111
    • /
    • 2018
  • 본 연구는 유럽 현대무용의 여성 안무가인 안느 테레사 드 키어스매커(Anne Teresa De Keersmaeker)의 초창기 작품 <로사스 댄스 로사스 Rosas danst Rosas>, <에레나의 아리아 Elena's Aria>를 페미니즘 관점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8세기부터 시작된 페미니즘(Feminism)운동은 여성에 대한 시각과 인식을 변화시켰고 이후 예술작품 속 여성은 나약한 이미지보단 강인하고 독립성을 띈 모습들이 많이 보였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 페미니즘의 영향은 현재 여성예술가들의 활동이 두드러지게 변할 수 있는 의의를 제공하였다. 이에 사회 문화적 흐름에서의 페미니즘 시각으로 작품 속 여성 무용수의 이미지와 역할을 조명할 필요성을 느끼며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안느 테레사 드 키어스매커의 작품에 나타나는 페미니즘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두 작품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페미니즘은 급진주의 페미니즘,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로사스 댄스 로사스>에서 여성무용수의 신체적 억압을 통해 자유의지의 해방적 요소로 급진주의 페미니즘으로 나타났으며 <에레나의 아리아>에서는 여성의 신체 억압이 자유의지의 해방으로 해석되어 급진주의 페미니즘으로 해석되었다. 이와 같이 안느 테레사의 작품을 페미니즘 관점으로 해석한 결과 1980년대 이후에 대두된 페미니즘 이론들과의 상관성 및 영향이 도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그녀의 안무철학과 방향성을 탐색 할 수 있는 또 다른 시각과 영역이 확장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국내에는 그녀를 다양한 시각으로 접근한 연구 및 분석 자료가 전무한 실정에서 새로운 관점 및 시각의 필요성을 재차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자는 페미니즘의 시각으로 안느 테레사를 연구함으로서 현 시대 여성과 남성무용가들이 생산하는 다양한 이미지들이 바로 소멸하여 의미를 잃지 않고 상생하며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 PDF

이너 웨어(Inner Wear) 로고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Logos in Inner Wear Brand)

  • 이민경;나수임
    • 복식문화연구
    • /
    • 제14권5호
    • /
    • pp.790-801
    • /
    • 2006
  • This study analyzed features of elements that compose a logo of inner wear brands to get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elegance"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word to express the concept of inner wear brands to be followed by words like dignity, high-end and aristocratic, words emphasizing femininity, such as feminine, romantic and sexy, words emphasizing practicality, such as convenient, practical, modern, functional and reasonable, and words emphasizing hygiene, such as clean, healthy and hygienic. This suggests that consumers nowadays pursue image more than functional aspects in the shopping of inner wear and consumers' pursuit of such values is reflected in the concept of inner wear brands. Second, unlike logos for outerwear brands that generally used initials of brand name, word-type logos for inner wear brands used the full name of brands, thus suggesting that they put more emphasis on delivery of information rather than on the symbolic aspect. In case of combining characters with concrete objects, they were found generally to use objects that give an soft, elegant and feminine image, such as flowers, woman's head and ribbons. Third, colors in the series of pink and red seemed to be used to convey the concept of inner wear brands that pursue such images as romanticism, femininity, elegance and sensibility, while colors in the series of blue, black and grey for such concepts as functionality, practicality, simplicity, health, hygiene and refinement. With reference to typeface used in the design of logos, unlike outerwear brands of which 83% use sans serif typeface for logos, relatively high percentage of inner wear was found to use typefaces of serif series to stress feminine flexibility and delicacy and give the image of elegance and classical tenderness. With reference to language used in logo naming for inner wear brands, 33 brands were found to use English and only three brands used Korean among the 36 brands surveyed. Even with inner wear brand logos that have Korean name, it was found that they used English in the use of logo marks. Like the result of previous studies,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methods to design brand logos for clothing should be incessantly sought in a way to build brand power as an important component to represent concept or function of brands and reinforce brand image.

  • PDF

제주지역(濟州地域)의 식품금기(食品禁忌)에 관(關)한 연구(硏究) (I)-임신기(妊娠期)를 중심(中心)으로- (A Study of Food Taboos on Jeju Island (I)-Focused on Pregnancy-)

  • 김기남;모수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0권1호
    • /
    • pp.49-58
    • /
    • 1977
  • Nutrition counselors in Korea often encounter difficulty in their attempt to change village women's attitudes regarding food taboos which are counter to good eating habits. There are a great many food superstitions which are not due to religious influence, but seem to be related to shape and composition of food. Many expectant mothers superstitiously avoid eating certain foods for fear that they may cause mental or physical abnormality in their babies. As was shown in a previous survey (Mo, 1966)of villages in all provinces except Jeju Island, such superstitions were common among pregnant and lactating mothers. Many food taboos and superstitions based on non-scientific and irrational ideas do exist even in modern society, and are a major obstacle to nutritionally adequate food consumption. A study of food taboos among women of Jeju Island was undertaken from November to December of 1976, these results to be compared as well with those of the previous study. There were 73 items found to be prohibited during pregnancy. Of these, 48.7% were of the deaf group, 17.4% fish, 5.5% eggs, 4.7% cereal, and only 2.2% fruit. Of 252% women respondents, 111 (45% ) abstained from eating chicken, duck, and shark because of the belief that they would cause their babies to be born with gooseflesh or shark skin. Many of them avoided rabbit meat for fear that their babies might be born with harelip. It was also feared that a baby would become disfigured if his mother ate duck, goat, dog meat, chicken or duck eggs, or soup made of bones. A common superstition was that highly spiced or salty foods would cause the fetus to be hairless. Squid and octopus were believed to cause babies to have weak bones, or none at all. Most of these food taboos were associated with fears concerning Physical structure and appearance of unborn babies. Other taboos were associated with fear of undesirable behavioral characteristics. For example, some mothers thought that a baby would pinch or bite the mother's breast during the weaning period, if crab meat were eaten during pregnancy. Unevenly sliced rice cake, loach, snake meat and eel were also believed to cause a baby to be ill-temper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remarkably similar to those of the previous study conducted by the authour in 1966. Most of the same food taboos, based on non-scientific and irrational reasons, were found on Jeju Island as on the peninsula, and thor were similarly wide-spread. The results of correlational analysis show that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related to prevalence of food taboos, are level of education and religious background. Number of food taboos is correlated with level of education. Also, food taboos are least freqent among the Christian woman. Proper nutrition education should he undertaken in order to encourage intake of protein-rich food, particularly during pregnancy when nutritional needs of mother and fetus are great.

  • PDF

융의 개성화이론으로 읽는 영화<케빈에 대하여> (The Movie by Jung of Individuation)

  • 최영미;조이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361-368
    • /
    • 2018
  • 본 연구는 영화 <케빈에 대하여>를 융의 개성화 이론을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동명의 원작소설을 바탕으로 가족과 다수의 인물을 살해한 소년과 어머니에 대한 내용이다. 모성애를 소재로 한 영화들은 자녀를 위해 헌신하는 모성의 숭고함을 드러내거나 때로 사회적 통념이나 윤리를 거스르는 행위조차도 서슴지 않는 모성을 등장시키는 장르 영화로 표현한다. 또는 모성성과 충돌하는 여성의 욕망을 표현하여 모성이데올로기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모성이데올로기는 근대적 산물로서 산업화 사회에서 성역할을 고정하는 영향을 끼쳤다. 이를 통해 부성애와 달리 모성애는 여성성과 동일시 되며 여성은 가족구성원으로서 개인의 양육 책임을 넘어 안전한 사회적 구성원을 길러내도록 책임이 강조되었다. 영화<케빈에 대하여>는 양육과정에서 애착형성이 부족한 모자관계에서 발생한 범죄의 서사로 전개되지만 이는 '모성애가 부족해 자식을 잘못 기른 어머니'라는 모성이데올로기의 재연이 아니다. 어머니 에바는 모성이데올로기와 충돌하는 자신의 욕망에 대한 갈등을 모자 관계에 투사했고 아들 케빈 역시 어머니를 통해 자신의 페르소나에 영향을 끼친 투사를 경험한다. 본고는 융의 개성화이론을 통해 등장인물들이 투사하는 자아를 직면하고 외부적 역할이나 이상에서 벗어나 자신의 삶의 목표를 찾아 자기실현을 하는 것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공통과학 교과서 화학영역의 STS 내용 분석 (An Analysis of STS Contents in the General Science Textbooks(Chemistry Parts) of High School)

  • 최인영;김윤희;이석희;문성배
    • 대한화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56-263
    • /
    • 2001
  • 본 연구는 제 6차 교육과정에 의해 편찬된 12종의 검인정 공통과학 교과서 중 화학단원에서 전체 지면중 STS 내용의 포함정도를 알아보고 STS 내용을 단원별, Piel의 주제영역별, 활동영역별로 비교분석하였다. 그리고 교과서에 STS와 관련된 내용이 어느 정도 반영?품?있고, 교과서가 교육과정 목표에 어느 정도 부합되는지를 알아보았다. 12종의 공통과학 교과서 화학 영역에서는 STS 교육내용이 교과서 지면의 11.8%에서 33.6%로 평균 24.2%를 차지하고 있었다. STS 내용의 단원별 분포를 보면 현대과학과 가술 단원에 45.5%, 환경단원 38.7%, 에너지단원 29.1%, 물질단원14.0%로 현대과학과 기술단원에 STS에 관련된 내용이 가장 많았다. Piel에 따른 교과서별 STS 주제영역을 비교해 본 결과, 7개의 주제영역중에서 환경문제와 천연자원의 이용이 38.3%, 과학이 과학의 사회학이 29.6%, 기술발달의 영향이 23.6%, 에너지가 7.9%, 인간공학이 0.6%를 차지하고 있으며 인구 그리고 우주개발과 국방에 관련된 주제는 모든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지 않았다. STS 주제를 단원별로 분석한 결과를 보면 에너지는 에너지 단원, 환경문제와 천연자원의 이용은 환경단원에 그리고 기술발달의 영향은 현대과학과 가술단원에 대부분 포함되어 있었다. 반면, 과학의 사회학은 전 단원에 걸쳐 골고루 포함되어 羚駭? STS 교육내용을 SATIS의 활동영역에 따라 분석해 보면 조사연구와 사례연구가 대부분이었고 현장활동, 역할놀이, 문제해결과 의사결정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REBT 진로 집단상담이 경력단절 30대 기혼여성의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REBT Career Group Counseling on Self-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of the Career-Inturrupted Married Women in Thirties)

  • 여숙현;김명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9호
    • /
    • pp.571-577
    • /
    • 2016
  • 최근에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와 사회참여에 대한 문제가 많은 주목을 받고 있고, 주요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경력단절 30대 기혼여성에게 REBT 이론을 적용한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성 및 실시하여, 그들의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J시 소재 초등학교 자녀를 둔 30대 경력단절 기혼여성 45명이었다. 본 연구에 지원한 45명을 상담집단(REBT 집단), 통제집단1(일반부모 교육 집단)과 통제집단2(직업상담사 교육집단) 3집단에 각 15명씩 무선배정하고 사전-사후 비교를 실시했다. 측정도구는 자기효능감 척도와 진로태도성숙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REBT 진로 집단상담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효능감, 사회효능감, 자기효능감(전체) 등이 사후에 증진되었다. 또한 REBT 진로 집단상담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진로태도성숙도의 현실성, 준비성, 결정성, 진로성숙도(전체)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를 통해 REBT 진로 집단상담이 경력단절 30대 기혼여성의 진로와 경력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을 보다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신념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도가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향후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민담 모티프의 변용 양상 연구 - 러시아 요술담의 바바야가를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Modification of Folktales' Motifs)

  • 전성희
    • 비교문화연구
    • /
    • 제39권
    • /
    • pp.241-286
    • /
    • 2015
  • This study explores how folktales' motifs are used in diverse cultural contents such as literature, movies, or comics. More precisely, it is concerned with mysterious characters like Babayaga and Koshchei who appear in Russian fairytales. When the motifs of the reviewed literature are analyzed, the following three criteria are used for classification: New Writing, Rewriting, and New Version. Or course, it is New Writing that is far from the original work. Most of the collected works, including Joan Aiken's The Kingdom Under the Sea, Patricia Polacco's Babushka's Doll, Babushka Baba Yaga, and Tai?-Marc Le Thanh's BABAYAGA, belong to New Writing. The New Writing type mainly focuses on Babayaga's secluded life. In fairytales, Babayaga is depicted as the goddess of Mother Earth, the heroine of the Nature, or the ruler of the Animal Kingdom. That is why she lives in the deep and uninhabited wood. She is related to the Coming of Age ceremony. Her 'Hut on hen's legs' is an obstacle for immature protagonists to face before they come of age. Protagonists are supposed to solve the problems posed by Babayaga. If they succeed, they can get her magical help so as to complete their final mission. Babayaga is likely to appear as their antagonist. Protagonist may be subjected to a terrible ordeal created by Babayaga, and then come of age by recovering from that ordeal. Sometimes, Babayaga helps protagonists to get a grip on reality. That is why she lives in a hut in the deep and dark forest which is on the borderline between life and death. On the other hand, Marianna Mayer's Baba Yaga and Vasilisa the Brave has been classified as a controversial work between New Writing and Rewriting. It is apparently closer to New Version. However, it cannot be classified as a work of New Version because the author incorporates 'probability' into her work. Among the reviewed works, it is Korean Writer Rye, Kami's The Spider Woman's House that best reflects the essence of Babayaga. Babayaga and other characters are amusing in movies because most of the movies are animations for children. In one sense, it is positive that the scary characters in folktales are approachable to children. In other sense, however, it is regrettable that symbolic motifs are completely eliminated. In Mike Mignola's Hellboy, Japanese animations such as Index or Narutaru, on-line games such as Cabal or Vampire: The masquerade, the essence of the supernatural characters in folktales is completely eliminated, and only their 'belligerent power' stands out. It is desirable to put stories into perspective whether they are written or told. The literature property of folktales provides a special opportunity to readers. In this light, a variety of motifs have a good reason to be reborn as modern cultural contents. The bottom line is to maintain its true nature.

현대 한국 여성의 여가문화에 대한 담론 변화 연구 - 1960-2010년대 신문 기사의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 (A discourse analysis for Korean women's leisure culture from 1960s to the present - Application of semantic network analysis)

  • 차민경
    • 문화경제연구
    • /
    • 제21권2호
    • /
    • pp.197-229
    • /
    • 2018
  • 본 연구는 현대 한국 여성의 여가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시대별로 분석, 여성들이 여가 문제에 있어 어떤 이데올로기 갈등을 겪어왔는지 그 사회적, 문화적 맥락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여성의 여가향유 환경 개선을 위한 의미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여성 여가에 대해 다룬 총 4,614개의 언론 기사의 652,513개의 단어를 '의미연결망'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960년대에는 '현대화'와 '현모양처' 이데올로기가 혼재된 양상을 보였고, 1970년대에는 전통적 현모양처에 뿌리를 두되 부업을 통해 가정 경제에 기여하는 희생적인 여성의 모습을 미덕화 했다. 1980년대 여성의 고등교육과 사회진출 증가로 '현대 여성 이데올로기'가 강조되었으나, 이 시기부터 여성 여가 문제에 있어 '현모양처' 이데올로기와의 본격적 갈등이 시작된다. 여성의 지위가 향상된 1990년대에는 오히려 두 이데올로기의 갈등이 심화된 양상을 보였고, 2000년대에도 이러한 갈등은 지속되며 오히려 이데올로기 갈등 사이에서 여성은 자신의 여가를 희생하는 경향을 보였다. 2010년대에는 두 이데올로기 간의 갈등이 여전한 가운데, 쉽게 소비할 수 있는 여가상품의 증가로 자투리 시간을 활용한 스낵컬쳐 여가를 선호하는 양상을 보이게 되었다.

젠더, 노동, 감정 그리고 정치적 각성의 순간 - 여성 사회주의자 정칠성(丁七星)의 삶과 활동에 대한 연구 (Gender, Labor, Emotion and Moment of Political Awakening - A Study on Life and Activities of Female Socialist Chung Chil-sung)

  • 노지승
    • 비교문화연구
    • /
    • 제43권
    • /
    • pp.7-50
    • /
    • 2016
  • 자본주의화된 식민지 조선에서 기생은 위기감 속에서 경제적 구원자가 될 남성에 의존해서 사는 처지였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근대와 자본주의가 부여한 변신의 기회를 갖기도 했다. 사회주의자 정칠성도 정치적 각성을 통해 그러한 변신의 기회를 활용한 사람 중 하나였다. 정칠성의 정치적 각성은 3.1운동이라는 역사적 계기와 십여 년 간 기생으로서 경험했던 개인의 노동 체험이라는 두 가지 요인이 작용한 결과이다. 3.1운동은 민족주의라는 외연을 띤 거대한 정치적 사건이었지만 정칠성이라는 한 여성의 개인적인 분노의 감정을 이끌어낸 계기이기도 했다. 또한 초기 자본주의 사회에서 직업을 가진 여성들은 직무 상의 역할 이외에도 순종적이면서도 아량이 넓어야 한다는 정서적인 역할을 강요받았다. 즉 초기 직업 여성들은 공적 영역에서 젠더 위계와 젠더 권력 속에 무방비로 노출됨으로써 분노와 수치, 모멸감 등의 감정을 겪어야 했고 이러한 감정들이 정칠성의 사례에서 나타나듯 어떤 정치적 각성에 이르게 함을 알 수 있다. 노동 경험과 감정의 문제를 매개로 한 정치적 각성은 정칠성으로 하여금 다른 여성 사회주의자들과는 달리, 여성의 경제적 독립이라는 이슈를 구체적이고 현실적으로 이해하게 만든 요인이었다. 그러나 사회주의 언어는 정칠성에게 자신의 체험을 설명할 수 있는, 당시로서는 상대적으로 가장 적절한 언어였지만 그녀의 체험은 엘리트 사회주의 언어로서는 설명될 수 없는 지점들을 갖고 있다. 따라서 그녀의 삶은 엘리트 중심의 사회주의 운동을 넘어서, 하층민 여성의 삶이 새로운 감성으로 분할되고 등재되어 정치적으로 가시화될 필요가 있음을 역설적으로 증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