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dels, animal

검색결과 1,357건 처리시간 0.029초

Protective Effects of a Mixed Medicinal Herb Extract (NUC1) on Collagenase-Induced Osteoarthritis in Rabbits

  • Sung-Gyu Lee;Hyun Ka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11호
    • /
    • pp.1484-1494
    • /
    • 2023
  • NUC1 (Nutraceutical compound 1) is an ethanol extract composed of a formulation based on medicinal herbs traditionally used for the treatment of arthritis in Korea and Chin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herapeutic effects of NUC1 on osteoarthritis (OA). The protective effect of NUC1 on OA was tested in a rabbit model of collagenase-induced arthritis (CIA) for 4 weeks. Results were compared among four groups (n = 9 per group): the normal group (untreated), the CIA group (vehicle control), the NUC1 group (CIA rabbits treated with 200 mg/kg NUC1), and the JOINS group (positive control, CIA rabbits treated with 200 mg/kg JOINS tablet). NUC1 significantly inhibited NO production (p < 0.05 at 125 ㎍/ml, p < 0.01 at 250 ㎍/ml, and p < 0.001 at 500 ㎍/ml) and iNOS expression in macrophage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NUC1 also inhibited the release and protein expression of MMP-1, 3, and 13, in TNF-α-induced chondrosarcoma cell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 vivo, the MMP-1 and MMP-3 levels in synovial fluids were significantly (p < 0.05) lower in NUC1 group (77.50 ± 20.56 and 22.50 ± 7.39 pg/ml, respectively) than in the CIA group (148.33 ± 68.58 and 77.50 ± 20.46 pg/ml, respectively). Also, in histopathological, NUC1 ameliorated articular cartilage damage in OA by increasing the abundance of chondrocytes and proteoglycan in the articular cartilage. Thus, NUC1 showed promise as a potential therapeutic agent, and it can be generalized to a broader study population in different OA animal models.

식이유도 비만 동물모델에서 마르멜로추출물의 항비만 효능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Anti-Obesity Efficacy of Cydonia oblonga Miller Fruit Extract in Diet-Induced Obesity Animal Models)

  • 황정순;황명오;권기성;김은지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3-24
    • /
    • 2024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nti-obesity effect of Cydonia oblonga Miller fruit extract (COME) and to compare its anti-obesity efficacy with Garcinia cambogia extract (GCE) in diet-induced obese mice. Methods: Five-week-old male C57BL/6 were allocated into four groups: control diet (CD), high-fat diet (HFD), HFD + 400 mg/kg body weight (BW)/day COME (H+C), or HFD + 400 mg/kg BW/day GCE (H+G) groups. COME or GCE was administered once a day by oral gavage for eight weeks. Body weight, body fat percentage, fat weight, and biochemical parameters in serum were measured. The expressions of transcription factors and their target genes in epididymal adipose tissues were analyzed by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esults: COME reduced body weight, weight gain, body fat percentage, total white adipose tissue weight, adipocyte size, and serum levels of insulin and leptin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C57BL/6 mice. COME suppressed the mRNA expressions of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α,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γ, sterol-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1c, fatty acid synthase, and adipocyte protein 2 and increased carnitine palmitoyl transferase 1 mRNA expression in epidydimal adipose tissues. The anti-obesity efficacy of COME was found to be similar to that of GCE at the same dose. However, COME more effectively decreased adipose tissue weights, epididymal adipocyte size, serum insulin and leptin compared to GCE. Conclusions: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COME is not toxic and exhibits anti-obesity efficacy at a level similar to that of GCE, suggesting that COME may be applicable as an anti-obesity agent.

Effects of Soy Bread on Cardiovascular Risk Factor, Inflammation and Oxidative Stress in Women With Active Rheumatoid Arthritis: A Randomized Double-Blind Controlled Trial

  • Afsaneh Sayyaf;Ehsan Ghaedi;Fatemeh Haidari;Elham Rajaei;Kambiz Ahmadi-engali;Bijan Helli
    • Clinical Nutrition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22-32
    • /
    • 2024
  • Rheumatoid arthritis (RA) is a systemic inflammatory autoimmune disorder with widespread synovitis. Isoflavones, the main active component of soy, have been reported to have potent anti-inflammatory effects; the previous RA animal models showed the promising effect of soy supplementation. We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oy bread on inflammatory markers and lipid profiles in RA patient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a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A patien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obtain soy bread (n = 22) or placebo bread (n = 22) for 8 weeks. Fasting serum levels of lipid profile, total antioxidant capacity (TAC),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C-reactive protein (CRP), and DAS28 were checked. Findings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physical activity and dietary intake at the beginning of the study and the end of the stud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measured lipid profile markers, including high-density lipoprotein, low-density lipoprotein,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very low-density lipoprotein, at the end of the trial. In addition, TAC and CRP also were not significant at the end of the trial between the 2 groups (0.66 and 0.12, respectively). However, the serum levels of TNF-α reduced significantly in the soy bread group at the end of the intervention (p < 0.000) and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 < 0.019). Soy bread consumption only decreased circulating TNF-α serum concentration. Other outcome measures were not changed following supplementation. Future long-term, well-designed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these findings.

Decellularized Matrices for the Treatment of Tissue Defects: from Matrix Origin to Immunological Mechanisms

  • Xinyue Wang;Jiqiang Guo;Qing Yu;Luyao Zhao;Xiang Gao;Li Wang;Meiling Wen;Junrong Yan;Meiwen An;Yang Liu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32권5호
    • /
    • pp.509-522
    • /
    • 2024
  • Decellularized matrix transplantation has emerged as a promising therapeutic approach for repairing tissue defects, with numerous studies assessing its safety and efficacy in both animal models and clinical settings. The host immune response elicited by decellularized matrix grafts of natural biological origin plays a crucial role in determining the success of tissue repair, influenced by matrix heterogeneity and the inflammatory microenvironment of the wound. However, the specific immunologic mechanisms underlying the interaction between decellularized matrix grafts and the host immune system remain elusive. This article reviews the sources of decellularized matrices, available decellularization techniques, and residual immunogenic components. It focuses on the host immune response following decellularized matrix transplantation, with emphasis on the key mechanisms of Toll-like receptor, T-cell receptor, and TGF-β/SMAD signaling in the stages of post-transplantation immunorecognition, immunomodulation, and tissue repair, respectively. Furthermore, it highlights the innovative roles of TLR10 and miR-29a-3p in improving transplantation outcomes.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molecular mechanisms underlying the host immune response after decellularized matrix transplantation provides new directions for the repair of tissue defects.

한우의 성장곡선의 모수추정과 연도별 효과 분석 (Estimation of growth curve parameters and analysis of year effect for body weight in Hanwoo)

  • 조광현;나승환;최재관;서강석;김시동;박병호;이영창;박종대;손삼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2호
    • /
    • pp.151-160
    • /
    • 2006
  • 본 연구는 유전능력의 검정자료로서 뿐만 아니라 농가에서 편리하게 체중을 추정할 수 있도록 하여 관리 경영상 뚜렷한 개선을 제공하기 위하여 한우의 성장 단계별 발육 특성을 조사하였다. 자료의 구성은 1980~2004년의 남원, 대관령, 서산과 핵군농가의 자료로 암소 27,647개 비거세우 14,744개 거세우 1,290개를 이용하였다. 암소의 경우 시그모이드(sigmoid)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비거세우의 경우에도 거의 비슷한 분포를 보여주고 있으나 거세우의 경우에는 직선 회귀식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Gompertz 모형을 이용하여 년도별로 분석한 성장곡선은 암, 수소 모두 1990~1994년의 잔차값이 68.49와 54.29로 낮게 나타났으며, 모수 A, b, k의 경우 암소에서 각각 423.6±5.8, 2.387±0.064, 0.0908±0.0033로 추정되었고 수소에서 823.3±15.3, 3.584±0.070, 0.1139±0.0032로 추정되었다. 적합도가 Logistic 모형보다 좋은 Gompertz 모형을 이용하여 곡선추정을 하였으며, 추정된 암소의 월별추정값과 일별추정값은 379.3±7.509, 2.499±0.057, 0.114±0.0045와 367.1±1.9003, 2.3983±0.012, 0.004±0.00003이며, 오차의 평균 제곱합(Residual mean square)은 31.85, 998.4으로 추정되었다. 수소의 월별추정값과 일별추정값은 834.6±22.00, 3.319±0.062, 0.104±0.0037과 796.0±6.128, 3.184±0.014, 0.003±0.00003으로 오차의 평균 제곱합은 66.18, 2106.5로 추정되었으며, 거세우의 경우 1049.1±144.2, 3.024±0.008, 0.067±0.0096와 1505.1±176.6, 2.997±0.067, 0.001±0.0001이며, 오차의 평균 제곱합은 186.0, 1119.1이었다. 성장의 특성을 살펴보면 Gompertz 모형으로 추정할 때 암소의 변곡점(Inflection point)에서의 체중은 139.53kg 이었으며, 변곡점에서의 일당증체율은 0.52kg으로 추정되었다. 수소의 변곡점에서의 체중은 307.03kg 이었으며, 일당증체율은 1.04kg 이었다. 거세우의 경우 변곡점 체중은 385.94kg 이었고 성장속도가 최대인 지점의 순간적인 증체율은 두 모형에서 0.84kg을 나타내었다. 암소가 수소나 거세우에 비하여 성숙체중이 작고 변곡점까지의 도달일령이 빠르며 일당증체량도 작은 성장특성을 보였다.

생물교육에서의 가치 탐구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Value Inquiry Model in Biology Education)

  • 정은영;김영수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82-598
    • /
    • 2000
  • 과학과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그에 관련된 사회적 쟁점들이 야기되는 상황에서, 그러한 쟁점에 대해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능력이 과학교육에서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물학과 관련된 가치문제에 대한 합리적인 가치판단 및 현명한 의사결정에 이르는 과정'을 '생물 교육에서 가치 탐구'로 정의하고, 그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서 가치명료화 모형과 가치분석 모형을 중심으로 가치 탐구 모형을 고찰하였다. 가치명료화 모형은 가치갈등의 해결에는 도움이 되지 않지만 개인적인 가치문제에 주로 관심을 둠으로써 가치의 내면화 과정을 강조한다. 가치분석 모형은 정의적 요소가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지만 가치문제에 대한 분석적인 사고과정의 절차를 제시함으로써 합리적인 해결을 강조한다. 본 연구에서는 가치 탐구의 심리적 측면과 논리적 측면을 고려하여 상호보완적 입장에서, 가치문제의 인식과 명료화, 갈등상황에 관련된 생물학적 지식 파악, 갈등상황에 관련된 사람들의 입장 고려, 대안 탐색, 각 대안의 결과 예측, 대안의 선택, 대안에 대한평가, 최종적 가치판단 및 선택의 공언 단계가 포함된 가치 탐구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에 근거하여 가치 탐구 교육목표를 설정하였으며, 생물교육에서 가치 탐구에 적합한 교육내용으로 동물 복제, 시험관 아기, 유전공학, 생장 호르몬 투여 문제, 뇌사, 장기 이식, 실험 동물을 선정하였고, 이를 제 6차 및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의 교육내용과 관련지어 조직하였다. 또한, 가치 탐구 교육에 적합한 수업모형으로 생물윤리적 가치명료화 의사결정 모델, 가치분석 모형에 따른 조별 발표, 역할극 및 토론, web forum을 이용한 토론을 선정하였고, 학생들의 가치 탐구 능력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면담법을 선정하였다.

  • PDF

낙농 전업농의 기계장치 최적 규모 추정 (Estimation of the Optimum Number of Machines and Equipments for Professional Dairy Farm)

  • 유병기;이용범;장진택;이동현;권두중;기광석;성시흥;이대원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7-39
    • /
    • 1996
  • 낙농 전업농의 최적 기계장치 모델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고자 경기도 낙농가 중 사육규모 별로 經産牛 30두 미만, 30~50두, 50두 이상 각 5농가씩 15농가를 현지 방문하였다. 작업공정별 작업방법, 노동투하시간, 작업 비용 분석자료를 조사, 분석하고 관련 자료들을 수집하여, 經産牛 30두 내외규모, 40두 내외규모, 50두 내외규모에서의 최소 작업비용 기계장치 사육체계를 설정하여 우리나라의 절반 이상 낙농가에서 이용하고 있는 繫留式 牛舍, 양동이식 착유기 중심의 관행 작업 체계와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관행작업체계에서는 가족 노동 1.5인 기준 년 2,700시간으로 經産牛 15두까지 사육 가능하며, 이 때 필요한 총작업비용은 734천원/년ㆍ두로 산출되었다. 2. 繫留式 牛舍에서 최소작업비용을 구한 결과 호퍼식 농후사료 급여, 워터컵 급수, 파이프 라인 착유, 반크리너 분뇨청소에서는 經産牛 28두까지 사육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작업 비용은 520천원/년ㆍ두로 산출되었다. 3. 放飼式 牛舍는 繫留式 牛舍 보다 30두 내외로 사육하는 경우에는 총작업 비용이 더 높았다. 放飼式 牛舍의 최소 작업비용체계는 1열$\times$5두식 헤링본 착유실 착유, 농후사료 자동급여, 무가온보온급수, 스키로더 분뇨청소의 체계로, 經産牛 30두까지 사육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 작업 비용은 582천원/년ㆍ두로 나타났다. 4. 放飼式 牛舍 40두 내외 규모에서의 최소 작업비용체계는 2열$\times$4두식 헤링본 착유실 착유, 농후사료자동급여, 무가온보온급수, 스크레퍼 분뇨청소 체계로, 經産牛 41두까지 사육 가능하고 작업 비용은 501천원/년ㆍ두로 나타났다. 5. 放飼式 牛舍 50두 내외 규모에서의 최소 작업비용체계는 2열$\times$3두식 탠덤 착유실, 농후사료 자동급여, 무가온 보온급수, 스크레퍼 분뇨청소체계로, 經産牛 52두까지 사육가능하고 작업 비용은 500천원/두로 나타났다.

  • PDF

화타협척혈 침자극에 의한 손상 말초신경의 재생효과에 관한 연구 (Studies of the Effects of Acupuncture Stimulation at Huatuo Jiaji(EX B2) Points on Axonal Regeneration of Injured Sciatic Nerve in the Rats)

  • 김대필;박영회;금동호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9-61
    • /
    • 2008
  • 목적 : 좌골신경 압좌손상으로 유발된 쥐의 모델을 이용하여 손상된 말초신경의 재생효과에 관한 침자극 효과를 세포분자학적, 조직학적 관점에서 연구하였다. 아울러 손상 좌골신경을 지배하는 척수신경근과 가까운 부위 경혈자극과 좌골신경이 지배하는 말초부위 경혈자극과의 침자극 효과를 비교 연구하였다. 방법 : 한쪽 좌골신경에 압좌손상을 유발 한 실험쥐들을 1주, 2주로 나눈 뒤 각각에 대해 격일로 1주군은 3회, 2주군은 6회의 침자극을 시행하였다. 손상 좌골신경의 재생효과를 비교실험하기 위해 정상군, 압좌손상만을 유발한 실험군, 침자극 군으로 나누었다. 침자극 군 중 한 군은 손상신경을 지배하는 척수신경근에 가장 가까운 2개의 화타협척혈(EX B2)에 자침(근위부 자극군)하였고, 다른 한 군은 말초부위에 위치한 족삼리혈(ST 36)과 위중혈(BL 40) 2곳에 자침(원위부 자극군)하였다. 실험 후 각각의 조직을 분리하여 Western blotting 혹은 Hoechst staining으로 Gap-43, Cdc2, Cdk2, Erk1/2 단백질을 분석 및 좌골신경의 각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Retrograde tracing을 통해 L5의 DRG와 척수에서 말초신경 재생 효과를 관찰하였고, Immunofluorescence staining을 통해 신경돌기 가지의 신장 정도를 파악하였다. 결과 : 좌골신경 손상 7일된 실험쥐의 근위부와 원위부 침자극군에서 GAP-43와 Cdc2 단백질수준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Cdk2 단백질수준은 압좌손상 실험군에서 강하게 증가하였지만 침자극군과 비교해서 별다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Phospho-Erk1/2 단백질수준은 침자극군에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손상 7일과 14일 된 실험쥐의 손상 원위부에서 슈반세포 수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근위부 침자극군에서 더욱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Retrograde tracing을 이용한 검사 결과 침자극군에서 L5의 DRG와 척수의 염색 세포 수가 증가된 것으로 나타나 침자극이 축삭재생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L5의 DRG 감각신경의 신경돌기 가지 신장정도 및 GAP-43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측정한 결과 근위부 침자극군에서 효과적으로 GAP-43 단백질의 발현 및 신경돌기 가지가 신장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실험결과 침치료가 손상 좌골신경의 재생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여지며, 특히 손상된 좌골신경을 지배하는 척수신경근 주위 화타협척혈에 대한 침자극이 말초부위의 침자극에 비해 신경재생에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韓牛 牝牛의 Body Condition Score가 繁殖形質에 미치는 影響 (Body Condition Score of Hanwoo Cows and Reproductive Performances Performances)

  • 최성복;최연호;이지웅;백광수;김영근;손삼규;김내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1호
    • /
    • pp.31-38
    • /
    • 2004
  • 본 연구는 산차, 계절, 영양상태, 번식주기에 따라 변화하는 한우 빈우의 몸 상태(Body Condition)를 주기적으로 등급화 하여 조사한 값과 동일한 시기에 조사된 한우 번식우의 발육 및 번식형질과의 상관관계를 추정하고, 한우 빈우에서 측정된 몽상태 점수(Body Condition Score, BCS)를 번식 및 사양관리의 수단으로 적용할 수 있는 범위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각 형질별 최소자승평균을 추정하였는 바, 분만간격은 406.7일, 임신기간은 287.7일, 분만후 첫종부 일수는 66.2일, 수태당 종부횟수는 1.78회였다. 송아지 생시체중은 23.3kg, 이유시 체중은 70.7kg 이었다. 종부시 BCS와 분만시 BCS의 평균은 4.55, 5.29 이었으며, 수태당 종부횟수를 BCS 점수에 따라 추정한 바, 종부시 BCS가 5 이하에서는 1.50${\sim}$1.74회였으나, 6 이상에서는 2.00${\sim}$3.00회 로 나타났다. 종부시와 분만시 BCS의 분포는 종부시에는 BCS 4${\sim}$5에 서 57%를, 분만시 BCS 5${\sim}$6에 서 46%로 나타내었다. 주요 번식형질의 표현형 상관은 종부시 BCS와 분만시 BCS, 분만간격, 임신기간, 수태당 종부횟수 사이에는 0.16, 0.26, 0.08, 0.06으로 정의 상관을 보였고, 분만시 BCS와 분만간격, 임신기간, 수태당 종부횟수 사이에는 0.10, 0.13, 0.10으로 역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분만간격과 임신기간, 임신기간과 수태당 종부횟수간에는 -0.11, - 0.13으로 부의 상관을 보였다.

측두하악관절에서의 골관절염 유도 동물모델 비교연구 (A Comparison Study on Animal Models for Osteoarthritis in Temporomandibular Joint)

  • 유선녕;이영철;박혜련;유미현;전혜미;김광연;김상헌;옥수민;고명연;안용우;안순철;정성희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6권4호
    • /
    • pp.261-271
    • /
    • 2011
  • 측두하악관절에서 발생하는 골관절염은 저작시 통증, 개구제한, 관절잡음, 교합변화를 유발하여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데 관여하는 주요한 질환이다. 골관절염의 진행과정과 그에 따른 제어방법을 연구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이 중 골조직면에서의 조직변화, 활막액의 성분변화, 활막의 조직변화, 주변조직의 변화, 통증에 대한 반응을 확인할 수 있는 동물모델이 주로 많이 이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동물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을 유도하여 하악관절표면에서 일어난 조직변화를 비교 관찰하였으며 각 동물모델의 연구 활용방안에 대하여 탐색하였다. 측두하악관절의 관절강에 monosodium iodoacetate (MIA) 와 interleukin-$1{\alpha}$(IL-$1{\alpha}$)를 직접 주입하여 약물로 관절염을 유도하여 관절조직면을 관찰하였다. 또한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에 의한 골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난소절제술로 인한 골다공증 유발모델에서의 하악관절을 관찰하였으며, 노화된 백서의 관절면을 확인함으로써 노화로 인한 골변화를 관찰하였다. Safranin-O 염색 법과 Masson's trichrome 염색법을 이용하여 각각의 관절면에서 세포배열의 변화, 콜라겐의 변화, 골조직의 변화 및 파괴양상에 대하여 확인하였고 Safranin-O의 양성반응을 확인하여 proteoglycans (PGs)의 조직내 분포를 추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