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dafinil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4초

Practical Use and Risk of Modafinil, a Novel Waking Drug

  • Kim, Dong-Soo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7권
    • /
    • pp.7.1-7.7
    • /
    • 2012
  • Objectives: Modafinil is a waking drug prescribed to narcolepsy patients, but its usage among healthy individuals is increasing to enhance their alertness or to mitigate fatigu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ractical use and toxic effects on neuro-immune interaction of modafinil. Methods: This study reviewed the significance of psychoactive drugs, and discussed the benefits and risks of the application of modafinil, which seems to be ideal as an anti-psychotic or anti-fatigue agent. Results: Modafinil is known to have less or no adverse effects than those found in traditional psychostimulants such as amphetamine, methylphenidate or cocaine. It can be applied as an anti-psychotic or anti-fatigue agent. However, the waking mechanism of modafinil is yet to be fully revealed. Recent studies reported that modafinil may be subject to abuse and addiction. In addition prolonged sleeplessness induces stress responses and impairs immune function. Conclusions: Modafinil can be used by anyone, who wishes to work late, stay awake, enhance their cognitive reactions, or brighten their moods. Users may already be under a great level of stress, i.e. cancer patients or soldiers in a battle field. A psychoneuroimmunological approach is thus needed to investigate the multi-functional effects of modafinil.

Modafinil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치료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Modafinil for the Treatment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 이유정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6-71
    • /
    • 2010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는 미국에서 약 200만 명의 어린이에게 나타나는 심각한 만성 신경행동학적 장애이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치료의 중심은 약물요법이다. 그러나 현재 환자의 약 30%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를 적응증으로 갖도록 허가된 의약품들을 사용해도 적절한 치료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Modafinil은 methylphenidate나 amphetamines와 같은 각성제와는 다른 약리학적 기전으로 중추신경계를 항진시킨다. 본 연구는 modafinil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치료효과에 대한 최신 지견을 얻고자, 1990년부터 2010년 3월까지 MEDLINE에 등재된 논문을 ADHD와 Modafinil이라는 MeSH terms로 검색하여 추출한 자료 중에서 대조군이 사용된 무작위 배정 및 이중맹검 임상연구 사례만을 선별하여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현재 modafinil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 치료제로 허가된 의약품은 아니지만 최근 여러 국가에서 시행된 연구들은 modafinil이 안전하고 효과적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치료제일 수 있다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모다피닐이 기면병 환자와 대조군의 임상 양상과 수면구조에 구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odafinil on Clinical Features and Sleep Structure of Narcolepsy Patients and Healthy Controls)

  • 신홍범;정도언;김의중
    • 수면정신생리
    • /
    • 제13권2호
    • /
    • pp.67-74
    • /
    • 2006
  • 서 론:기면병은 과도한 주간졸림증과 탈력발작을 주 증상으로 하는 질환이다. 모다피닐은 기면병 치료에 이용되는 정신자극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모다피닐이 기면병환자와 정산인의 임상 양상과 야간수면구조 및 주간 졸음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방 법:기면병 환자 12명(연령:$22.9{\pm}2.6$세)(남:여=7:5)과 성별, 연령이 짝지어진 대조군 12명($23.8{\pm}2.5$세)이 기저 연구(baseline study)에 참여하였다. 모든 참가자들을 기저검사로 임상 척도, 야간수면다원검사 및 주간입면시간반복검사를 시행하였으며, 모다피닐 200 밀리그램 투약 후 동일한 검사를 반복 시행하였다. 모다피닐 투여 이후 임상척도, 야간수면다원검사 및 주간입면시간반복검사 수면관련변인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결 과:모다피닐 투여는 피츠버그수면장애척도 점수만을 감소시켰을 뿐 그 외의 임상적 척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기면병 환자와 대조군에서, 투약 전에 비하여 투약 후 야간수면다원검사의 총수면 시간, 수면 효율이 감소하였고, 입면 후 각성 시간과 총검사시간 중 각성 시간의 비율은 증가하였다. 이어서 시행한 주간입면시간반복검사상 평균입면잠복시간이 연장되는 소견을 보였다. 결 론:모다피닐은 각성 효과를 지닌 약물로 메틸페니데이트 등 기존 투약에 비해 야간수면에 대한 영향이 적은 약물이다. 본 연구에서 총수면 시간, 수면 효율 및 각성 시간의 비율 증가를 보여 야간수면에 영향을 주지만 수면구조 전체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모다피닐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시행된 주간입면시간반복검사 상 평균입면잠복기의 연장을 보여 기면병과 관련된 졸음 증상 조절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모다피닐은 주간졸림증이 없는 대조군에서도 각성도를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에서 비정신자극제 약물치료 (Non-Stimulant Medications in the Treatment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황준원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9권2호
    • /
    • pp.72-82
    • /
    • 2008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use of non-stimulants, including atomoxetine, bupropion and modafinil, as alternative approaches to the treatment of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empirically based literature regarding the efficacy and the safety of the non-stimulants was performed. There is a large and increasing body of data supporting the efficacy and the safety of non-stimulants. Although the treatment effect sizes for non-stimulants may be smaller than those for stimulants, non-stimulants alone have been shown to be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s well as several comorbidit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non-stimulants are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alternative pharmacological medications in the treatment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PDF

기면증 : 임상 양상, 진단 그리고 치료 (Narcolepsy : Clinical Feature, Diagnosis and Treatment)

  • 신홍범
    • 수면정신생리
    • /
    • 제17권2호
    • /
    • pp.63-68
    • /
    • 2010
  • Narcolepsy is a central neurologic system disease. It begins early in life with disabling symptoms including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cataplexy, sleep paralysis, hypnagogic hallucination and nocturnal sleep fragmentation. Patient with typical symptoms of narcolepsy is diagnosed by objective data from nocturnal polysomnography and multiple sleep latency tests. Narcolepsy is controlled with various medications. Nowadays, modafinil with favorable side effects profiles compared with traditional stimulant is mainly used. Gamma hydroxyl butyrate is effective in cataplexy. Cataplexy is also controlled with antidepressant such as Venlafaxine, SSRI, and TCA. As the knowledge of pathophysiology of narcolepsy expands, new treatment including immunological method, application of hypocretin and histamine systems have been tried.

  • PDF

전투피로 완화를 위한 정신약물의 활용에 관한 연구 (Studies on Application of Psychoactive Drugs for Relieving of Combat Fatigue)

  • 김동수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689-698
    • /
    • 2010
  • Fatigue has been a common symptom of warfighters who were participated in the early morning hours, late night hours, and sustained operations. Continuous operations may disrupt circadian rhythm, resulting in impaired combat capability. It is important to enhance alertness and sleep quality of warfighters for maintaining combat capability. A number of anti-fatigue strategies are available including medications. Here in, the pharmacological countermeasures of combat fatigue have reviewed, and the direction of research in the pharmacological countermeasures against combat fatigue are proposed.

Apathy syndrome in a patient previously treated with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for depression

  • Kim, Hye-Geum;Koo, Bon-Hoon;Lee, Seung Woo;Cheon, Eun-Jin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6권3호
    • /
    • pp.249-253
    • /
    • 2019
  • There is considerable overlap in the clinical presentations of apathy and depression. However, differential diagnosis between apathy and other psychiatric conditions, including depression and dementia, is important. In this report, we present the case of a 67-year-old woman with a history of receiving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SSRI) treatment for depression. Differential diagnosis between treatment-resistant depression and SSRI-induced apathy syndrome was required. The symptoms of her apathy syndrome were relieved after the discontinuation of SSRIs and the addition of olanzapine, methylphenidate, and modafinil. Furthermore, we briefly review related literature in this article.

과도한 주간 졸림과 탈력발작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발견된 갑상선 중독증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Case Confounding with Thyrotoxicosis)

  • 정재경;김의중
    • 수면정신생리
    • /
    • 제18권1호
    • /
    • pp.40-44
    • /
    • 2011
  • 기면병은 과도한 주간 졸림, 탈력발작, 수면 분절화, 입면환각의 특징을 가진 수면 질환이다. 기면병의 증상은 내과적, 신경과적 질환으로부터 생길 수도 있다. 17세의 고등학생 남자 환자가 3개월 전부터 발생한 참을 수 없는 과도한 주간 졸림으로 본원 수면클리닉을 통해 입원하였다. 내원 이후 측정된 체질량지수는 30.4 kg/$m^2$였고 맥박은 분당 70~90회, 혈압은 150/100~120/70 mmHg로 관찰되었다. 갑상선기능 검사에서 T3 391.2 ng/dL(60~181), free T4 4.38 ng/dL(0.89~1.76), TSH(thyroid stimulating hormone) <0.01 ${\mu}IU$/mL(0.35~5.5)로 갑상선 중독증이 시사되었다. 수면다원검사가 실시되었고, 수면 자세의 변환은 시간당 81 회로 매우 많은 편이었다. 입면 잠복기는 33.5분, 수면 효율은 47.9%, 입면에서 렘수면 입면시간은 153.6분으로 지연되었고 렘수면은 27.1%로 증가하였다. 주기성 사지 운동지수는 13.4/h로 나타났다. 수면잠복기반복검사에서 평균 입면잠복시간은 24초, SOREMP(sleep onset REM period)은 3회에서 관찰되었다. actogram상 수면-각성의 경계가 불분명하였고, HLA typing에서 DQB1 $^*0602$는 음성이었다. 환자의 갑상선중독증은 대해 3개월간 methimazole 30 mg, propranolol 40 mg이 투약되며 갑상선 기능이 호전되었다. 탈력발작은 venlafaxine 75 mg으로 조절되었고, 야간 수면 유지와 주기적 사지운동증을 치료 하기 위해 clonaze-pam 0.5 mg이 사용되었고 주관적인 야간 수면의 질은 향상되었다. 과도한 주간 졸림에 대해서는 3개월간 modafinil 200~400 mg이 투여되었고 부분적이긴 하지만 다소의 호전을 보이고 있다. 본 증례는 기면병으로 최종 진단된 환자에 있어 병력과 검사상 발견된 갑상선 중독증, 그리고 수면 효율 감소 등이 과도한 주간 졸림을 평가하는데 혼란 변수로 작용한 경우라 하겠다. 다만, 주간 과다 졸림이 modafinil에 부분적인 효과를 보이는 것, HLA DQB1 $^*0602$ 음성의 결과를 보인 환자에게 나타났던 탈력발작에 대해서도 더 설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향후 CSF hypocretin level을 추가로 측정하고 수면 문제의 추이를 관찰하면서 추가적인 PSG와 MSLT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한국형 치료 권고안(III) - 약물치료 - (The Korean Practice Parameter for the Treatment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III) - Pharmacologic Treatment -)

  • 유희정;양수진;신동원;강화연;김붕년;김지훈;안동현;유한익;천근아;홍현주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8권1호
    • /
    • pp.16-25
    • /
    • 2007
  • The objective of this review is to propose the Korean practice guideline for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For making the guideline, the authors used the evidence-base approaches derived from a detailed review of literature including wide range of controlled clinical trials, studies of side effects of drugs, toxicological reports, and meta-analyses published in United States and Europe, as well as inside Korea. The review committee composed of experts in ADHD inkoreahasreviewedtheparameter. The practice parameter for pharmacological treatment describes the use of stimulants, atomoxetine, modafinil, bupropion, tricyclic antidepressants, and alpha-adrenergic agonists and their side effects. The recommendations of pharmacological treatment are proposed at the end of the artic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