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bile touch screen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8초

Controlling Position of Virtual Reality Contents with Mouth-Wind and Acceleration Sensor

  • Kim, Jong-Hy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57-63
    • /
    • 2019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framework to control VR(Virtual reality) contents in real time using user's mouth-wind and acceleration sensor of mobile device. In VR, user interaction technology is important, but various user interface methods is still lacking. Most of the interaction technologies are hand touch screen touch or motion recognition. We propose a new interface technology that can interact with VR contents in real time using user's mouth-wind method with acceleration sensor. The direction of the mouth-wind is determined using the angle and posi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mobile device, and the control position is adjusted using the acceleration sensor of the mobile device. Noise included in the size of the mouth wind is refined using a simple average filter. In order to demonstrate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technology, we show the result of interacting with contents in game and simulation in real time by applying control position and mouth-wind external force to the game.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위치기반 사용자 인증 (User authentication using touch positions in a touch-screen interface)

  • 김진복;이문규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135-141
    • /
    • 2011
  • 최근 다양한 기능을 탑재한 모바일 장치가 보급되고 개인정보를 다루는 각종 응용들이 등장하면서 사용자에 대한 인증이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PIN 방식과 더불어 터치스크린 상에서 입력을 하였을 때 얻을 수 있는 터치 위치데이터를 인증에 이용하는 터치 위치기반 인증방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식은 키 패드를 이용하는 기존의 PIN 입력 방식과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므로 호환성을 제공하며, 기존 PIN 입력 방식의 안전성을 높이는 방법 중 하나인 행위 분석 방식에 비해 사용자 등록 단계가 간소화되어 편의성을 제공한다. 사용자 인증 실험 결과에 의하면 서로 다른 사용자가 같은 PIN 및 전화번호를 입력한다고 가정할 때 4자리, 6자리 PIN 및 11자리 전화번호에 대해 각각 8.1%, 6.2%, 8.1%의 EER을 나타내었으며, 이를 사용자마다 다른 PIN 및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상황에 적용하면 매우 높은 사용자 인식 성능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기존 PIN 입력 방식과 동일한 크기의 패스워드(PIN) 탐색 공간을 갖도록 파라미터를 설정한 후 수행한 공격 실험에 의하면 같은 안전성을 가지는 기존의 PIN 입력 방식에 비해 제안한 방식이 매우 높은 안전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검지의 효율적 화면접촉감응을 위한 압전-구조물계의 동적설계 (Dynamic design of piezoelectric structures for an efficient tactile feedback of index finger on touch screen)

  • 박영민;김광준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80-281
    • /
    • 2009
  • Piezoelectric vibrators can be good replacements of electric motors to excite touch screen of a mobile device owing to small volume and low power consumption. One problem to be solved yet for real application is larger excitation force or moment than available currently. More efficient excitation by a piezoelectric vibrator could be achieved by operating at one of resonance frequencies of the system, which must also be as close as possible to frequency range where index finger is most sensitive and increasing transmission force or moment at that frequency. In this study, dynamic models are derived for the piezoelectric exciter and an adhesive viscoelastic layer, which connect the exciter to the screen. The adhesive layer is modeled as distributed stiffness by considering its geometric shape to relative to the piezoelectric exciter. Then, equations of motion for the piezoelectric exciter and the adhesive layer are derived using Hamilton's principle. Based on this model,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exciter will be designed to maximize the force or moment transmitted onto the screen structure.

  • PDF

적외선을 이용한 멀티 터치와 터치 인터페이스의 구현 (Implementation of multi-touching and application based touch interface using Infrared)

  • 유기선;홍록지;문일영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928-934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적외선 빛을 이용하여 터치를 인식하고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소개한다. 화면에 터치하면 그 곳의 빛을 적외선 카메라가 촬영을 하고, 촬영된 영상은 영상처리를 통해 ID, 좌표 등을 구한 후 TUIO Protocol로 Application에 통신 한다. 전달된 정보를 통해 Application에서 이벤트를 발생하여 구동하게 되는 원리이다. 본 논문에서는 터치를 이용한 Application은 Android Phone과 사진을 주고받을 수 있는 모바일 사진 관리 Application,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합주를 할 수 있는 음악연주 Application에 대해 설명한다.

스마트 디바이스의 인지적 행동에 대한 개념모델 제안 (The Proposal of the Conceptual Model for Cognitive Action of Smart Device)

  • 송승근;김태완;김치용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529-536
    • /
    • 2010
  • 최근 국내외 모바일 시장에서 스마트 디바이스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피쳐폰과는 달리 전면에 터치스크린을 장착한 스마트 디바이스는 직관적이고 조작이 쉬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와 기기 간의 원활한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전망 높은 시장에 비해 터치스크린 기반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사용자 중심의 터치 인터페이스 개념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최근에 출시된 스마트 디바이스 3종을 대상으로 전문가 심층면접과 사용자 관찰 결과,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의 인지적 행동 요소를 정의하고, 행동 요소에 알맞은 터치 인터페이스방식을 도출하여 사용자의 인지적 행동에 대한 개념모델을 제안할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출시될 터치스크린 기반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경험을 최대화시킬 수 있는 터치 인터페이스 구현에 좋은 디자인 지침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A Study on the Effect of Pre-cue in Simple Reactions on Control-on-Display Interfaces

  • Lim, Ji-Hyoun;Choi, Jun-Young;Kim, Young-Su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63-569
    • /
    • 2011
  • Objective: This study focuses on the effects of pre-cues informing the location of upcoming visual stimulus on finger movement response in the context of control-on-display interfaces. Background: Previous research on pre-cues focus on attention allocation and motion studies were limited to indirect control conditions. The design of this study aimed to collect data on the exact landing point for finger-tap responses to a given visual stimulus. Method: Controlled visual stimuli and tasks were presented on a UI evaluation system built using mobile web standards; response accuracy and response time were measured and collected as appropriate. Among the 16 recruited participants, 11 completed the experiment. Results: Providing pre-cue on the location of stimulus affected response time and response accuracy. The response bias, which is a distance from the center of stimulus to the finger-tap location, was larger when the pre-cue was given during a one-handed operation. Conclusion: Given a pre-cue, response time decreases, but with accuracy penalized. Application: In designing touch-screen UI's - more strictly, visual components also acting as controllers - designers would do well to balance human perceptual and cognitive characteristics strategically.

기기 면적 대비 높은 화면 비율을 갖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제조를 위한 차광 테이프의 개발 (Development of Shading Tape for Manufacturing of Touch Panel Display with High Screen-to-Body Ratio)

  • 김기출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75-81
    • /
    • 2017
  • 정보기술의 디자인 트렌드는 시대에 따라 빠르게 변해왔으며, 최근의 정보 디스플레이의 디자인 트렌드는 베젤리스 디스플레이가 대세이다. 베젤리스 또는 에지리스 디스플레이는 휴대폰 디스플레이의 새로운 트렌드로 부상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른바 베젤리스 디스플레이라고 불리는 기기 면적 대비 높은 화면 비율을 갖는 터치패널 디스플레이의 조립 공정에 적합한 차광 테이프를 개발하였다. 차광 테이프는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를 PET 필름 위에 롤투롤 공정으로 코팅하여 제조하였다. 자외선 경화형 감압성 점착제는 톨루엔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적인 제조 방법으로 합성되었다. 제조된 차광 테이프의 점착력은 자동화된 인장시험기로 분석하였으며, 형상유지 특성인 칙소성은 주사 전자 현미경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제조된 차광 테이프는 터치패널 디스플레이의 조립 공정에 적합한 높은 점착력과 우수한 칙소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기능성 차광 테이프의 개발은 그 동안 차광 테이프의 칙소성 부족으로 인하여 야기되었던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조립 공정의 생산성향상 및 품질안정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터치스크린 Readout 시스템의 연구 경향 (Recent Research Trends in Touchscreen Readout Systems)

  • 이준민;함주원;장우석;이하민;구상모;오종민;고승훈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36권5호
    • /
    • pp.423-432
    • /
    • 2023
  • With the increasing demand for mobile devices featuring multi-touch operation, extensive research is being conducted on touch screen panel (TSP) Readout ICs (ROICs) that should possess low power consumption, compact chip size, and immunity to external noise. Therefore, this paper discusses capacitive touch sensors and their readout circuits, and it introduces research trends in various circuit designs that are robust against external noise sources. The recent state-of-the-art TSP ROICs have primarily focused on minimizing the impact of parasitic capacitance (Cp) caused by thin panel thickness. The large Cp can be effectively compensated using an area-efficient current compensator and Current Conveyor (CC), while a display noise reduction scheme utilizing a noise-antenna (NA) electrode significantly improves the signal-to-noise ratio (SNR). Based on these achievements, it is expected that future TSP ROICs will be capable of stable operation with thinner and flexible Touch Screen Panels (TSPs).

사용성 로그 분석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플랫폼 (User Interface Design Platform based on Usage Log Analysis)

  • 김아영;이준우;김무철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51-159
    • /
    • 2016
  •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자에게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언제 어디서나 실행 가능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들은 다른 도메인의 어플리케이션 보다 사용성의 우선순위가 높다. 기존의 연구들은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성 향상을 위해서 프로토타입과 스토리보드 방식을 활용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성에 대한 설문을 수행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성 관련 문제점을 지속적으로 식별하고 개선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터치 제스처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성을 분석하는 기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는 어플리케이션이 배포된 후에도 지속적으로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어플리케이션의 UI/UX 문제점을 식별하고 개선시킬 수 있다.

Comparing Elder Users' Interaction Behavior to the Younger: Focusing on Tap, Move and Flick Tasks on a Mobile Touch Screen Device

  • Lim, Ji-Hyoun;Ryu, Tae-Beum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413-419
    • /
    • 2012
  • Objective: This study presents an observation and analysis on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old users in comparison to young users in the use of control on display interface. Background: Touch interface which allows users to control directly on display, is conceived as delight and easy way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Due to the advantage in stimulus-response ensemble, the old users, who typically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interacting with computer, would expected to have better experience in using computing machines. Method: Twenty nine participants who are over 50 years old and 14 participants who are in 20s years old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ree primary tasks in touch interface, which are tap, move, and flick, were delivered by the users. For the tap task, response time and point of touch response were collected and the response bias was calculated for each trial. For the move task, delivery time and the distance of finger movements were recorded for each trial. For the flick task, task completion time and flicking distance were recorded. Results: From the collected behavioral data, temporal and spatial differences between young and old users behavior were analyzed. The older users showed difficulty in completing move task requiring eye-hand coord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