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bile rehabilitation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1초

TGC 분석을 통한 모바일 기반 상지 재활 프로그램의 유용성 평가 (Usability Evaluation of Mobile based Upper Extremity Rehabilitation Program Through TGC Analysis)

  • 임현미;손지은;구정훈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5-19
    • /
    • 2019
  • In this study, Theta Gamma Coupling (TGC) analysis was carried out after performing simple and repeated upper limb exercise and comparative experiment to observe changes in the motor cortex of the brain through TGC and to see if mobile rehabilitation therapy is actually effective. As a result, exercise using mobile devices showed higher TGC values in motor cortex as compared with simple repeat upper limb exercise. In addition, paired t-test using SPS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ercise using mobile devices and simple repeat exercise at P3(t=3.390, df(degree of freedom)=12, p value=0.005). Exercise using mobile devices is effective for rehabilitation because it increases the Theta-Gamma Coupling and activates the motor cortex. Also, since the mobile game contents required the subject to detailed athletic ability adjustment with immersion in the task, it may be thought that brain activation is stronger than simple rehabilitation.

개방 플랫폼용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분석 (Accessibility Analysis of Mobile Applications for Open Platforms)

  • 문현주;민홍기;김석일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87-198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모바일 앱 접근성 KS, 미국의 재활법 508조 개정 표준 및 유럽의 BBC 지침을 기준으로 개방형 플랫폼인 안드로이드 모바일 뱅킹 앱의 접근성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우리나라 8개 시중은행의 모바일 뱅킹 앱 중 상기 3가지 표준의 세부 항목을 모두 만족하는 앱은 한 곳도 없었다. 대표적인 위반 항목은 대체 텍스트 미비, 키보드 초점 위반, 컨트롤 크기 및 간격 미준수, 명도대비 비율 낮음 등이었다. 이들 위반사례는 시각장애인, 상지장애인 및 저시력인과 고령자의 접근을 불가능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치명적인 오류이다. 모바일 뱅킹 앱이 접근성을 준수하지 않는 원인에 있어서는 모바일 앱 개발자와 제공자들의 접근성에 관한 인식이 낮고 접근성 구현 방법을 제대로 숙지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우리나라의 모바일 앱 접근성 지침을 재활법 508조 개정 표준 및 BBC 표준과 비교한 결과, 많은 항목이 누락되어 있었다. 또한 평가 기준이 모호하고 추상적이어서 개발자들이 구체적으로 참고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모바일 앱 접근성 향상을 위한 개발자 및 정부의 노력과 더불어 표준의 보완이 필요하다.

Influence of mobile phone texting on gait parameters during ramp ascent and descent

  • Kim, Hyunjin;Park, Jaemyoung;Cha, Jaeyun;Song, Chang-Ho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3권1호
    • /
    • pp.43-48
    • /
    • 2014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s on gait features during mobile phone use while ramp walking. Design: Cross-sectional study. Methods: Thirty-three healthy adult subjects performed four walking conditions on an outside ramp with a 5 m length, 1.5 m width, and a $5^{\circ}$ angle. All participants were touch screen mobile phone users. Four walking conditions were used: 1) ramp ascent, 2) ramp descent, 3) texting during ramp ascent, and 4) texting during ramp descent. In conditions 3) and 4), subjects texted the words of "Aegukga"-the song of patriotism-while walking. Upon the signal of start, the subjects walked the ramp during texting. Gait parameters were measured at the length of 3 m excluding 1 m of the start and end of the total length. Each situation was repeated three times for each subject, and mean values were calculated. For gait examination, a gait analyzer was used (OptoGait). Results: Subjects ranged in age from 23 to 38 years (mean age, 27.73). Eighty-three percent of subjects in our study had experienced an accident during mobile phone use. Texting on a mobile phone while walking significantly decreased ramp gait, speed, cadence, stride length, step length, and single support (p<0.05) and significantly increased stride time, step time, gait cycle, and double support (p<0.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adence, step length, stride time, step time, and single support during ramp ascent and descent (p<0.05). Conclusions: Texting on a mobile phone while walking significantly decreased gait quality.

스마트폰을 이용한 뇌졸중 후 상지 편마비 환자의 상지 게임재활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임상적 유용성 평가에 대한 예비연구 (Development and Clinical Evaluation of the Upper Extremity Rehabilitation Game Program for Patients with Upper Extremity Hemiplegia After Stroke Using Smartphone: Preliminary Study)

  • 임현미;최윤희;백남종;구정훈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155-161
    • /
    • 2015
  • In the paper, we developed the mobile based rehabilitation system for patients with upper extremity hemiplegia after stroke and evaluated clinical usefulness and effectiveness of the system. The sensors built in the smartphone were used to track patients' upper limb motion and the movements was transferred to the tablet PC through bluetooth connection so that the game contents could be interact with the movements. The rehabilitation game contents was based on Brunnstrom stage(B-stage), and was designed to lead accurate movement of upper limb. For the clinical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11 patients were recruited and make them perform an exercise of their wrist, shoulder, and forearm using the system for two weeks. The change of upper limb motor function was measured using fugl-meyer assessment(FMA), Brunnstrom stage(B-stage). And the change of quality of life was measured using EuroQoL-5 Dimension(EQ-5D),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upper limb function but not in quality of life. We verified mobile based rehabilitation program could be useful and effective for the clinical use.

Implementation of Personalized Rehabilitation Exercise Mobile App based on Edge Computing

  • Park, Myeong-Chul;Hur, Hwa-La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2호
    • /
    • pp.93-100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엣지 컴퓨팅 기반의 개인 맞춤형 운동 정보수집 시스템을 활용하여 개인 맞춤형 재활 운동 코칭 및 관리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앱을 제안한다.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의존하는 기존 관리 방식은 실질적인 재활 가능성을 타진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원격지의 엣지 컴퓨팅 기반의 영상정보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신체 관절정보와 함께 운동 정보를 수집하여 해당 운동의 시간 및 정확도를 측정하고 올바른 자세정보를 통한 재활 진척도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한다. 또한, 재활 센터의 측정 장비와 연동하여 건강상태를 관리할 수 있으며, 운동정보의 정확도 및 경향성 분석 정보를 제공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비대면 환경에서의 자가 재활 운동에 따른 관리 및 코칭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재활 보조 시스템 제어를 위한 힘 반향 조이스틱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ce Reflection Joystick Method or controlling Rehabilitation Assisting System)

  • 홍준표;이응혁;김병수;김승호;홍승흥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07-510
    • /
    • 1997
  • In this paper, we proposed force reflection method using joystick or controlling rehabilitation assisting mobile robot. We defined reflected orce equation as two terms. One is distance between mobile robot and obstacle, the other is speed of rehabilitation assisting robot. And we found the each gain value which guarantees stable navigation of robot. And we experimented simulation with simulation program supporting virtual 2-D map. Through the experiments, we confirmed force reflection algorithm is efficient when controlling rehabilitation assisting robot.

  • PDF

인체 자중 보상 및 로봇 경로계획법을 이용한 이동형 보행 재활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Walking Assistive System using Body Weight Supporting and Path Planning Strategy)

  • 유승남;손웅희;서승환;이상호;한창수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939-947
    • /
    • 2010
  • With the rising numbers of elderly and disabled people, the demand for welfare services using a robotic system and not involving human effort is likewise increasing. This study deals with a mobile-robot system combined with a BWS (Body Weight Support) system for gait rehabilitation. The BWS system is designed via the kinematic analysis of the robot's body-lifting characteristics and of the walking guide system that controls the total rehabilitation system integrated in the mobile robot. This mobile platform is operated by utilizing the AGV (Autonomous Guided Vehicle) driving algorithm. Especially, the method that integrates geometric path tracking and obstacle avoidance for a nonholonomic mobile robot is applied so that the system can be operated in an area where the elderly users are expected to be situated, such as in a public hospital or a rehabilitation center. The mobile robot follows the path by moving through the turning radius supplied by the pure-pursuit method which is one of the existing geometric path-tracking method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is verified through the real experiments those are conducted for path tracking with static- and dynamic-obstacle avoidance. Finally, through the EMG (Electromyography) signal measurement of the subject,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ystem in a real operation condition is evaluated.

모바일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소프트웨어의 사용성 평가 및 모바일 기기의 크기에 대한 선호도 조사 (Usability Testing for a Mobile Augmentative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Software and Users' Preference for the Size of Mobile Devices)

  • 이희연;홍기형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37-43
    • /
    • 2012
  • 본 논문은 안드로이드기반 모바일 보완대체의사소통시스템(AAC)의 기능 및 사용자인터페이스(UI)에 대한 사용성 평가에 대한 것이다. 시나리오를 사용한 평가를 통해 특정 기능실행의 용이성, 기능사용의 만족도, 정보찾기의 용이성 등을 살펴보았고, 설문조사를 통해 모바일 AAC의 개발목적, 내용, 교수학습 전략, 활용가능성, 편집/설정 기능과 사용자인터페이스 등이 무발화아동의 의사소통 요구에 적합한지를 평가하였으며, 자유 피드백을 통하여 사용자의 선호도, 만족도, 요구분석 사항 등에 대한 피드백들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5인치, 7인치, 4.3인치의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안드로이드기반 모바일 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 PDF

힘 반향 조이스틱을 이용한 재활보조용 이동 로보트의 제어 기법 (The Control Method of Rehabilitation Assistance Mobile Robot Using Force-Reflection Joystick)

  • 이응혁;권오상;김병수;민홍기;장원석;홍승홍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47-456
    • /
    • 1997
  • 장애자나 노약자가 이동형의 재활보조 시스템을 조이스틱을 이용하여 직접 조작할 경우, 정상인과 달리 조이스틱 제어시 떨림이나 순간적인 오조작 (예를들면 조이스틱으로 손에서 놓치는 경우)이 자주 발생 하게 된다. 이러한 오조작이 그대로 전달될 경우 이동형 재활 보조시스템의 진동잉나 오동작을 초래하고, 특히 장애자나 노약자의안전성의 측면에서 문제로 대두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장애자의 오조작 및 주위 환경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초음파 센서를 사용하여 물체와 이동 로봇의 접근 정도를 측정하고 이에 따라 이동 로보트가 물체에 접근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도록 모터부착형 조이스틱에 토오크를 걸어주는 조이스틱을 사용한 힘 반향 주행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될 힘 반향 기법의 유효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원통형의 전방 장애물과 복도의 벽면을 가상으로 만들고 이를 따라 조이스틱을 조작하여 주행실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 조작자의 숙련도의 차이는 있었으나 장애물 정보를 조이스틱을 통하여 조작자에게 전달됨을 확인함으로써 조작성능과 장애물에 대한 안전성이 향상됨을 알수 있었다.

  • PDF

장애학생을 위한 스마트기기 앱 접근성 개선방안 (The Improvement of Smart Devices Apps Accessibility for Student with Disabilities)

  • 홍경순;민홍기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25-131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특수교육대상 장애학생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데 필요한 접근성 준수 실태를 조사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신체적 장애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많은 시각, 청각 및 상지지체장애인 등에게 도움이 되는 미래부에서 고시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지침15개 항목 중에서 12개 항목을 대상으로 전문가 평가를 실시하여 접근성을 준수하지 않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장애인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