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nAl

검색결과 1,114건 처리시간 0.031초

Al-Mg 계 다이캐스팅 합금의 미세조직 및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Mg 및 Si의 영향 (Effects of Mg and Si on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Al-Mg Die Casting Alloy)

  • 조재익;김철우
    • 한국주조공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219-224
    • /
    • 2012
  • The effects of Mg and Si contents on the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in Al-Mg alloy (ALDC6)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 phase fraction and size of $Mg_2Si$ and $Al_{15}(Fe,Mn)_3Si_2$ phase in the microstructure of Al-Mg alloy were increased as the Mg and Si contents were raised from 2.5 to 3.5 wt%. With Si content of 1.5 wt%, freezing range of the alloy was significantly reduced and solidification became more complex during the final stage of solidification.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influence of Mg contents on mechanical properties, Si contents up to 1.5 wt%, strongly affected the mechanical properties. Especially elongation was reduced by about a half with more than 1.0 wt%Si in the alloy. The bending and impact strength were decreased with increased amount of Si in the alloy, as well. The lowered mechanical properties are because of the growth of particle shaped coarse $Mg_2Si$ phase and precipitation of the needle like $\beta$-AlFeSi in the microstructure at the last region to solidify due to presence of excess amount of Si in the alloy.

Al-5%Mg계 주조합금의 물성 및 시효경화특성에 미치는 합금원소의 영향 (Effects of Alloying Elements on the Properties and Aging Hardening of Al-5%Mg Based Casting Alloys)

  • 김정민;박준식;조재익;김현길
    • 한국주조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9-33
    • /
    • 2010
  • The microstructure of Al-5%Mg based alloy mainly consists of aluminum matrix with a small amount of AlMn phase. The addition of Sc or Zn to the base alloy significantly improved the as-cast tensile strength, while the addition of Fe deteriorated both strength and ductility. Although the Al-5%Mg based alloy was not heat-treatable, aging hardening could be observed in the case that Sc or Zn was added to the base alloy. TEM analysis showed that very fine AlSc or AlMgZn precipitates were formed after T6 heat treatment, resulting in enhanced strength. The corrosion resistance measured as corrosion potential was found to decrease a little by adding Zn, whereas other alloying elements were not clearly influential.

대전광역시 음용지하수 수질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Drinking Groundwater Quality in Daejeon reclamation)

  • 한운우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권3호
    • /
    • pp.37-45
    • /
    • 2001
  • 대전광역시에서 음용수로 이용되고 있는 지하수의 수질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1995년부터 1997년의 3년간의 수질검사자료를 분석한 결과 대전시 지하수의 30.1%가 먹는물수질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별로는 동구 36.4%, 대덕구 32.3%, 중구 31.2%, 서구 30.0%, 유성구의 25.2%가 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먹는물 수질기준을 초과하는 항목은 일반세균, 대장균, $NO_3$-N, F, Fe, $NH_3$-N, Mn, Zn 등 총 23개 항목이었으며 연도별 지역별 수질항목별 평균농도는 1997년에 Fe(최고치 : 대덕구, $1.31mg/{\ell}$)와 Mn(최고치 : 중구, $0.53mg/{\ell}$)을 제외하고는 모두 먹는물수질기준을 초과하지 않았다. $NH_3$-N, Mn, Fe, Al, F 등은 1997년도에 급격히 농도가 증가하였므로 이러한 급격한 농도 증가의 원인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월 평균강우량과 대장균 및 일반세균의 부적합율 (부적합 횟수/검사횟수)계열은 수문학적 지속성과 계절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장균 및 일반세균 부적합율과 강우량간의 상관계수는 전체 월평균 강우량계열에 대해서는 0.525, 100mm이상 강우량계열에 대해서는 0.6733, 150mm이상 강우량계열에 대해서는 0.641로 비교적 상관성이 있으며 대장균 부적합율과 강우량간의 상관성이 일반세균과 강우량간보다는 더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천수만 퇴적물에서 미량금속의 지화학적 특성 (Trace metals in Chun-su Bay sediments)

  • 송윤호;최만식;안윤우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6권4호
    • /
    • pp.169-17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미량 금속의 농축 가능성이 제기되는 천수만 퇴적물에 대하여 미량 금속의 조절 요인과 농축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천수만 전역에 걸쳐 27개의 표층 퇴적물을 채취하였으며, 입도, 비표면적, 유기탄소 및 탄산칼슘 함량과 주성분 및 미량 금속(Al, Fe, Na, K, Mg, Ca, Ti, Mn, P, S, Ba, Sr, Li, Co, Cr, Ni, Cu, Zn, As, Cd, Cs, Sc, V, Sn) 농도를 분석하였다. 퇴적물의 총 금속 농도는 크게 3 가지 요인(석영, 희석, 탄산칼슘, 굵은 모래 혹은 정장석)에 의해 조절되었는데 V, Co, Cr, Ni, Cu, Zn, As, Cd는 석영 희석 효과(quartz dilution effect)에 의해 Mn 및 As는 석영 희석 효과와 정장석(굵은 모래) 함량의 복합적 요인에 의해 조절되었다. 농축 인자(enrichment factor) 및 약산(1 M HCl) 용출 실험 결과 천수만 퇴적물에서 미량 금속은 농축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으며 금속의 농도는 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들로 잘 설명되었다. 특징적으로 As는 조립질 퇴적물에서도 세립질 퇴적물과 유사한 농도를 보여주었는데, 이것은 조립질 퇴적물 내 Mn 산화물(용출 부분) 및 정장석(잔류 부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따라서 퇴적물 중 As의 농축 정도를 평가할 경우, 모래질을 포함하는 시료는 모래질 부분을 따로 분리하거나 $16{\mu}m$보다 작은 세립질 퇴적물의 함량이 10% 이상인 시료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