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tochondrial fraction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38초

두충(Eucommia ulmoides Oliv.)잎으로부터 Monoamine Oxidase B 억제활성물질의 분리 (Isolation of Monoamine Oxidase B Inhibitory Compound from the Leaves of Eucommia ulmoides Oliv.)

  • 안은미;한재택;이동욱;손형옥;권병목;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2호
    • /
    • pp.166-169
    • /
    • 1999
  • 두충잎으로부터 얻은 MeOH 추출물의 n-BuOH 분획으로부터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하여 monoamine oxidase B (MAO-B) 억제 활성을 갖는 flavonoid 배당체를 분리하였다. 화합물의 화학구조를 스펙트럼 데이터의 해석과 산가수분해반응을 이용하여 $3-O-[{\beta}-D-glucopyranosyl\;(1{\rightarrow}2)\;{\beta}-D-xylopyranosyl]\;quercetin$으로 결정하였다. 이 화합물의 MAO-B 억제활성에 있어서의 $IC_{50}$ 값은 $8.05\;{\mu}mol/l$로 측정되었다.

  • PDF

The effects of Korean Red Ginseng-derived components on oligodendrocyte lineage cells: Distinct facilitatory roles of the non-saponin and saponin fractions, and Rb1, in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myelination

  • Lee, Ahreum;Kwon, Oh Wook;Jung, Kwi Ryun;Song, Gyun Jee;Yang, Hyun-Jeo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6권1호
    • /
    • pp.104-114
    • /
    • 2022
  • Background: Abnormalities of myelin, which increases the efficiency of action potential conduction, are found in neurological disorders. Korean Red Ginseng (KRG) demonstrates therapeutic efficacy against some of these conditions, however effects on oligodendrocyte (OL)s are not well known. Here, we examined the effects of KRG-derived components on development and protection of OL-lineage cells. Methods: Primary OL precursor cell (OPC) cultures were prepared from neonatal mouse cortex. The protective efficacies of the KRG components were examined against inhibitors of mitochondrial respiratory chain activity. For in vivo function of Rb1 on myelination, after 10 days of oral gavage into adult male mice, forebrains were collected. OPC proliferation were assessed by BrdU incorporation, and differentiation and myelination were examined by qPCR, western blot and immunocytochemistry. Results: The non-saponin promoted OPC proliferation, while the saponin promoted differentiation. Both processes were mediated by AKT and extracellular regulated kinase (ERK) signaling. KRG extract, the saponin and non-saponin protected OPCs against oxidative stress, and both KRG extract and the saponi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expression of the antioxidant enzyme. Among 11 major ginsenosides tested, Rb1 significantly increased OL membrane size in vitro. Moreover, Rb1 significantly increased myelin formation in adult mouse brain. Conclusion: All KRG components prevented OPC deaths under oxidative stress. While non-saponin promoted proliferation, saponin fraction increased differentiation and OL membrane size. Furthermore, among all the tested ginsenosides, Rb1 showed the biggest increase in the membrane size and significantly enhanced myelination in vivo. These results imply therapeutic potentials of KRG and Rb1 for myelin-related disorders.

갈파래 분획, LPS, 효소활성의 상관성과 수층분획의 가치평가 (The Correlativity of Ulva lactuca Fractions, LPS, Enzymatic Activity and the Evaluation of Water Fraction)

  • 남천석;강금석;하종명;이상현;이재화;이동근;장정수;강환열;하배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984-988
    • /
    • 2006
  • 갈파래는 해양성 조류 중 녹조류의 일종으로 현재 식용으로 이용되지 않고 방치되어 갈파래에 함유되어 있는 유용물질의 효용성을 과학적으로 증명하여 활용가치를 창출하고 해양자원의 이용범위를 확대하는 것은 중요하고도 절실하다. LPS는 그람 음성균의 세포벽을 만드는 물질의 일종으로 NO를 생성시키고 $Ca^{2+}$를 증가시키며 free radicals를 형성하여 간 조직의 막을 파괴하고 간의 지방을 축적시키고 노화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갈파래를 에틸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수층으로 분획하고 그 분획을 선 투여하고 LPS를 후 투여한 경우에 항산화효소에서 분획 별 LPS에 대한 예방효과를 관찰하고 효소활성화 최적 분획을 검색하고자 하였다. 흰쥐를 사용하여 갈파래 분획을 14일간 매일 1회 복강 내로 선 투여하고 15일 째 되는 날에 LPS를 투여하였다. SOD의 활성도는 대조군에서는 정상군에 비해 1.93배 정도로 낮았으며 LPS를 투여함으로써 활성도를 낮춘 것으로 나타났다. 갈파래 분획별로 활성도를 보면 대조군에 비해 ULE군은 45.04% ULA군은 46.86%, ULW군은 47.46% 상승하였으며 갈파래 분획의 선 투여가 LPS의 후 투여로 인한 효소 불활성을 예방하여 활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CAT의 활성도는 대조군에서는 정상군에 비해 1.29배 정도로 낮았으며 LPS를 투여함으로써 활성도를 낮춘 것으로 나타났다. 갈파래 분획별로 활성도를 보면 대조군에 비해 ULE군은 66.96% ULA군은 46.51%, ULW군은 42.94% 상승하였으며 갈파래 분획의 선 투여가 LPS의 후 투여로 인한 효소 불활성을 예방하여 활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GPx의 활성도는 대조군에서는 정상군에 비해 3.72배 정도로 낮았으며 LPS를 투여함으로써 활성도를 낮춘 것으로 나타났다, 갈파래 분획별로 활성도를 보면 대조군에 비해 ULE군은 34.06% ULA군은 11.52%, ULW군은 24.9% 상승하였으며 갈파래 분획의 선 투여가 LPS의 후 투여로 인한 효소 불활성을 예방하여 활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3가지 항산화효소 SOD, CAT, GPx 전부에서 LPS를 투여하면 높던 효소활성이 낮아지고 갈파래분획을 선 투여하면 LPS를 투여하더라도 효소활성이 낮아지지 않고 상승된 높은 효소활성을 나타냄으로서 고-저-고 패턴의 상관성을 보여 주었고 갈파래 분획의 선투여가 LPS에 대한 예방적 보호효과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갈파래 분획 중에서 에틸에테르 분획이 실험적으로는 가장 높은 예방적 보호효과틀 나타냈으나 용매의 제거비용 및 해독 면에서 불 때 수층 분획이 실용적으로는 활용가치가 더 높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Catecholamines에 관(關)하여 -제삼편(第三編) 심장(心臟) Catecholamines에 관(關)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Experimental Studies on Cardiac Catecholamine Content)

  • 이우주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21
    • /
    • 1973
  • During the last decade extensive studios on catecholamines have evolved new knowledge in the physiology and biochemistry of adrenergic mechanism. Cardiac muscle, receiving adrenergic fibres from the stellate, cervical and thoracic ganglia, has been repeatedly shown to have a specific capacity to uptake and to store catecholamines. The catecholamine stores in cardiac muscle have also been shown to be important sites for the action of numerous drugs. Under normal condition, a certain level of catecholamines is maintained in the stores and serves as the basis for studying the changes in the catecholamine content of the heart. Because myocardial catecholamines play such important role in the patho-physiology of the heart, it would be interesting to compare the normal level of myocardial catecholamines among various species of animals. An occasional study has dealt with myocardial catecholamines of several species add ages of animals but these have been insufficiently comprehensive to afford a basis for an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these amines as related to species and ages. The present investigation was undertaken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 is any significance of myocardial catecholamines in the course of the evolution and development of animals. Seasonal changes, sex difference and regional and subcellular distribution of myocardial catecholamines were also examined. The concentration of cardiac catecholamines was determined by the spectrophotofluorometric procedure described by Shore and Olin.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As animals phylogenetically progressed larger amounts of catecholamines were resent in their hearts. A negligibly small amount of catecholamine was present in the hearts of the clam, a non-vertebrate. Among the vertebrates, cold-blooded animals (snake, turtle, frog, eel and fish) had less myocardial catecholamines than warm-blooded animals, of which aves (fowl and duck) had less than mammalia (cat, dog, rabbit, rat, cow and pig). The ratio of norepinephrine to epinephrine also was greater as the animals progress phylogenetically. 2. Examination of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cardiac catecholamines in warm-blooded animals showed that the content of the auricle was generally higher than that of the septum and considerably than that of the ventricle, but the differences of contents among these regions were not so marked. 3. In the embryonic chick, cardiac catecholamines were firstly detected on the 4th day of incubation, the time before the cardiac innervation of sympathetic nerves. The concentrations of these catecholamines increased but not markedly on the 6th day of incubation, soon after the innervation of sympathetic nerves to the heart. The level of the cardiac catecholamines fluctuated throughout the remainder of embryonic development. 4. In newborn rat hearts, a considerable amount of catecholamines was present. With the development of the rats, the concentrations of myocardial catecholamines increased. The ratio of epinephrine and norepinephrine fluctuated within the range of 40 to 60 pervent. However, as development progressed, the percentage of norepinephrine continued to rise, attaining the adult value of $80{\sim}90%$ after $45{\sim}60$ days. In contrast, the total amount of epinephrine remained fairly constant throughout the animal's development. 5. No significant sexual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concentration of myocardial catecholamines in the developing rat. 6. The catecholamines in the rabbit hearts increased during the summer season (from May to August) and maintained a fairly constant level in the other seasons of the year. 7. The subcellular distribution of cardiac catecholamines was examined by differential centrifugation of homogenates of cardiac muscles in rabbits, cats and rats. The catecholamines were found to be present approximately 20% in particles of mitochondrial fraction, 45% in particles of microsomal fraction and 35% in soluble supernatant fraction. The particle containing catecholamines in cardiac muscle appears to be two different sizes.

  • PDF

개심술 시 냉혈성 심정지액 사용에 따른 허혈 전후 심근 미세구조의 변화 (Ultrastructrual Change of Myocardium in Open Cardiac Surgery with Cold Blood Cardioplegia)

  • 김병호;김대현;공준혁;조준용;손윤경;이종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9호
    • /
    • pp.638-645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사용된 혈성심정지용액에 의한 심근보호의 효과를 평가하고 심근보호를 평가하는 방법에 있어서 심근 미세구조관찰의 유용성과 다른 검사방법들과의 상관관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판막수술 및 관상동맥우회로술을 시행한 18명의 환자의 심전도, CK의 MB 동위효소, SGOT, LDH1과 LDH2의 비 등의 변화를 측정하고 반정량적인 방법을 통해 심근 미세구조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인공심폐기 가동 직전과 인공심폐기 가동 직후 우심방 부속지에 조직검사를 시행하였고, 심근관련 혈청효소치들과 심전도는 술 후 3일 동안 검사하여 최고치를 구하였으며 심전도에서는 새로운 Q파나 ST분절의 상승을 관찰하였다. 결과: 대상환자는 남자 8명, 여자 10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55.6$\pm$13세였다. 판막수술을 시행한 환자는 8명 관상동맥우회로술을 시행한 환자는 10명이었고, 평균 체외순환시간은 119$\pm$29분이었고 평균 대동맥차단시간은 75.4$\pm$24분이었다 체외순환 직전의 1.28$\pm$0.53이었던 평균 사립체 변화점수가 체외순환이후에는 2.35$\pm$0.79로 의미있게 증가했으나 술 후 심근경색을 시사하는 심근관련 혈청효소치의 증가나 심전도상의 새로운 Q파의 발견이나 ST분절의 상승은 없었다. 그리고 체외순환인 직전 및 직후 심근 사립체 변화점수, 또한 이들의 차는 체외순환시간 및 대동맥차단시간과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술 후 CK-MB, SGOT, LDH1/LDH2 등의 최고치와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체외순환시간과 LDH1/LDH2수치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혈성심정지용액을 사용한 이번 연구에서 심근관련혈청수치나 심전도상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지만 심근의 미세구조에는 많은 변화가 있었으며 보다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인체 급성백혈병 Jurkat T 세포에 있어서 Zanthoxylum schinifolium 줄기의 methylene chloride 추출물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자살기전 규명 (Apoptosis of Human Jurkat T Cells Induced by the Methylene Chloride Extract from the Stems of Zanthoxylum schinifolium is Associated with Intrinsic Mitochondria-Dependent Activation of Caspase Pathway)

  • 전도연;우미희;박해선;김준석;이인구;김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1호
    • /
    • pp.1499-1506
    • /
    • 2008
  • 식용 및 약용으로 이용되는 산초(Zanthoxylum schinifolium)의 줄기로부터 항암활성 성분을 분리하기 위하여, 산초 줄기를 유기용매로 추출하고 각 추출물의 인체 급성백혈병 암세포에 대한 독성 및 세포자살 유도 활성을 조사하였다. Methanol (SS-7), methylene chloride (SS-8), ethyl acetate (SS-9), n-butanol (SS-10)로 추출한 각 시료와 유기용매 추출 후 잔여분획 (SL-14)의 세포 독성을 인체 급성백혈병 Jurkat T 세포주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이 주로 methylene chloride 추출분획인 (SS-8)에서 확인되었다. Methylene chloride 추출물 (SS-8)의 Jurkat T 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의 기전은 mitochondria로부터cytochrome c 방출, caspase-9 및 caspase-3의 활성화, PARP 분해, internucleosomal DNA fragmentation 등의 일련의 생화학적 반응을 수반하며, 항 세포자살단백질인 Bcl-xL단백질의 과발현에 의해 억제되는 세포자살 기전임을 확인하였다. FADD가 disruption된 Jurkat T cell clone I2.1 ($FADD^{-/-}$) 및 caspase-8가 결핍된 Jurkat T cell clone I9.2 (caspase-$8^{-/-}$)와 함께 the wild-type Jurkat T cell clone A3에 미치는 SS-8의 세포독성작용을 비교 분석한 결과, wild-type Jurkat A3, FADD-deficient Jurkat clone I2.1및 caspase-8-deficient Jurkat clone I9.2 모두는 SS-8의 세포독성에 대해 유사한 정도의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SS-8에 의해 유도되는 apoptosis에 있어서, Fas/FasL system이 관계되지 않음을 시사한다. 한편, SS-8를 GC-MS 분석하여, 9,12-octadecanoic acid (18.62%), 2,4-dihydro-5-methyl-4-(1-methylethylidene)-2-(4-nitrophenyl)- 3H-pyrazol-3-one (14.97%), hexadecanoic acid (14.23%), (z,z)-6,9-pentadecadien-1-ol (13.73%), 5,6-dimethoxy- 2-methyl benzofuran (10.95%), 그리고 4-methoxy-2-methylcinnamic acid (5.38%) 등을 포함한 16가지의 구성 성분과 그 조성비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산초 줄기에 함유된 항암 활성에 대한 규명과 이해를 증진시킨다.

${\beta}-Carotene$ 공급이 흰쥐 간 조직의 지질대사와 관련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eta}-Carotene$ Supplementation on Lipid Metabolism and Related Enzyme Activities in Rats)

  • 최은미;박정룡;서정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743-749
    • /
    • 1994
  • {\beta}-carotene$은 비타민 A 활성형인 retinol로 전환되어 그 기능을 수행하는 영양소로 알려져있지만 {\beta}-carotene$ 자체로서의 생리적, 영양학적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beta}-carotene$을 수준별로 공급하여 체내의 지질대사와 항산화 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계획되었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 미토콘드리아에서의 과산화지지르이 함량은 제한군과 과잉 공급군이 다른 처리군들에비해서 상대적인 증가를 보였고 BC 2군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태내었다. SOD의 활성은 {\beta}-carotene$ 제한군이 공급군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SOD 활성에 대한 {\beta}-carotene$의 조절효과를 보여주었고 catalase와 GSH-Px의 활성에 대한 {\beta}-carotene$의 조절효과를 보여주었고 catalase와 GSH-Px의 활성은 과잉 공급군의 경우 가장 낮은 값을 보여주었다. {\beta}-carotene$ 공급에 따른 지질 함량의 변화는 간의 경우에 총지질 함량은 {\beta}-carotene$ 공급에 따라 감소하였고 중성지질은 전 군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보이지 않았으며 인지질은 BC 2군과 BC 3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다. 콜레스테롤 함량은 BC 1군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혈장에서는 {\beta}-carotene$ 공급이 증가함에 따라 중성지질의 함 은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HDL-콜레스테롤은 BC 4군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HDL-콜레스테롤 함량비는 {\beta}-carotene$ 공급에 따라 증가되었으나 과잉공급군에서 제한군과 같은 수준으로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와 같이 12,000mg의 {\beta}-carotene$을 급여한 군에서는 지질대사 관련효소 활성도와 체내 지질함량이 적정량을 급여한 군에 비해 크게 변화하였으나 10~1,200mg을 급여한 실험군들 사이에서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beta}-carotene$의 정량적 평가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하다고 본다.

  • PDF

$CCI_4$로 유도된 간 기능장애에 대한 갈파래 푸코이단 추출물의 보호효과 (Ulva lactuca Fucoidan Extract and its Protective Effects on $CCI_4$-induced Liver Dysfunction)

  • 남천석;강금석;하배진
    • KSBB Journal
    • /
    • 제22권2호
    • /
    • pp.73-77
    • /
    • 2007
  • 갈파래는 해양성 조류 중 녹조류의 일종으로 해양성 조류의 생리활성물질로 알려진 다당체인 푸코이단을 함유하고 있다. 갈파래로부터 추출된 푸코이단의 간 독성 보호효과를 검토하기 위해서 흰쥐를 사용하여 갈파래 푸코이단 추출물 (ULF)을 14일간 매일 1회 복강 내로 선 투여하고 15일째 되는 날에 $CCI_4$를 후투여한 후에 혈액 및 간 조직에서의 지질의 평가와 효소 활성의 변동을 통해 간 독성의 보호효과를 관찰하였다. GOT의 경우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에서 $CCI_4$의 간 장애 유발로 인해 효소 활성이 약 3.3 배 증가하였고 시료군인 ULF군은 대조군과 비교 하였을 때 29.8% 감소하여 갈파래 푸코이단 추출물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GPT의 경우에도 $CCI_4$를 투여한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해 약 3.7배 정도 증가하여 간 장애 유발이 확인되었고 ULF은 대조군에 비해 48.15%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갈파래 푸코이단 추출물의 효소 활성 감소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CCI_4$로 간 손상이 초래된 대조군은 MDA 양이 정상군보다 약 2.97배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ULF군은 대조군에 비해 37.64%의 감소율을 보여 갈파래 푸코이단 추출물의 지질과산화 감소효과를 화인할 수 있었다. SOD 활성 정도는 대조군의 효소활성이 정상군에 비해서 1.38배 정도로 낮게 나타났고 ULF군은 대조군에 비해 343%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CAT는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해 약 1.7배 감소하였으며 ULF군은 대조군 보다 30.2% 높게 나타났다. GPx의 경우 대조군은 정상군에 비해 약 3.5배의 감소율을 보였고 ULF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34.43%의 증가율을 보여 효과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측정 결과는 갈파래 추출 푸코이단이 간 독성을 예방하는 보호효과가 있음을 보여 주었다.

다시마 푸코이단 추출물의 간독성에서 효소 조절 효능에 관한 연구 (The Enzymatic Regulatory Effects of Laninaria japonica Fucoidan Extract in Hepatotoxicity)

  • 강금석;남천석;박은경;하배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7호
    • /
    • pp.1104-1108
    • /
    • 2006
  • 다시마(Laminaria japonica)는 우리나라 해역에서 생산되는 대표적인 갈조류로 칼슘, 칼륨, 요오드, 아연 등 신체의 생리대사에 관여하는 주요 무기질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uronic acid로 구성된 alginic acid, 황산기를 함유하는 fucoidan 및 laminaran과 같은 식이섬유도 함유되어 있다. 다시마로부터 추출된 푸코이단의 항 간독성 효과를 확인하고자 흰쥐의 복강 내에 다시마 푸코이단 추출물을 14일간 투여하고 15일째 되는 날에 $CCl_4$를 투여한 후에 혈액 및 간 조직에서의 효소 활성의 변동을 통해 간독성에 대한 효과를 관찰하였다. GOT의 경우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에서 $CCl_4$의 간 장애 유발로 인해 효소 level이 약 3.8배 증가하였고 시료군인 LFC군과 대조군을 비교하였을 때 40% 감소하여 다시마 푸코이단 추출물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역시 GPT level에 있어서도 $CCl_4$를 투여한 대조군이 정상군에 대해 약 11.5배정도 증가하여 간 장애 유발이 확인되었고 LFC군이 대조군에 비해 64%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다시마 푸코이단 추출물의 효소 level 감소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간 조직에서의 SOD 활성정도는 대조군에서 정상군에 비해서 약 1.79배 정도로 낮게 나타났고 LFC군은 대조군에 비해 114%의 상승효과를 보였다. 또한 CAT의 활성도는 대조군에서 정상군에 비해 약 1.59배 감소를 보였으며 LFC군은 대조군보다 36.1% 높게 나타났다. GPx활성도의 경우 대조군은 정상군에 비해 약 2.5배의 감소율을 보였으며 LFC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55.9%의 증가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다시마 푸코이단 추출물이 간독성에서 효소 조절 효능을 가지므로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Zanthoxylum schinifolium잎의 methylene chloride 추출물의 화학적 조성 및 암세포에 대한 세포자살 유도활성과 그 작용기전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tumor Apoptogenic Activity of Methylene Chloride Extracts from the Leaves of Zanthoxylum schinifolium)

  • 김준석;전도연;우미희;이인구;김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546-554
    • /
    • 2006
  • 식용 및 약용으로 이용되는 산초 (Zanthoxylum schinifolium) 잎에 함유된 항암활성 성분을 분리하기 위하여 산초잎을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각 추출물의 암세포에 대한 독성 및 세포자살 유도 활성을 조사하였다. Methanol, methylene chloride, ethyl acetate, n-butanol로 추출한 각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인체 급성백혈병 Jurkat T 세포주, estrogen receptor-positive 유방암 세포주 MDA 361과 estrogen receptor-negative 세포주 MDA 438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들 암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이 methylene chloride 추출물 (SL-14)에서 주로 확인되었다. Methylene chloride 추출물 (SL-14)의 Jurkat T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의 기전은 mitochondria로부터cytochrome c 방출, 이에 뒤이은 caspase-9 및 caspase-3의 활성화, PARP 분해, jnternucleosomal DNAfragmentation등의 일련의 생화학적 과정을 통해 유도되며 또한 Bcl-xL의 ectopic overexpression에 의해서는 negative regulation되는 세포자살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SL-14를 GC-MS 분석하여, 9,19-cyclolanost-24-en-3-ol (15.1%), 2-a-methyl-17, b-hop-21-ene (15.1%), 15-methyl-2,3-dihydro-1H benzazepin (11.95%), phytol (10.38%), lupeol (9.92%), 12-methylbenzofuran (8.23%) 등을 포함한 22가지의 구성성분과 그 조성비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은 식용 산초잎에 함유된 항암 활성으로서의 세포자살유도 활성의 규명과 이해에 유익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