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MIC)

검색결과 471건 처리시간 0.031초

피부 상재균에 대한 니아울리 잎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Niaouli (Melaleuca quinquenervia) Leaf Extracts against Skin Flora)

  • 장하나;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13-32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피부 상재균에 대한 니아울리 잎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피부 상재균의 종류는 그람 양성균인 Bacillus subtilis (B.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Propionibacterium acnes (P. acnes)와 그람 음성균인 Escherichia coli (E. coli) 및 Pseudomonas aeruginosa (P. aeruginosa), 효모균인 Plasmodium ovale (P. ovale)이다. 이들 피부 상재균에 대한 니아울리 잎추출물 또는 분획의 항균활성은 disc diffusion assay 및 broth dilution assay 측정법으로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피부 상재균인 B. subtilis, S. aureus, P. acnes, E. coli 및 P. aeruginosa에 대한 니아울리 잎 50% 에탄올 추출물의 최소성장억제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는 각각 0.25%, 0.50%, 1.00%, 0.13% 및 0.25%, 물 분획에서의 MIC는 0.25%, 0.25%, 4,00%, 0.25% 및 0.25%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P. ovale인 비듬균에 대해서는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비교 물질로 사용한 메틸 파라벤의 MIC는 각각 0.25%, 0.25%, 0.25%, 0.13% 및 0.50%를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상재균에 대한 최소사멸농도(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는 50%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각각 2.00%, 2.00%, 1.00%, 0.50% 및 2.00%였고, 물 분획에서는 0.50%, 0.25%, 4.00%, 0.50% 및 1.00%를 나타내었다. 비교 물질로 사용한 메틸 파라벤의 MBC는 각각 1.00%, 0.5%, 0.50%, 0.5% 및 1.00%로 추출물의 물 분획에서는 P. acnes를 제외한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50% 에탄올 추출물도 메틸 파라벤에 근접하는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니아울리 잎 50% 에탄올 추출물/분획은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천연 방부제로서 화장품에 응용 가능함을 시사한다.

ε-Polylysine 혼합제제들의 식품부패균에 대한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ε-Polylysine Mixtures against Food-borne Pathogens)

  • 고은미;김병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705-710
    • /
    • 2004
  • $\varepsilon$-Polylysine에 grapefruit seed extract와 glyceride를 각각 혼합한 항균보존제의 식품부패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MIC test와 실제 쌀밥에 적용하였다. 두 혼합 항균제 모두 clear zone을 나타내었으나, $\varepsilon$-polylysine과 grapefruit seed extract 혼합물이 $\varepsilon$-polylysine과 monoglyceride 혼합물보다 약 100배정도 낮은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을 보였다. Glyceride 첨가제의 실험에서 Bacilius cereus와 Pseudomonas aerugines의 경우 0.1 $\mu$L/mL에서 생육이 저해된 것에 반해 Escherishia coli의 경우 15 $\mu$L/mL에 저해되어 E. coli가 이 항균제에 대하여 강한 저항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반 시 glyceride 흔합항균제를 여러 농도별 (0.3%, 0.5%, 1%)로 첨가시킨 쌀밥을 72시간동안 저장하였을 때 총균수는 항균제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쌀밥에 E. coli를 접종하여 항균제 농도에 따른 생육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항균제 농도가 높을수록 강하게 생육을 억제하였다. 항균제가 쌀밥의 관능에 미치는 영향은 맛, 냄새, 입안에서의 조직감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1% 첨가군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 0.5%의 첨가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벌나무 추출물의 황생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효과와 항산화 활성 (Antibacterial, Antioxidant Activities of Acer tegmentosum Maxim Ethanol Extract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 황진우;박찬휘;안해연;장예원;강현;이성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9권4호
    • /
    • pp.339-346
    • /
    • 2022
  • 본 연구는 벌나무 에탄올 추출물의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및 항산화 활성을 검증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효능과 FRAP법을 사용한 환원력을 측정하여 벌나무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검증하였고, Paper disc법, MIC 및 MBC법을 통하여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벌나무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검증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66.66 ㎍ GAE/mg와 6.46 ㎍ QE/mg이었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은 농도 의존적 소거능을 보였고, 벌나무 에탄올 추출물의 RC50 값은 각각 21.49, 12.81 ㎍/mL이었다. 환원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된 FRAP 분석에서 벌나무 추출물은 0.73 ± 0.19 mM FeSO4 E/mg의 효능을 보여주었다. Paper disc법을 이용한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벌나무 추출물의 항균 활성은 2 mg에서 3 mm의 저해환을 보여주었으며, 최소 저해농도 연구에서는 1 mg/mL 이상의 농도에서 80% 이상의 억제력을 보여주었고, 16 mg/mL 이상의 농도에서 최소저해 농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최소살균농도 연구에서는 32 mg/mL에서 최소살균농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벌나무 추출물을 사용한 항산화 및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확인한 결과 벌나무 추출물의 아토피피부염에 유효한 물질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몽 종자 추출물의 항균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Grapefruit Seed Extract)

  • 박헌국;김상범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26-531
    • /
    • 2006
  • 자몽 종자 추출물의 항균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그람 양성균인 Bacillus cereus, Bacillus subtilis, Listeria monocytogenes와 그람 음성균인 Escherichia coli, Salmonella enteritidis, Serratia marcescem를 대상으로 하여 최소 저해 농도, 생육 저해 활성, 콜로니 형성 저해 활성을 실험하였다. 그람 양성균에 대한 자몽 종자 추출물의 최소 저해 농도는 12.5 ppm정도로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그람음성균의 최소저해 농도는 50ppm 이상으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균주의 증식에 대한 생육 저해 활성을 조사한 결과 Bacillus cereus는 1ppm 이하, Bacillus subtilis는 6.25 ppm, Listeria monocytogenes는 1ppm 이하, Escherichia coli는 6.25 ppm, Salmonella enteritidis는 25 ppm Serratia marcescem는 25pp부터 생육이 저해되었다. 그람 양성균의 콜로니 형성 저해활성은 Bacillus cereus는 93.9%, Bacillus subtilis는 94.0%, Listeria monocytogenes는 99.9%, 그람 음성균의 콜로니 형성 저해 활성은 Escherichia coli는 4.4%, Salmonella enteritidis는 82.7%, Serratia marcesem는 86.4%로, 그람 양성균에 대해서는 높은 저해 활성을 보였으며, 그람 음성균에 대해서는 비교적 낮은 저해 활성을 보였다.

발효유(醱酵乳)에서 분리된 Lactobacillus casei의 병원성 장내세균에 대한 항균작용 (Antibacterial Activity of Lactobacillus casei Isolated from a Fermented Milk Against Pathogenic Enteric Bacteria)

  • 최철순;정재봉;정상인;양용태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1-48
    • /
    • 1984
  •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elucidate the antibacterial spectrum of L. casei phage type $J_1$ strain isolated from a fermented milk product against pathogenic enteric bacteria. Growth inhibitory effects and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MIC) of culture supernatants of L. casei grown in MRS broth were measured by both plate culture method and microplate broth dilution technique against Salmonella typhi, Salmonella typhimurium, Shigella flexneri, Shigella dysenteriae, enterpathogenic E. coli, Klebsiella pneumoniae and Pseudomonas aeruginosa.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RS broth culture of L. casei gave a similar extent of growth inhibitory effects against S. typhi, S. typhimurium, S. flexneri, S. dysenteriae, E. coli, K. pneumoniae and P. aeruginosa, respectively. 2. The inhibitory effects of L. casei culture were observed either in whole broth culture or in culture supernatant, but neither the bacterial suspension nor the neutralized culture supernatant showed such as antibacterial activities. 3. The MIC titres of the culture supernatants were ${\log_2}5$ to ${\log_2}6$, whereas those of the neutralized culture supernatant dropped markdely to ${\log_2}2$ to ${\log_2}3$.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major portion of growth inhibitory effects of MRS broth culture of L. casei against enteric bacterial pathogens was possibly due to the acids produced, and minor portion to other antibacterial substances.

  • PDF

편백(Chamaecyparis obtusa) 정유의 항균, 항염, 항산화 효과 (Biologic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 from Chamaecyparis obtusa)

  • 안정엽;이성숙;강하영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03-507
    • /
    • 2004
  • 천연물은 지역 및 그 이용 특성에 따라 약용 및 식용으로 다양한 쓰임새가 있으며 그 연구 대상으로는 초본, 목본 등의 식물류와 담자균류, 미생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리고 최근 연구가 활성화된 해양생물과 광물에까지 다양하게 소재를 탐색 할 수 있다 그 결과물의 활용은 의약품, 식품 및 화장품의 소재로써 넓게 쓰일 수 있다. 본 연구는 천연물의 활용이 날로 증가되는 현상과 더불어 이미 알려진 수목의 물질 소재에 대해 다양한 생리활성 검색을 실시하여 그 적용을 검토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선택된 수목 수종은 우리나라 자생 침엽수 중 가장 계절적 수량적 확보가 용이하다고 보고된 편백 정유를 이용하여 항세균, 항산화 그리고 항염 작용에 대한 활성 정도를 검토하였다. 항세균 활성 검정에는 그람음성균 2종과 그람양성균 2종에 대하여 실험하였으며 disc paper법, 탁도법, $IC_{50}$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항세균 효과는 그람음성균보다 그람양성균에 대해 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랫드를 이용한 in vitro 항염 실험을 실시한 결과에서는 실험 대조균의 $75\%$를 상회하는 수준으로 검토되었으며 hyaluronidase 저해 정도를 이용한 in vitro 실험에서는 $55\%$의 저해 정도를 나타내었다. 항산화 정도는 methanol based DPPH법에 의해 $0.78\%\;(IC_{50})$를 나타내었으며 butylated hydroxy toulene (BHT)를 표준 물질로 사용하였다.

오레가노, 육계, 편백 및 황금의 초임계 유체 추출물의 항균 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ed by Supercritical Fluid from Origanum vulgare, Cinnamomum cassia, Chamaecyparis obtusa and Scutellariae baicalensis)

  • 김우진;조준영;최창숙;윤기선;이원규;유연우
    • KSBB Journal
    • /
    • 제23권2호
    • /
    • pp.147-152
    • /
    • 2008
  •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 식물체를 대상으로 새로운 천연 식품보존제 및 방부제 개발의 일환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추출한 항균환성 물질을 몇 종의 병원성균과 식중독균, 효모, 곰팡이 등 10개 균주에 대하여 항균활성 검색을 하였다. 각 추출방법에 따른 추출 수율을 보면 편백과 육계 초임계 추출물의 수율이 가장 높았지만, 오레가노와 황금의 경우에는 초임계 추출물의 수율이 가장 낮았다. 그러나 항균활성 실험에서 disc-diffusion method 및 최소억제농도 (MIC) 실험 결과 유기용매 추출 및 열수 추출보다 초임계 추출의 경우가 항균활성이 모든 시료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Disc-diffusion method에서 육계 초임계 추출물의 경우 에탄올 추출물보다 항균활성이 두 배정도 높게 나타났고, 10개 균주에 대해 모두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황금 초임계 추출물은 L. monocytogenes에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고, 오레가노와 편백의 초임계 추출물은 S. typhimurium에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최소억제농도 (MIC)에서는 편백 초임계 추출물이 다른 초임계 추출물에 비해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육계, 황금, 오레가노 초임계 추출물의 순으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천연물을 이용한 항균제 개발에 있어 초임계 추출방법이 항균력이 높은 기능성 성분을 추출해 내는데 가장 효과적인 추출방법인 것으로 판단된다.

Determination of epidemiological tetracycline MIC cut-off value for Vibrio ichthyoenteri

  • Han, Hyun-Ja;Kim, Do-Hyung;Lee, Deok-Chan;Won, Kyoung-Mi;Lee, Soon-Jeong;Cho, Mi-Young;Jee, Bo-Young;Kim, Jin-Woo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95-102
    • /
    • 2011
  • Normalized resistance interpretation (NRI) analysis for tetracycline was applied to generate information on the epidemiological cut-off value for Vibrio ichthyoenteri isolated from diseas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larvae. Thus, 42 strains of V. ichthyoenteri were used to determin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values of tetracycline using Etest. Also, 11 tetracycline resistance related genes were investigated by PCR method. Most tetracycline-resistant strains harbored both tetB and tetM with a few exceptions. NRI-derived mean and 2 SD above the mean of theoretical normal distributions of susceptible isolates were 0.33 mg/L and 1.66 mg/L, respectively. The epidemiological cut-off value for V. ichthyoenteri from the calculations could be set to S ${\leq}$ 2 mg/L. Of the 42 strains, 15 were classified as non-wild type (NWT), and MIC values of the NWT strains vary regardless of tetB and tetM detection, suggesting that there may be other mechanisms involved in tetracycline resistance in this Vibrio species.

PREPARATION OF MULTIFUNCTIONAL LOW MOLECULAR WEIGHT CHITOSAN AND ITS APPLICATION IN COSMETICS.

  • Ryu, Chang-Suk;Kim, Hyung-Bae;Kim, Jeong-Ha;Jo, Byoung-Kee;Suh, Sang-Bong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89-95
    • /
    • 1998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anti-microbial activity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water-soluble chitosan with a molecular weight of 5,000-200,000. Water-soluble chitosans have demonstrated a regular anti-microbial activity on the tested strians by the paper disk method. In the MIC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test, CC-01 (MW=5,000) with the lower MW showed the higher MIC value than the higher MW chitosan. The MW of chitosan increase, the MIC decreases. MICs of 4 chitosans(CC-02∼CC-05) against S. aureusTCC 65389, E coli ATCC 8739, p. aeruginosa, ATCC 9027 and C. albicans ,ATCC 10231 were 7.0-39.O$\mu\textrm{m}$, whereas MICs of chitosans against A. niger were over 2.OmM. Formula containing chitosan showed higher anti-microbial activities than the formula made with the chemical preservatives(Methylparaben 0.2% and Imidazolidinyl Urea 0.3%). Among 5 water-soluble chitosans, CC-03(MW=92,163) showed the most potent anti-oxidative activity (IC$\sub$50/ : 0.2mM). In conclusion, the water-soluble low molecular weight chitosan could be served as natural preservatives and antioxidant in cosmetics.

  • PDF

Myricetin Disturbs the Cell Wall Integrity and Increases the Membrane Permeability of Candida albicans

  • Lee, Heung-Shick;Kim, Younhe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2권1호
    • /
    • pp.37-45
    • /
    • 2022
  • The fungal cell wall and membrane are the principal targets of antifungals. Herein, we report that myricetin exerts antifungal activity against Candida albicans by damaging the cell wall integrity and notably enhancing the membrane permeability. In the presence of sorbitol, an osmotic protectant,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myricetin against C. albicans increased from 20 to 40 and 80 ㎍/ml in 24 and 72 h, respectively, demonstrating that myricetin disturbs the cell wall integrity of C. albicans. Fluorescence microscopic images showed the presence of propidium iodide-stained C. albicans cells, indicating the myricetin-induced initial damage of the cell membrane. The effects of myricetin on the membrane permeability of C. albicans cells were assessed using crystal violet-uptake and intracellular material-leakage assays. The percentage uptakes of crystal violet for myricetin-treated C. albicans cells at 1×, 2×, and 4× the MIC of myricetin were 36.5, 60.6, and 79.4%, respectively, while those for DMSO-treated C. albicans cells were 28.2, 28.9, and 29.7%, respectively. Additionally, myricetin-treated C. albicans cells showed notable DNA and protein leakage, compared with the DMSO-treated controls. Furthermore, treatment of C. albicans cells with 1× the MIC of myricetin showed a 17.2 and 28.0% reduction in the binding of the lipophilic probes diphenylhexatriene and Nile red,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myricetin alters the lipid components or order in the C. albicans cell membrane, leading to increased membrane permeability. Therefore, these data will provide insights into the pharmacological worth of myricetin as a prospective antifungal for treating C. albicans infe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