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logic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 from Chamaecyparis obtusa

편백(Chamaecyparis obtusa) 정유의 항균, 항염, 항산화 효과

  • Ahn Jeung-Youb (Section of Biosciences, SaengGreen R&D Center) ;
  • Lee Sung-suk (Division of Wood chemistry & Microbiology,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ang Ha-young (Southern Forest Research Center)
  • 안정엽 ((주)생그린 기술연구소) ;
  • 이성숙 (국립산립과학원 화학미생물과) ;
  • 강하영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연구소)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The essential oil from Chamaecyparis obtusa was investigated for biological activities in anti-oxidative, anti-inflammation and antibacterial method, respectively. The Growth inhibitory effect of C. obtusa oil on the bacteria was evaluated with MIC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IC_{50}\;(50\%$ inhibitory concentration), and paper disc method. Two kinds of gram positive strains and two kinds of gram negative strains were used in this study. Gram positive strains were B. subtilis and S. aureus. and Gram negative strains were E. coli and P. aeruginosa. Gram positive strains showed much more intensive effect than gram negative strains. Anti-oxidative effect was investigated with DPPH (1,1-diphenyl-2-picrylhidrazyl) in methanol based and $IC_{50}\;was\;0.78\%.$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essential oil from Chamaecyparis obtusa has effects on anti-bacterial, anti- oxidative and anti-inflammation in in vitro and in uiuo. Then this material could be expect synergic effect with other candidated extracts and oils.

천연물은 지역 및 그 이용 특성에 따라 약용 및 식용으로 다양한 쓰임새가 있으며 그 연구 대상으로는 초본, 목본 등의 식물류와 담자균류, 미생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리고 최근 연구가 활성화된 해양생물과 광물에까지 다양하게 소재를 탐색 할 수 있다 그 결과물의 활용은 의약품, 식품 및 화장품의 소재로써 넓게 쓰일 수 있다. 본 연구는 천연물의 활용이 날로 증가되는 현상과 더불어 이미 알려진 수목의 물질 소재에 대해 다양한 생리활성 검색을 실시하여 그 적용을 검토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선택된 수목 수종은 우리나라 자생 침엽수 중 가장 계절적 수량적 확보가 용이하다고 보고된 편백 정유를 이용하여 항세균, 항산화 그리고 항염 작용에 대한 활성 정도를 검토하였다. 항세균 활성 검정에는 그람음성균 2종과 그람양성균 2종에 대하여 실험하였으며 disc paper법, 탁도법, $IC_{50}$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항세균 효과는 그람음성균보다 그람양성균에 대해 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랫드를 이용한 in vitro 항염 실험을 실시한 결과에서는 실험 대조균의 $75\%$를 상회하는 수준으로 검토되었으며 hyaluronidase 저해 정도를 이용한 in vitro 실험에서는 $55\%$의 저해 정도를 나타내었다. 항산화 정도는 methanol based DPPH법에 의해 $0.78\%\;(IC_{50})$를 나타내었으며 butylated hydroxy toulene (BHT)를 표준 물질로 사용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G. S. Shim and W. Y. Ahn, Domestic production and utilization of oleoresin (II) seasonal variation of monoterpene composition in needles of korean white pine (Pinus koraiensis), J. Kor. For. En, 9(2), 35 (1989)
  2. W. Y. Ahn, Domestic production and utilization of oleoresin (III) increased in recovery amount of terpenes from kraft black liquors of pitch pine (Pinus rigida) by paraquat induced lengths and cooking condition, J. Kor. For. En, 9(2), 49 (1989)
  3. 강하영, 오종환, 침엽수 침엽 정유의 방향성 이용적성, 임업연보, 49, 177 (1994)
  4. 강하영, 이성숙, 최인규, 침엽수 수엽 정유의 항균성에 관한 연구, 한국임산에너지학회지, 13(2), 71 (1993)
  5. R. H. Whittaker and P. P. Feeny, Allelochemics, chemical interactions between species, Science, 171, 757 (1971)
  6. C. H. Meller, Allelopathy as a factor in ecological process, Vegetatio., 18, 348 (1969)
  7. S. Gocho, Antibacterial action of aroma compounds in vapor state, Int. J. Antimicrob. Agents, 19(7), 329 (1991)
  8. S. Gocho, The factors affecting antibacterial action of FDA vapor, Int. J. Antimicrob. Agent, 19(8), 389 (1991)
  9. 谷田貝光克, 大平辰朋, バイオマス變換計劃硏究報告(農林水産技術會義), 24, 36 (1990)
  10. P. Rudman, The causes of natural durability in timber (9), The antifungal activity of heartwood extractives in a wood substrate, Holzforschung, 16, 74 (1962)
  11. P. Rudman, The causes of natural durability in timber(11), some tests on the fungi toxisity of wood exractives and related compounds, Holzforschung, 17, 54 (1963)
  12. 강하영, 수목 추출 성분의 생화학적 역할, 목재공학, 22(1), (1994)
  13. A. K. Mishra and N. K. Dubey, Evaluation of some essential oils for their toxicity against fungi causing deterioration of stored food commodities, Appl. Eviron Microbiol., 60(4), 1101 (1994)
  14. 박희준, 권상혁, 이명선, 김갑태, 최무영, 정원태, 배초향 지상부에서 얻은 정유의 조성과 항균효과, 한국식품과학회지, 29(6), 1123 (2000)
  15. 이현옥, 한규용, 한동민, 참쑥 정유의 항세균 빚 항진균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12(6), 559 (1999)
  16. 나기정, 강하영, 오종환, 최인규, 윤영원, 정의배, 침엽수종으로부터 분리된 정유의 스트레스 완화 효과, 한국실험동물학회지, 14(1), 93 (1998)
  17. 나기정, 강하영, 윤신근, 정의배, 침엽수 정유의 생물학적 효능, 한국실험동물학회지, 15(1), 79 (1999)
  18. 노택우, 윤석신, 삼림욕 향기 성분 분석, 대한화장품학회지, 17, 29 (1991)
  19. 조춘구, 김봉남, 홍세흠, 한창규, 합성항균제를 대체하기 위한 천연물질의 항균효과, 대한화장품학회지, 28(1), 166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