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nimal ventilation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6초

미숙아 호흡곤란증후군에서 폐표면활성제의 조기 투여와 연성 환기요법이 만성폐질환의 예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The effects of early surfactant treatment and minimal ventilation on prevention of bronchopulmonary dysplasia in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 박종진;이필상;이상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1호
    • /
    • pp.44-49
    • /
    • 2009
  • 목 적 : 폐표면 활성제의 조기 투여와 연성 환기 요법에 의한 인공호흡기 치료 단축에도 불구하고 장기간 산소 보충이 필요한 만성 폐질환은 여전히 해결해야 할 난제이다. 저산소의 사용, 연성 환기에 의한 호흡기 치료 기간의 단축이 폐 손상을 줄이는데 기여하나 예방에는 한계가 있다고 한다. 이에 저자들은 폐표면 활성제의 조기 사용 및 연성 환기, 공격적인 기도 발관을 통한 인공호흡기 치료 기간의 단축이 만성 폐질환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1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본원 신생아실에 입원한 재태 연령 36주 이하 출생체중 1,500 g 이하의 환아 139예를 대상으로 병력지를 기초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2단계 이하인 경한 호흡곤란 증후군이 있는 환아를 대상으로 폐표면 활성제는 2시간 이내에 조기 투여하였으며 인공호흡기 치료 기간은 대부분 3일 미만으로 상태가 안정되는 즉시 공격적인 기도 발관을 시행하여 만성 폐질환의 발생률을 조사하였다. 결 과 : 총 139예의 환아 중 2단계 이하인 경한 호흡 곤란 증후군에서 조기 폐표면 활성제 치료를 시행한 대상 환아는 총 82예(59%)였으며 인공호흡기 치료 기간이 길수록 RDS의 정도가 심할수록 출생당시의 상태가 좋지 않을수록 만성 폐질환 발생이 증가하였다(P<0.001). 경증의 호흡 곤란 증후군에서 조기 폐표면 활성제를 사용하고 2일 이하로 조기 발관을 시행한 그룹에서도 상당한 수에서 경증 만성 폐질환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출생당시 상태가 좋지 않아 기도 삽관을 시행한 그룹에서 출생 당시 상태가 비교적 양호한 군에 비해서 인공호흡기 치료 기간이 길었음을 알 수 있었다(P=0.020). 결 론 : 조기 폐표면 활성제의 투여와 연성 환기에 의한 인공호흡기 치료 기간의 단축만으로는 여전히 저 농도의 산소가 필요한 경증의 만성 폐질환 예방에는 한계가 있으며 출생 당시의 초기 처치가 만성 폐질환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아 향후 분만실에서 조건 및 nasal canula를 통한 초기 치료의 질적 향상과 nasal CPAP의 적극적 활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nasal canula를 통한 저 농도 산소 공급역시 사용기간을 줄이는데 많은 노력을 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만성 폐질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여러 요인들을 복합적이 데이터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하였으며 대조군을 통한 비교 연구가 되지 않은 점은 문제점이라 생각되며 앞으로 이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압력보조 환기법으로 기계호흡 이탈시 최소압력보조(Minimal Pressure Support) 수준의 결정 (Determination of Minimal Pressure Support Level During Weaning from Pressure Support Ventilation)

  • 정복현;고윤석;임채만;이상도;김우성;김동순;김원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2호
    • /
    • pp.380-387
    • /
    • 1998
  • 연구배경: 압력보조환기법은 기계호흡으로부터 이탈시 최근에 많이 이용되는 인공환기법으로 적절한 압력보조 수준이 이탈 과정에 중요하며 특히 최소압력보조 (minimal pressure support) 수준에서 환자의 환기 상태가 적절하면 치료자는 인공 호흡기로 부터 여탈 및 기관내 관을 발관할 수 있다. 그러나 부적절한 최소압력 보조 수준의 적용은 환기 이탈 기간의 장기화나 이탈 실패를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탈기 환자들이 최소압력보조 치의 범위를 알아보고 또한 최대 흡기유량과 총환기계 저항의 곱으로 구한 최소압력보조치의 계산값과 환자의 기관내 관 끝에서 실측한 값 사이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유도식으로 계산된 최소압력 보조 값의 임상적 유용성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방 법: 기저 질환이 호전되어 기계호흡으로부터 이탈이 가능한 환자 16명을 대상으로 폐 감시기 (CP-100 pulmonary monitor, Bicore, USA)를 이용하여 부가된 호흡일을 구한 후 최소압력보조의 수준을 직접 측정하였고, 이들 중 9예에서는 또한 유도식 (peak inspiratory flow rate$\times$total ventilatory system resistance=minimal pressure support)을 이용하여 최소합력보조의 수준을 구하였다. 결 과: 대상환자 16명중 14명에서 측정한 최소압력보조의 실측치는 4~12.5 cm$H_2O$로써 환자에 따라 차이가 심하였다. 대상 환자 중 2명에서 각각 15, 21 cm$H_2O$로써 높게 측정되었으나 기관내 관을 발관 후 내강이 기도 분비물로 심한 폐쇄가 발견되었다. 실측치를 측정한 16명중 9명에서 유도식을 이용하여 최소압력 보조의 계산치를 구하였으며 실측치와 계산치의 비는 평균 0.81로 실측치 보다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으나 실측치와 계산치의 상관 계수는 0.88(p=0.002)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압력보조환기법에 의한 이탈 시도시 최소압력보조 수준의 결정은 유도식을 이용하여 계산된 값을 적용하는 것이 치료자가 임의적으로 일정한 값을 적용하는 것보다 더 나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크랭크실 환기장치의 오일 분리효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il Separation Performance of Crank-Case Ventilation System)

  • 서준호;나병철;김진용;박승욱;임대순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144-150
    • /
    • 2008
  •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parts for advanced fuel/oil filtering re-circulation applicable to this kind of regulation proof engines. These parts can playa role of converting traditional air emission type crankcase into recovery type crankcase so that the engine can deal with environmental regulations, which do not allow minimal amount of toxic gas discharge. For the experiment, test method and specially made testing equipment are prepared. The results showed that oil separation efficiency of the cone type CCV(Crank Case Ventilation) system was higher than one of cylinder type both in bench test and in engine.

역사적 도심 내 건축물의 이력을 통해 본 재생기법에 관한 연구 -청주시 남문로 2가동의 세장형 필지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Adaptive Reuse Techniques through the History of Buildings in the Historic Urban Area - Focused on the Deep and Narrow Lots of Nammun-ro 2Ga, Cheongju -)

  • 김태영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1-8
    • /
    • 2020
  • This study is intended to derive the adaptive reuse techniques through the history and aspects of new construction, extension, repair, and other works, limited to the deep and narrow lots facing Seongan-gil and Nammun-gil in Nammun-ro 2 ga of Cheongju, the historic urban a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the case of newly built reinforced concrete buildings, the central part of the top floor of the residence or all floors are opened to the open space(void) to facilitate lighting and ventilation. This is developed as a convection phenomenon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from the slits between buildings, which affects the entire air flow of the block. 2) The buildings of extension and repair are composed of two-story masonry or steel frame, both the front store facing the road and the house on the back, but it looks like one because it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If only a small gap between the front and rear buildings is restored to an external space or a space equipped with sun light, a small breath can be provided in lighting and ventilation. 3) The existing two-story wooden stores and houses have lost their external space due to repairs. With minimal intervention to restore the small courtyard, slits, and space under the eaves, it will not only improve lighting and ventilation, but also create a unique appearance as a segment of the elongated store.

모형폐의 물리적 특성 변화에 따른 Bag-Valve-Mask의 사용방법 연구 (Simulation study for Bag-Valve-Mask application guideline on pathologic pulmonary condition)

  • 최혜경;정형근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1-28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t basic user guidelines of safe and efficient bag-valve-mask application on patients having abnormal pathophysiological pulmonary conditions. Methods: This study was performed by pre-qualified 35 EMS junior and senior students.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compress ambulatory bag randomly about half, one-third, one-fourth within different airway resistance and pulmonary compliance. Resultant tidal volume and pulmonary wedge pressures on RespiTranier monitor were analysed in relation to pulmonary physiologic index. Results: At least over half compression of bag guaranteed minimal tidal volume regardless of pulmonary conditions. There was no increase of pulmonary wedge pressure above the level of barotrauma on half compression at any pulmonary conditions. Conclusion: Assisted ventilation with ambulatory bag on patients with pathological pulmonary conditions should be over half compressed regardless of respiratory disease entity.

유도탄 사출시 연소 생성물의 인체 안전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Safety Assessment for Combustion Products in the Exposure Human Bodies Rounding Missile Ejection)

  • 송기혁;정성학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69-273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afety assessment for human body on the guided missile combustion products. This study is to verify the safety assessment when operating the interior missile ejection take on verify the safety of the human body. During the missile ejection of combustion products, this study is analyzed combustion products. Result are accepted NIOSH and KOSHA of the safe guideline, and 6 exposure gas to the specified values 42% (CO), 22% ($CO_2$), not detected (others) are within minimal exposures criteria of the reference value respectively. Contribution of these results supported that interior missile ejection during combustion products may have been ensured human safely. Therefore, the future for improving the environmental safety of the shooting projectile steel plate round, dust collector, ventilation and other facilities is to improve environmental safety and efficient renovated design needed by target focused areas.

개심술후 폐기능 -수술직후 및 장기간의 추이에 대하여- (Pulmonary Function Following Open Heart Surgery -early and late postoperative changes-)

  • 이성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3권4호
    • /
    • pp.364-374
    • /
    • 1980
  • Twenty-two patients were selected for evaluation of pre-and postoperative pulmonary function. These patients were performed open cardiac surgery with the extracorporeal circulation from March 1979 to July 1980 at th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Kyungb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Patients were classified with ventricular septal defect 5 cases, atrial septal defect 5 cases, tetralogy of Fallot 5 cases, mitral stenosis 4 cases, rupture of aneurysm of sinus Valsalva 1 case, left atrial myxoma I case, and aortic insufficiency 1 case. The pulmonary function tests were performed and listed: [1] respiratory rate, tidal volume [TV], and minute volume[MV], [2] forced vital capacity [FVC] and forced expiratory volume[FEV 0.5 & FEV 1.0], [3] forced expiratory flow [FEF 200-1200 ml & FEF 25-75%]. [4] Maximal voluntary ventilation [MVV], [5] residual volume [RV] and functional residual capacity[FRC], measured by a helium dilution technique. Respiratory rate increased during the early postoperative days and tidal volume decreased significantly. These values returned to the preoperative levels after postoperative 5-6 days. Minute volume decreased slightly, but essentially unchanged. Preoperative mean values of the forced vital capacity, functional residual capacity and total lung capacity decreased [63.2%, 87.2% & 77.3% predicted, respectively], and early postoperatively these values decreased further [19.6%, 76.0% & 38.0% predicted], but later progressively increased to the preoperative levels. In residual volume, there was no decline in the preoperative mean values [100.9% predicted] and postoperatively the value rather increased [106.3-161.7% predicted]. Forced expiratory volume [FEV 0.5 & FEV 1.0] and forced expiratory flow [FEF 200-1200 ml & FEF 25-75%] also revealed significant declines in the early postoperative perio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values of the spirometric pulmonary function tests, such as FEF 1.O and FEF 25-75% between successful weaning group [17 cases] extubated within 24 hrs post-operatively and unsuccessful weaning group [5 cases] extubated beyond 24 hrs. Static compliance and airway resistance measured for the two cases during assisted ventilation, however, any information was not obtained. Long term follow-up pulmonary function studies were carried out for 8 cases in 9 months post-operatively. All of the results returned to the pre-operative or to normal predicted levels except FVC, FEV 1.0, and FEF 25-75% those showed minimal declines compared to the pre-operative figures.

  • PDF

공기주입방식을 통한 쓰레기 안정화의 현장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abilization of Landfill by Air Ventilation in Field)

  • 이환;이채영;전연호;김경;김두일;이철효
    • 유기물자원화
    • /
    • 제8권4호
    • /
    • pp.121-128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매립 폐기물 분해와 사전안정화를 위한 최적 산소 전달 방식을 평가하기 위하여 대상 매립지와 모형매립조 실험을 수행하였다. 매립년한이 오래된 매립지의 경우 낮은 유기물 함량으로 인해 저압/저유량의 연속 공기 주입방식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기 주입 및 매립가스 추출은 유기물의 생분해 보다 매립지 내부의 공기 치환에 의한 SVE (Soil Vapor Extraction)효과가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매립지의 공기주입 방식은 매립지의 조기안정화뿐만 아니라 매립지 굴착, 선별 및 이송시 발생될 수 있는 가스 문제를 사전에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최근 4년간 극소 저출생 체중아의 인공 호흡기 치료율과 경과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in Ventilator Care Rate and Outcome of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During Last Four Years)

  • 정변경;김영주;이상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11호
    • /
    • pp.1073-1079
    • /
    • 2003
  • 목 적 : 1,500 gm 미만의 극소 저출생 체중아에서 호흡부전시 인공 호흡기 치료에만 의존하던 과거와는 달리 신생아 집중치료의 획기적 발전과 의료환경의 개선으로 새로운 관점에서 인공 호흡기 치료의 시도가 요구되고 있다. 저자들은 1998년부터 기관내 삽관율과 인공 호흡기 치료기간, 합병증 등의 연도별 변화가 있는지를 조사하여 향후 인공 호흡기 치료 방향에 기초적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1998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본원 출생아로서 1,500 gm 미만의 극소 저출생 체중아이며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서 입원 치료한 뒤 퇴원한 환아 27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상아는 병력지를 기초로 재태 연령과 출생 체중을 분석하였고, 인공 호흡기 치료군에서 분만 방법과 임상 특징, 원인 질환, 인공 호흡기 설정시 초기 조건, 사용 방법, 기간, 합병증 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1) 연도별 재태 주수에 따른 인공 호흡기 치료 빈도의 변화 : 27-29주 미숙아의 경우 최근 4년간 인공 호흡기 치료군은 큰 변화 없이 극소 저출생 체중아의 약 76.1%에 해당되었다. 30-33주 미숙아의 경우는 최근 4년간 인공 호흡기 치료 빈도가 감소하는 추세로 1998년, 1999년에 각각 61.9%, 52.9%에서 인공호흡기 의존도를 나타냈으나 2000년에는 48.6%였고, 2001년에는 37.5%에서만이 인공 호흡기의 의존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전체 환아에서 1998년은 69.7%에서 인공 호흡기 치료를 받았으나, 2001년은 42.5%로 감소하였다 2) 인공 호흡기 치료군에서 임상적 특징 : 평균 재태 연령, 출생 체중은 큰 변화가 없었으며, 4년간 모두 반 수 이상에서 남아이고, 분만 방식으로 제왕 절개술에 의한 분만이 60% 이상이었으며, 최근 증가하는 추세이다. 원인 질환으로 중등도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 단독인 경우가 60% 이상이었고,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과 동반된 가사 및 무호흡이 있었다 3) 인공 호흡기 치료군에서 동맥혈 가스 분석, 인공 호흡기 설정 및 호흡 지표의 변화 : $PaO_2$는 42.4-44.8 mmHg였고, 평균 기도압은 5.7-6.0 $cmH_2O$, 산소화 지수(OI)는 9.2-11.6이었으며, 인공 호흡기 치료 24-48시간 경과 후 시행한 동맥혈 가스 검사에서 $PaO_2$는 89.3-92.5 mmHg로 호전되었고, 평균 기도압은 4.4-4.7 $cmH_2O$로 낮아졌으며, 산소화 지수는 2.3-2.6 정도로 호전되었다. 4) 인공 호흡기 치료 평균 기간 : 인공 호흡기 치료 기간은 최근 4년간 뚜렷이 감소하는 추세로 7일 이상 장기간 인공 호흡기 치료를 받은 환아는 1998년에 23.9%에서 2001년에는 6.4%로 감소하였고, 4일에서 6일 동안 치료를 받은 경우는 1998년에 76.1%에서 2001년에 9.7%로 감소하였다. 또한 3일 이하의 단기간 치료를 받은 군은 1999년에 28.1%이던 것이 2001년에는 83.9%로 증가하였다. 연도별 평균 치료 기간도 1998년, 1999년에 각각 6.0일, 5.5일에서 2000년, 2001년에 3.6일, 2.7일로 감소하였다. 5) 인공 호흡기 사용 방법과 주요 합병증 : 1998년에는 HFV와 IMV에 의한 인공 호흡기 치료가 주였고, 2000부터 비강내 CPAP을 활성화 하였으며, 2001년에는 HFV와 IMV, 비강내 CPAP의 병용 사용이 35.4%로 늘어났다. 인공 호흡기 치료를 받은 환아들의 주요 합병증으로는 동맥관 개존이 가장 많았으며, 병기 3이상의 미숙아 망막증, grade III 이상의 뇌실내 출혈, 공기 누출 증후군, 만성 폐질환, 뇌실주위 백질연화증 순으로 나타났다. 결 론 : 1,500 gm 미만의 원내 출생한 극소 저출생 체중아의 경우 중증의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이 감소하는 추세에 있으며, 인공 호흡기 의존율과 치료 기간 역시 점차 낮아지는 경향이다. 따라서 비강내 CPAP의 조기 사용으로 기도 삽관을 통한 침습적인 인공 호흡기 치료관리 기회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백밸브마스크를 이용한 1인 심폐소생술에서 구조자 위치 변화에 따른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의 질 변화 연구 (Comparis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quality using the over-the-head and lateral conventional positions with a bag-valve-mask device performed by a single rescuer : A manikin study)

  • 엄태환;정형근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15
    • /
    • 2016
  • Purpose: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quality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performed by a single rescuer using a bag-valve-mask devic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CPR quality outcomes according to the rescuer's position or mask fixation grip method and to determine the optimal means of achieving therapeutic goals. Methods: The three CPR methods were defined as over-the-head, lateral-superior, and lateral-inferior, depending on the rescuer's position or mask fixation hand placement. CPR quality was estimated for 83 paramedic students who performed 5 minutes of CPR in a randomized sequence on a manikin using each of the three methods. Results: The over-the-head method showed no advantage for cardiac compression and ventilation quality, but minimized the rescuer's fatigue score. Conclusion: In contrast to previous studies or prevailing beliefs, the lateral-superior position is optimal for achieving therapeutic goals with moderate or minimal rescuer fatig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