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ddle wall

검색결과 378건 처리시간 0.034초

과배란 유기된 rat 난소에 퇴축난포와 성장난포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I. 동원된 난포수에 대하여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atretic and the growing follicles after experimental superovulation in rats I. Number of follicles by superovulation)

  • 곽수동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71-78
    • /
    • 1997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number of the growing and mature follicles following gonadotrophin treatments for superovulation in mature rats. Eighteen mature rats (Sprague-Duwely, initially 190~230gm) were randomly alloted into 3 groups. One group was control group, another FSH-treated group was injected intramuscularly with 0.5 units of follicular stimulating hormone (FSH) / rat, and third PMS and HCG-treated group was intramuscularly injected with 20~25IU of pregnant mare serum (PMS) / rat and then at the 48 hrs later, with 20~25IU of human chorionic gonadotrophin (HCG) / rat. The uteri and ovaries of rats were collected and then were observed grossly and serial sections of paraffin embedding ovaries were stained with H-E. Number of ovarian follicles by following 3 grades of large, middle and small follicles from secondary and tertiary follicles were investigated by LM photography of preparations. Small follicles were classified as secondary follicles of preantral follicles with more than 2 layers of granulosa cells surrounding the oocyte and middle follicles were classified as secondary follicles with early signs of antral cavity or with more than one small cavity on either side of the oocytes and large follicles were classified as tertiary follicles with a single medium sized antral cavity or large well-formed antral cavity. In gross findings, the uteri were slightly swelling in FSH-treated group and markedly swelling or filled with fluid in the uterine lumen in PMS and HCG-treated group. In histological findings, the shape and size of the follicles were diverse in middle and large follicles of FSH-treated group and PMS and HCG-treated group, and proportion of atretic follicles was increased in FSH-treated group and PMS and HCG-treated group than those in control group. The uteri of FSH-treated group and PMS and HCG-treated group were hypertropied or filled with fluid in the lumens and walls of uteri. The wall tissue layers were flattened and their blood and lymph vessels were dilated. The mean number of follicle per ovary in control group were appeared to be $17.1{\pm}5.6$($14.0%{\pm}4.6%$), $37.8{\pm}9.1$($30.9{\pm}7.4%$) and $67.6{\pm}30.1$($55.2{\pm}24.6%$) respectively at large, middle and small follicles and total number of these 3 grade follicles were appeared to be $122.5{\pm}40.0$. The mean number of follicle per ovary in FSH-treated group were appeared to be $22.8{\pm}7.0$($17.4%{\pm}5.3%$), $43.4{\pm}6.6$($33.2{\pm}5.1%$) and $64.5{\pm}13.0$($49.3{\pm}9.9%$) respectively at large, middle and small follicles and total number of these 3 grade follicles were appeared to be $130.7{\pm}16.6$. The mean number of follicle per ovary in PMS and HCG-treated group were appeared to be $29.7{\pm}11.0$($16.3%{\pm}6.0%$), $61.9{\pm}17.2$($33.9{\pm}9.4%$) and $91.1{\pm}28.2$($49.9{\pm}15.4%$) respectively at large, middle and small follicles and total number of these 3 grade follicles were appeared to be $182.6{\pm}32.7$. The above findings reveal that large follicles were increased 29.8% in FSH-treated group and 73.7% in PMS and HCG-treated group than those in control group and in histologic findings, proportion of atretic follicles were more increased in ovaries with more number of more developing follicles.

  • PDF

한국 재래유산양(幼山羊)의 제2위와 제4위의 일령 별 발달과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Development of Reticulum and Abomasum with Age, and Their Relationship in Korean Native Young Goats)

  • 하정기;이정규;장홍희;김병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6호
    • /
    • pp.967-974
    • /
    • 2003
  • 본 연구는 한국재래 유산양(幼山羊)의 4개 위 형태 상호관계를 구명코자 실시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제2위에 대한 12개 조사항목과 제4위에 대한 12개 조사항목간의 관계를 조사하였든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 제2위와 제4위간에서 구한 상관계수는 총 144개로서 그 중 114개 항목간에서 5%이상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2) 제4위 중량의 조사항목이 제2위의 조사항목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3) 생체중과 제4위의 중량(r$_1$) 그리고 중심부소실의 상하길이와 제4위의 중량(r$_2$)간에서 구한 각각의 상관계수와 회귀직선방정식은 r$_1$=0.8954$^{**}$와 y=10.703+3.394X, 그리고 r$_2$=0.8430$^{**}$와 y=5.689+4.311X였다. 4) 흉위와 제4위 중량(r$_1$) 그리고 체장과 제4위 중량(r$_2$)간에서 구한 각각의 상관계수와 회귀 직선방정식은 r$_1$=0.8708$^{**}$와 Y=-17.219+1.227X, 그리고 r$_2$=0.8589$^{**}$와 Y=-17.616+1.290X 이었다.

보안디자인을 활용한 시설보안시스템 구축 방안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physical security system by using security design)

  • 최선태
    • 시큐리티연구
    • /
    • 제27호
    • /
    • pp.129-159
    • /
    • 2011
  • 시설보안은 항상 보안영역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통합적 보안계획은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여기에는 시설보안, 인사보안, 정보보안이 포함된다. 이 세 가지 요소는 상호간에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고 보호하고자 하는 대상 시설과 기업의 유형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운영된다. 통합보안프로그램에서 시설보안요스는 대체적으로 정책과 절차, 사람, 방벽, 장비와 기록물로 구성된다. 인간은 선사시대부터 자신과 부족의 생명을 보존하기 위하여 쉼 없는 투쟁을 계속하였다. 그러나 선사시대의 인간들은 어떻게 견고한 집을 짓고 거주지를 어떻게 요새화하는지를 배우지 못하였기 때문에 자신들의 보호를 자연에 의존하였고 추운 날씨에는 동굴들을 보호나 피난처로 활용하였다. 인류사를 통하여 인간은 자신과 자신이 속한 부족의 생명과 자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다양한 보호대책을 수립하여 왔다. 이러한 보안대책의 기본에는 시설보안대책이 자리하고 있다. 중세시대의 유럽의 대군주들은 성곽 둘레를 파내어 해자를 건설하거나 도개교를 만들어서 성 주위를 강화하고 거주자들에게 이러한 보호를 제공하고 경작된 농산물을 제공받았다. 20세기 들어 미국의 에드윈 홈즈는 미국의 보안산업발전에 혁신적인 전자경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하였다. 이것이 오늘날 전자보안시스템의 효시이며, 발전을 거듭하여 오늘날 해당 시설물에 다양한 전자보안시스템을 조합한 형태의 보안시스템이 보안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인류는 태초부터 생명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양한 보호대책을 수립하여 발전을 계속하고 있다. 오늘날 현대인은 생명과 자산의 보호와 다양한 사회병리현상에 대응하기 위하여 전국 방방곡곡 대부분의 시설물에 CCTV가 설치되어 현대인의 일상을 보호 감시하고 있다. 이러한 대부분의 시설보안시스템은 우리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설치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모든 비용 또한 우리가 지불하여야 한다. 따라서 효과적인 시설보안시스템의 구축은 매우 중요한 당면 과제이다. 이 연구에서는 현대사회의 필요성에 의해서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는 시설보안시스템의 효과적인 구축방안에 대하여 보안디자인의 원리에 시스템 통합을 활용하여 효과적인 시설보안시스템 구축방안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 PDF

백색목재부후균중 Biopulping에 이용가능한 선택적 리그닌분해균의 스크리닝 (Screening of White Rot Fungi with Selective Delignification Capacity for Biopulping)

  • 이종규;오은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2호통권85호
    • /
    • pp.144-152
    • /
    • 1998
  • 선택적 리그닌 분해능을 가지고 생물펄프공정에 사용가능한 백색부후균을 얻기 위하여 94종류의 목재부후균을 검정하였고 선발된 7개종에 대하여 활엽수와 침엽수의 부후능력을 측정하였다. 우선 백색부후균은 셀룰로오즈 분해효소, 페놀산화효소, laccase, peroxidase 등의 효소활성을 간단한 방법으로 검정하여 선발하였는데, Bavendamm test에서 양성을 나타내는 대부분의 균들은 syringaldazine을 사용한 laccase test에서도 강한 반응을 나타낸 반면, 음성반응을 나타낸 대부분의 균들은 laccase와 peroxidase test에서도 음성반응을 나타내었다. 선택적 리그닌 분해능력을 지닌 부후균을 선발하기 위하여 부후균을 은사시나무와 일본잎갈나무(낙엽송) 목재블럭에 접종하여 12주간 배양한 후에 부후된 목재의 중량감소율, 리그닌 량의 감소, 형태적 변화들을 화학분석과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하여 분석하는 목재부후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 실험에서 사용한 거의 모든 균주는 목재블럭의 중량감소율이 일본잎갈나무 보다 은사시나무에서 2배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균을 접종하지 않은 목재블럭에서는 중량감소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Ceriporiopsis subvermispora와 Phanerochaete chrysosporium이 다른 균주에 비해서 침엽수와 활엽수의 리그닌을 모두 잘 분해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분해 능력은 Ceriporiopsis subvermispora가 더욱 우수하였다. Bjerkandera adusta와 미동정된 2균주는 은사시나무에서만 상대적으로 높은 리그닌 분해능력을 나타내었다. B. adusta는 모든 세포벽 성분을 동시에 분해시켜서 2차세포벽을 얇게 만들었으나 다른 균주들은 선택적 리그닌 분해력을 나타내어 두 세포의 세포벽 사이에 위치하는 중벽에 존재하는 리그닌을 분해시켜서 세포를 분리시키는 것이 관찰되었다.

  • PDF

Morphological Factors and Cardiac Doses in Whole Breast Radiation for Left-sided Breast Cancer

  • Guan, Hui;Dong, Yuan-Li;Ding, Li-Jie;Zhang, Zi-Cheng;Huang, Wei;Liu, Cheng-Xin;Fu, Cheng-Rui;Zhu, Jian;Li, Hong-Sheng;Li, Miao-Miao;Li, Bao-She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7호
    • /
    • pp.2889-2894
    • /
    • 2015
  • Backgroun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breast size, shape, maximum heart depth (MDH), and chest wall hypotenuse (the distance connecting middle point of the sternum and the length of lung draw on the selected transverse CT slice) on the volumetric dose to heart with whole breast irradiation (WBI) of left-sided breast cancer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Fifty-three patients with left-sided breast cancer undergoing adjuvant intensity-modulated radiotherapy (IMRT) were enrolled in the study. The primary breast size and shape, MHD and DCWH (chest wall hypotenuse) were contoured on radiotherapy (RT) planning CT slices. The dose data of hearts were obtained from the dose-volume histograms (DVHs). Data were analyzed by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Student's t-test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s: Breast size was independent of heart dose, whereas breast shape, MHD and DCWH were correlated with heart dose. The shapes of breasts were divided into four types, as the flap type, hemisphere type, cone type and pendulous type with heart mean dose being $491.8{\pm}234.6cGy$, $752.7{\pm}219.0cGy$, $620.2{\pm}275.7cGy$, and $666.1{\pm}238.0cGy$, respectively. The flap type of breasts shows a strong statistically reduction in heart dose, compared to others (p=0.008 for V30 of heart). DCWH and MHD were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parameters correlating with heart dose in WBI. Conclusions: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heart dose of non-flap type patients. The MHD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parameter to correlate with heart dose in tangential WBI, closely followed by the DCWH, which could help radiation oncologists and physicsts evaluate heart dose and design RT plan in advance.

Unsaturated Polyester/Polyvinylacetate Semi-IPN의 경화반응속도에 따른 상분리현상 연구 (The Study on Phase Separation Development by Curing Reaction Rate for Unsaturated Polyester/Polyvinylacetate Semi-IPN)

  • 장원영;김무술;김진환;남재도
    • 폴리머
    • /
    • 제25권1호
    • /
    • pp.78-89
    • /
    • 2001
  • 불포화폴리에스터/폴리비닐아세테이트 semi-IPN의 경화과정 중 경화속도와 상분리 확산속도의 상호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상분리 모폴로지를 광산란 및 열분석 장치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열경화성 고분자의 경화과정 중 열가소성 고분자의 확산에 기인한 물성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상분리를 수반하는 경화과정에서의 활성화에너지의 변화를 Flynn-Wall method를 이용하여 구하였다. 반응에 의하여 나타나는 상분리현상은 경화과정 중 다양한 상분리 거동을 나타내게 되는데, 폴리비닐아세테이트가 10 wt%일 경우에는 반응도중에 상분리가 일어나지 않고 냉각 후 상온에서 nucleation & growth 거동과 유사한 형태로 상분리가 발생하였고, 11.65 wt% 이상에서는 반응도중 spinodal decomposition으로 사료되는 상분리가 발생하였다. 또한 상분리현상이 경화속도에 영향을 미친 것을 활성화에너지의 변화거동으로부터 확인하였으며, 온도변화에 따라 총산란량을 측정하였고 이로부터 확산에 의한 상분리 속도 R(${\beta}_m$)를 비교하였다.

  • PDF

조적식 구조물의 부분 매입식 격자철근 보강기법의 내진 성능 평가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Masonry Walls Retrofitted with Semi-buried Lattice Reinforcement)

  • 김상효;최문석;박세준;안진희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88-98
    • /
    • 2011
  • 조적조 구조물은 전 세계적으로 중 저층 주거시설, 상업시설, 종교용 건축물, 학교, 관공서 등의 용도로 폭넓게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조적벽체는 조적개체와 모르타르의 이질재료를 접착하여 쌓는 방식의 구조벽체로 지진과 같은 횡력 발생 시 접착력을 잃거나 미끄러지면서 파괴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조적식 구조물의 내진보강 기법을 제안하였으며, 진동대 실험을 통하여 내진 성능을 검증하였다. 진동대 실험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내진보강 기법을 이용한 벽체는 한국 건축설계 기준이 제시하는 내진 기준인 0.14g와 미국 IBC에서 제시하는 내진 기준인 0.4g에서 모두 최종 파괴에 도달하지 않았다. 그러나, 0.14g 이상의 지진을 경험한 면외방향 실험체의 경우 급격한 강성저하가 관찰되어, 적절한 보수 보강이 필요할 것으로 예측된다.

Fracture patterns in the maxillofacial region: a four-year retrospective study

  • Park, Kyung-Pil;Lim, Seong-Un;Kim, Jeong-Hwan;Chun, Won-Bae;Shin, Dong-Whan;Kim, Jun-Young;Lee, 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1권6호
    • /
    • pp.306-316
    • /
    • 2015
  • Objectives: The facial bones are the most noticeable area in the human body, and facial injuries can cause significant functional, aesthetic, and psychological complications. Continuous study of the patterns of facial bone fractures and changes in trends is helpful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axillofacial fractures. The purpose of the current clinico-statistical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attern of facial fractures over a 4-year period.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1,824 fracture sites was carried out in 1,284 patients admitted to SMG-SNU Boramae Medical Center for facial bone fracture from January 2010 to December 2013. We evaluated the distributions of age/gender/season, fracture site, cause of injury, duration from injury to treatment, hospitalization period,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Results: The ratio of men to women was 3.2:1. Most fractures occurred in individuals aged between teens to 40s and were most prevalent at the middle and end of the month. Fractures occurred in the nasal bone (65.0%), orbital wall (29.2%), maxillary wall (15.3%), zygomatic arch (13.2%), zygomaticomaxillary complex (9.8%), mandibular symphysis (6.5%), mandibular angle (5.9%), mandibular condyle (4.9%), and mandibular body (1.9%). The most common etiologies were fall (32.5%) and assault (26.0%). The average duration of injury to treatment was 6 days, and the average hospitalization period was 5 days. Eighteen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observed in 17 patients, mainly infection and malocclusion in the mandible. Conclusion: This study reflects the tendency for trauma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because it analyzes all facial fracture patients who visited our hospital regardless of the specific department. Distinctively, in this study, midfacial fractures had a much higher incidence than mandible fractures.

천속단의 수확시기에 따른 수량과 Loganin 성분 변이 (Variation of Yield and Loganin Content According to Harvesting Stage of Dipsacus asperoides Wall)

  • 안찬훈;김영국;안태진;허목;이정훈;이윤지;차선우;송범헌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0-114
    • /
    • 2016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arvest time on the growth, yield characteristics and loganin content in Dipsacus asperoides Wall. Methods and Results: Dipsacus asperoides seedlings were planted within a nursery environment in early May 2015 and harvested in early, middle and late October 2015, and early November 2015. Harvest time did not resul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lant height, stem diameter, branch length, leaf width and aboveground dry weight moreo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root length, number of roots and root diameter. However, the diameter of lateral roots was greater in the harvests from the late October and period thereafter. The highest values of root dry weight and yield were recorded in early November. Specifically, the yield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205 kg/10 a (index: 100) in early October to 358 kg/10 a (index: 175) in early November, in terms of root part weight. Loganin contents of D. asperoides differed significantly among harvest times raging from 0.0766% in early October to 0.1704% in late November, thereby showing an increasing trend in later harvest time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optimum harvest time for D. asperoides is early November, when the yield is the highest. Harvest time significantly affected loganin contents, which constantly increased from early October until early November.

방염 처리 고목재의 미생물 분해의 미시형태적 특징 (Micr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Buddhist Temple Woods Treated with Eire-retardant)

  • 위승곤;김익주;박영만;김윤수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01년도 제14회 발표논문집
    • /
    • pp.27-34
    • /
    • 2001
  • 화재를 예방하고자 방염 처리 한 일부 고건축재에서 발견된 미생물에 의한 고목재의 분해를 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방염 처리한 고건축 부재는 2차벽 중층에 마이크로배열 방향과 동일한 동공을 가지고 있는 전형적인 연부후를 보였다. 또한 주사형 및 투과형 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한 결과 일부 세포벽은 세균에 의해 분해된 것으로 나타났다. 방염 처리한 고건축재에서 나타난 이같은 부후형태는 수분으로 포화된 수침 고목재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부후 형태이다. 부후 형태로부터 본 연구에 사용된 고건축 부재는 방염 처리 후 흡수성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이같은 함수율의 증가는 사용된 방염제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 결과 사찰 및 궁질 등 고건축물에 사용하고 있는 방염제에 대한 보다 더 체계적이고 심도있는 연구가 필요함을 보여주었으며 아울러 방염제가 목재의 흡수성과 강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뒤따라야함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또한 기상 열화에 의한 일부 목재의 표층부에 나타난 중간층의 분해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