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ddle school teacher

검색결과 858건 처리시간 0.023초

과학과 수업 방법의 요인분석 연구 (A Study on Factor Analysis of Science Teaching Methods)

  • 홍성일;우종옥;정진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94-403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and analyze the science teacher's teaching methods. A total of 35 teaching methods were abstracted from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relating literatures.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frequencies of using methods was developed and then tested to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The Results of two factor analysis methods were compar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instruments's reliablity coefficient(Cronbach ${\alpha}$) was 0.7707. The teaching methods which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have used frequently were represented as the proposing of the learning objectives, the deductive teaching, the experimental activities by teacher's guide, the summarization after explanation, the reading text etc. Also, it was revealed that they have not use the diagnostic evaluation, the formative evaluation, the experimental activities by student's design, the instructional medium.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1st factor included 13 teaching methods and 2nd and 3rd factor included 9 and 7 methods respectedly. The meaning of 1st factor was interpreted to stimulate student's learning motives. And the other's were about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actors were overlapped or more fined. These were due to the structure of factors.

  • PDF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생과 부모, 학생과 교사 관계의 매개효과: 초·중학생 차이를 중심으로 (The mediative effect of student-parent, student-teacher relationship on the effect of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on depression: Difference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 최경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4호
    • /
    • pp.521-528
    • /
    • 2017
  • 본 연구는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경로에서 학생이 부모나 교사와 맺은 관계가 이를 매개하는지를 구조적으로 검증하는 것과 동시에 초등학생과 중학생 간의 경로 차이를 발견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한국아동청소년종합실태조사에서 수집한 12세~18세의 청소년 자료 중 1,385명에 해당하는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자료를 활용하였고, 구조방정식의 다집단 분석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초등학생이 부모나 교사와 맺은 관계가 매개역할을 하지 못하였지만, 중학생이 부모나 교사와 맺은 관계는 부정적인 매개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나 교사는 학교폭력 피해로 인해서 초등학생이 겪는 우울에 대해서 부모나 교사는 특별한 역할을 하지 않았지만, 중학생에게는 학교폭력 피해로 인해서 우울을 더 많이 겪게 하는 요인이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학교폭력 피해와 이로 인해서 겪는 우울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필요한 실제적인 역할을 제시하였다.

가정과 교육실습에 대한 가정과 교사와 교수의 인식 (Perceptions of Home Economics Teachers and Teacher Educators Regarding Home Economics Student Teaching Practice)

  • 김진;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87-100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and no investigate and to compare perceptions of home economics teachers and educators regarding home economics student teaching pratice, thereby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improving home economics student teaching pratice.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at follows. 1. To determine and compare the perceptions of home economics teachers and teacher educators regarding the importance and achievement of (1) the objectives of student teaching, (2) the experiences of student teaching, (3) procedures for selecting cooperating teachers, (4)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cooperating teachers, and (5)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university supervisors. 2. To identify problems and revisions about home economics student teaching pratice suggested by home economics teachers and teacher educato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included 90 home economics teachers in 500 girls’middle schools and 13 teacher educators in 21 universities with home economics education department in Korea. For this study, the Habedi’s instruments were used through testing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data of this study were analyzed by using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1. The areas with the difference of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between the two groups were objectives of student teaching, experiences of student teaching, procedures for selecting cooperating teachers, and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cooperating teachers. 2. Regarding problems about home economics students teaching practice, home economics teachers indicated difficulty in performing adequate student teaching because of reduction in class hours, and lack of student teachers’positive attitude in performing student teaching, while teacher educators indicated having reluctancy of cooperating school to admit student teachers, and difference in experiences of student teachers because of disparity among cooperating schools. As solutions about the problems of home economics student teaching practice, home economics teachers suggested that student teaching course should be limited to the students qualified for teaching and that class observation and teaching practice in real class should be emphasized, while teacher educators suggested that student teaching should be performed adequately by providing institutions to control student teaching practice teacher should be made efficient by examining the scales of cooperating schools.

  • PDF

Calculator-Based Laboratory system과 실험 Kit를 이용한 과학실험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to the Utilization of Calculator Based Laboratory System with Experimental Kit in Science Experiments)

  • 서혜애;윤기순;손종경;정화숙;송방호;양홍준;박성호;권덕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93-304
    • /
    • 1999
  • Calculator-Based Laboratory(CBL) system을 중 고등학교 현장에 적용하기에 앞서, 그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 향후 CBL system을 이용한 과학 실험의 현장 적용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CBL system을 이용한 과학 실험을 현직 중 고등학교 과학교사 54명에게 소개하고, 직접 실습하게 한 후, CBL system을 이용한 과학 실험 방법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과 학교 현장에서의 적용가능성 및 학생들의 과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고, 교사의 성별, 학교, 지역, 최종학위 및 교사 경력 연수 따른 인식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교사들의 CBL system을 이용한 과학 실험 방법에 대한 인식은 일반적으로 긍정적이었으며, 대부분의 교사들은 CBL system을 이용한 과학 실험 방법이 우수하며, 고등학교 및 대학교 학생들에게 적합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교사들의 성별, 학위소지, 근무학교 경력 등의 차이에 따라 CBL system을 이용한 과학 실험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도 다양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향후 CBL system을 이용한 과학 실험에 대한 과학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보다 세분화하고 교사들의 흥미, 관심 및 필요성에 따라 여러 그룹으로 구분하여 보다 효율적인 교사중심의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할 것으로 고찰되었다. CBL system을 과학교육에 보다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각 단원별 현장 적용 및 효율성을 검정하여, 우리 나라 과학 교육 현장에 적합한 CBL system 과학 실험 모형의 개발이 촉구되며, 현행 과학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개선이 요구된다.

  • PDF

다문화 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자아존중감 발달궤적에 미치는 동시효과와 지연효과 (A Contemporaneous and Lagged Effects of Social Supports on Self-esteem Development Trajectory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 연은모;최효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190-19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초 4)부터 중학교(중 3)까지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어떤 발달궤적을 보이는지 확인하고, 동일 시점에서의 사회적 지지(가족, 친구, 교사)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동시효과, 1년 전의 과거 시점의 사회적 지지(가족, 친구, 교사)가 1년 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지연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다문화청소년패널연구의 6개년도 자료를 분석했으며, 분석 대상은 1,296명이다. 분석 결과, 첫째, 무조건 분할함수 성장모형에 기초했을 때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 동안은 증가하다가, 중학교 시기에서는 감소하는 특징을 보였다. 또한 초기치, 1기 변화율, 2기 변화율에 개인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초기치가 높을수록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 동안의 자아존중감의 증가폭은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기치가 높을수록 중학교 시기 동안의 자아존중감 감소폭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건 분할함수 성장모형 분석 결과, 가족 지지와 교사 지지의 동시효과는 6개년도 모두, 친구 지지의 동시효과는 중 3시기를 제외한 5개년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가족 지지의 지연효과는 초 4, 초 5, 초 6 시점이 1년 뒤 시점에, 친구 지지의 지연효과는 초 6, 중 2 시점이 1년 뒤 시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교사 지지의 지연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해서는 가족, 친구,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디지털자료실지원센터(DLS)의 이용자 집단간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User Groups of the Digital Library System)

  • 이병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29-145
    • /
    • 2005
  • DLS(Digital Library System)는 학교도서관 관리자(사서교사)와 최종 이용자(일반교사 및 학생)에게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교육인적자원부에서 개발한 학교도서관 정보시스템이다. DLS는 현재 15개 시 도교육청에 설치되어 있으며, 시 도교육청 관내의 초 중등학교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DLS는 서비스를 개시한지 2년 이상이 지났기 때문에 이용 실태와 현황을 분석하여 향후 개선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DLS를 사용하고 있는 전국의 308개 초 중등학교의 학교도서관 관리자, 학생 및 교사를 대상으로 이용실태와 요구사항을 조사하여 향후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수학교육에서 창의성 신장을 위한 열린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1) (A Study on Open Education for Developing Creativity in Mathematics Education)

  • 전평국;이재학;백석윤;박성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5권2호
    • /
    • pp.71-94
    • /
    • 2001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sign small group collaborative learning models for developing the creativity and to analyze the effects on applying the models in mathematics teaching and loaming. The meaning of open education in mathematics learning, the relation of creativity and inquiry learning, the relation of small group collaborative learning and creativity, and the relation of assessment and creativity were reviewed.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 small group collaborative learning and creativity, we developed three types of small group collaborative learning model- inquiry model, situation model, tradition model, and then conducted i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As a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1) Small group collaborative learning can be conducted when the teacher understands the small group collaborative learning practice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and have desirable belief about mathematics instruction. (2) Students' mathematical anxiety can be reduced and students' involvement in mathematics learning can be facilitated, when mathematical tasks are provided through inquiry model and situation model. (3) Students' mathematical creativity can be enhanced when the teacher make classroom culture that students' thinking is valued and teacher's authority is reduced. (4) To develop students' mathematical creativity, the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in small group should be encouraged, and assessment of creativity development should be conduced systematically and continuously.

  • PDF

수학 중등 교사들 간의 수학교수지식(MKT) 차이 발생 요인 분석 및 이를 통한 통계적 소양 신장 방안 (A Study on Analyzing the Difference Factors Occurred in the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eachers on the Mathematical Knowledge of Teaching and on Exploring the Enhancement on the Statistical Literacy)

  • 김슬비;황혜정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9권2호
    • /
    • pp.141-166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MKT(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of the in-service mathematics teachers on the statistics(Representative value, Degree of scattering)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sub-elements of the MKT. In addition, it i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cause the difference of the subjects' MKT. To accomplish this, by the subject of 12 secondary in-service mathematics teachers, in this study the test items of the MKT on the statistics were developed an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MKT test sheet, the CCK(Common Content Knowledge) and SCK(Specialized Content Knowledge) of the mathematics teacher was confirmed as a high score, whereas the and KCS(Knowledge of Content and Students) and KCT(Knowldge of Curriculum and teaching) were confirmed as low scores. In addition,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shown that the difference in MKT's elements th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eachers obtain occurred slightly.

문제 해결 교수에 대한 중학교 수학 교사들의 신념 (The Middle Grade Teachers' Beliefs about Teaching Problem Solving)

  • 이광호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385-400
    • /
    • 2007
  • 이 논문은 전미교사협회에서 제시한 수학의 문제 해결에 대한 기준과 문제 해결 교수에 관한 중학교 수학 교사들의 신념에 대하여 연구자가 직접 디자인한 설문을 시험한 연구이다. 이 설문은 타당도가 검증되었으며 신뢰도가 있음이 판명되었다. 이 설문에 응답한 중학교 수학 교사 124명의 설문에 대한 반응을 분석하였다. 여교사와 남교사는 문제 해결 교수에 대하여 유의미하게 다른 신념을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다. 교사들의 나이는 문제 해결 교수 전략에 대한 신념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이 나타났다.

  • PDF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 건강증진학교 수행 현황과 관련 요인: WHO 건강증진학교 지표를 중심으로 (Implementation Status and Related Factors of Health Promoting Schools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Based on the WHO Guidelines)

  • 이은영;박경옥;신영전;최보율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09-120
    • /
    • 2012
  • Objectiv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ssess the implementation status of Health Promoting Schools (HPS)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s that affect the implementation of HPS. Methods: A total of 703 teachers (male 32.2%, females 67.8%) from 7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participated in the survey. A 60-item self-evaluation questionnaire was used to assess implementation status of HPS. Results: Implementation of HPS in elementary schools were more favorable than middle and high schools after controling for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such as age, gender, and their duties at school (<0.001). Being a private school was associated with higher score on implementation of HPS in both elementary (${\beta}$=0.170) and middle/high schools (${\beta}$=0.275). However, being located in rural areas (${\beta}$=-0.409) and having larger number of students (${\beta}$=-0.521) were associated with lower score on implementation of HPS in middle/high schools. Conclusions: Middle and high schools, especially large public and/or rural schools, were less favorable in implementing HPS. Therefore, supporting those schools are necessary and developing evaluation and monitoring system for HPS implementation will contribute to promote students' heal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