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ddle school teacher

검색결과 853건 처리시간 0.03초

Authentic Investigative Activities for Teaching Ratio and Proportion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 Ben-Chaim, David;Ilany, Bat-Sheva;Keret, Yaffa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2권2호
    • /
    • pp.85-108
    • /
    • 2008
  • In this study, we created, implemented, and evaluated the impact of proportional reasoning authentic investigative activities on the mathematical content and pedagogical knowledge and attitudes of pre-servic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ers. For this purpose, a special teaching model was developed, implemented, and tested as part of th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training programs conducted in Israeli teacher colleges. The model was developed following pilot studies investigating the change in mathematical and pedagogical knowledge of pre- and in-service mathematics teachers, due to experience in authentic proportional reasoning activities.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that application of the model, through which the pre-service teachers gain experience and are exposed to authentic proportional reasoning activities with incorporation of theory (reading and analyzing relevant research reports) and practice, leads to a significant positive change in the pre-service teachers' mathematical content and pedagogical knowledge. In addition, improvement occurred in their attitudes and beliefs towards learning and teaching mathematics in general, and ratio and proportion in particular.

  • PDF

중학교 과학 교사의 ICT 활용 실태 국제 비교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f the Use of ICT by Middle School Teachers)

  • 이재봉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885-89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국제 교육성취도 평가협회가 시행한 ICILS 2013의 교사 설문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중학교 과학 교사의 ICT 활용 실태를 다른 나라와 비교하였다. ICILS 2013은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18개 참여국 중 컴퓨터 정보 소양 점수가 높은 호주, 체코, 노르웨이, 폴란드와 우리나라 과학 교사들의 ICT 활용 실태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ICILS 2013의 교사 설문지 중에서 과학 교사의 ICT 활용 실태를 분석할 수 있는 9문항을 선택하였는데, 문항들은 교사의 컴퓨터 이용 실태, 수업에서 ICT 활용 현황, 학교의 ICT 활용 지원 환경의 범주로 나누어 분석되었다. 우리나라 중학교 과학 교사의 컴퓨터 사용 실태를 보면, 컴퓨터를 비교적 많이 사용하며 컴퓨터에 대한 자아효능감도 다른 나라에 비해 높은 편이었다. 그러나 일반적인 컴퓨터 활용은 잘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지만 교수학습과 관련된 컴퓨터 활용에서는 낮은 자신감을 나타내었다. 수업에서 활용에서도 비교적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사용하지만 프레젠테이션이나 그래픽 소프트웨어에 대한 활용의 비중이 높은 편이고 학습활동이나 교수활동에서도 교사주도의 정보 제공이나 과제 제시에 대한 활동의 비중은 높지만 협업이나 상호작용이 많은 활동에서는 낮은 응답을 나타내었다. 또한 우리나라 과학 교사들은 ICT 활용하는 것에 대해서 긍정적인 관점보다는 부정적인 관점을 많이 가지고 있었다. 학교에서 컴퓨터 관련 자원을 지원하는 정도는 지원이 부족하다고 응답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조사 항목 대부분에서 호주나 체코에 비해 지원 정도가 낮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충분한 ICT 기기나 컴퓨터가 구식 모델이고 디지털 학습 자료가 부족하다고 응답하였다. 여기서 드러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ICT 교육 인프라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과 더불어 학생활동 중심의 ICT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개발과 보급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초.중.고등학교 학생, 학부모, 일반교사의 보건교육 요구 (Needs of Health Education of Students, Parents, and General Teacher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 윤순녕;김영임;최정명;조희순;김영희;박영남;오경순;이분옥;조선녀;조소영;한선희;하영미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51-160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needs of health education of the students, parents, general teachers, and health teacher of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Method: 279 school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were sampled nonproportionally during the period from June 28 to July 26, 2004 The data were collected by the questionnaire from 1,888 students, 1,876 parents, 1,695 general teachers, 279 health teachers. A frequency, % and $x^2-test$ were used to analysis by SAS program. Result: 1. It showed that 98.1%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92.3% of middle school students, 89.6% of high school students answered that they need health education. The most of students, parents, and general teachers had high interests in health education. 2. In the case of students, main causes of needs of health education was 'to prevent diseases or accidents'. But parents answered that it was 'to build up a healthier behavior'. General teachers answered that it was 'more effective systematic and continuous health education'. 3. Over 80% of students, parents, and general teachers about the question of who qualified person is to teach health education as a regular class responded that health teacher is available. Especially 93%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swered like that. 4. The most of students, parents, and general teachers answered that health education in the classroom is favorable 1 to 2 hours per week. Conclusion: As results of the study, the majority of students, parents, general teachers agreed needs of health education. Therefore, on the basis of this study, systematic and continuous health education is necessary. Additionally the establishment of independent health subject is required certainly.

Reflection as Professional Knowledge for Mathematics Teachers

  • Kwon, Na Young;Orrill, Chandra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9권1호
    • /
    • pp.1-17
    • /
    • 2015
  •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prompted reflections of four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ers after their lessons. We used Cohen and Ball's instructional triangle (1999) to investigate teachers' reflections. With this framework, we addressed questions of what characteristics in reflections the participant teachers have and how the reflections differ over tim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teachers showed differences in the instances of assessing and changes over time in the ways they gained more insights about students' understanding.

기술.가정(실과) 교사의 교육과정 관점과 교사 효능감에 관한 연구 - 가정 분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urriculum Perspectives of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and the Home Economics Teacher Efficacy)

  • 최유정;채정현;박미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89-106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 교사의 가정과 교육과정 관점은 주로 어떤 유형인지, 가정과 교사로서의 교사 효능감은 어떤 수준인지, 그리고 가정과 교육과정 관점과 가정과 교사로서의 교사 효능감의 관계는 어떠한지에 대해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자료는 전국 중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가정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우편을 통한 설문지로 수집하였으며, 215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WIN(ver 10.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 1-검증, One-Way ANOVA와 Scheffe' 사후검증, Pearson 적률상관관계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 교사의 세 가지 교육과정 관점에 대한 전체적인 성향을 조사해본 결과, 해석적 관점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해방적 관점, 기술적 관점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 관점의 하위영역별 경향을 알아본 결과 교육목적에 대한 가정(假定)과 지식에 대한 가정(假定)에서는 해방적 관점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에 대한 가정(假定)과 사회에 대한 가정(假定)에서는 해석적 관점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과 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체 교육과정 관점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해석적 관점과 해방적 관점 모두 학교소재지에 따라 특별시 광역시 소재 학교의 교사가 군 읍 면 소재 학교의 교사에 비해 해석적 관점이 강한 경향을 보였다. 또한 연령이 낮을수록, 교직경력이 짧을수록 해방적 관점의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과 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육과정 관점의 하위영역에 대해 살펴본 결과, 교육목적에 대한 관점에서는 연령이 적을수록 해석적 관점과 해방적 관점이 모두 강한 성향을 보였다. 해방적 관점의 경우, 또한 교직경력이 짧을수록 해방적 관점이 강한 경향을 보였다. 지식에 대한 관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연령이 적을수록 해석적 관점과 해방적 관점의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직경력이 짧을수록 지식에 대한 해방적 관점의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에 대한 관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해방적 관점의 경우, 학교소재지에 따라 특별시광역시 소재 학교의 교사집단이 군 읍 면 소재학교의 교사집단에 비해 해방적 관점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과 교사의 전체 효능감은 평균보다 약간 높았다. 하위 영역별 효능감은 학습지원 효능감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학급운영 효능감, 환경지원 효능감, 교수전략 효능감, 요구대처 효능감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체 교사 효능감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가정과 교사의 교육과정 관점 중 해석적 관점이 다른 관점에 비해 교사 효능감과 높은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효능감의 하위영역에서도 해석적 관점의 상관이 가장 높았으며, 요구대처 효능감에서만 기술적 관점의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우리나라 학교보건교육의 역사적 변천 및 발전방안 (History and Development Strategy of School Health Education in Korea)

  • 김현숙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47-158
    • /
    • 2012
  • The School Health Act was revised in 2007 and the contents of school health education was officially organized in the school curriculum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since the contents of school health education disappeared in 1963. For the successful school health education, sufficient time for health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by opening health education course as an essential subject in every grade. The large scale schools need to have more school health teachers for performing efficient health education and in all schools there needs to be a reorganization of the teacher's complex works. For quality improvements of the health education, the change of principal's attitude and budget plan for health education are essential. Additionally, various training programs for school health teachers and developing effective educational materials should be provided.

  • PDF

중등교사의 수업개선 노력이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학교풍토 유형 간 비교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Efforts on Instructional Improvement on Teacher Efficacy: Focused on Comparison among Types of School Climate)

  • 최원석;길혜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472-48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교사의 수업개선 노력과 교사 효능감 간 관계를 수업변화 경험과 사기 열의, 학교 풍토가 어떻게 매개 조절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7년에 경기도의 197개 중학교 3학년 학생 표집과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된 경기교육종단연구 6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중등교사의 수업변화 경험이 수업개선 노력과 교사 효능감 간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매개효과를 사기 열의라는 개인 수준의 변수가 조절하는지에 대해 조건부 간접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때, 학교풍토 유형 간에 조절된 매개효과가 상이할 수 있다고 보고,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학교 풍토를 보수적, 허용적, 혁신적 풍토로 유형화한 후, 각 유형별로 분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수업개선 노력이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수업변화 경험이 매개하는 효과는 혁신풍토 학교에서만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사의 수업변화 경험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교사의 사기 열의가 조절하는 효과는 허용적 및 혁신적 풍토에서만 발견되었다. 끝으로 교사의 사기 열의에 의해 조절된 매개효과는 허용적 풍토에서보다 혁신적 풍토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비전공 교사에 의한 지리 수업 운영의 특성과 문제점에 관한 연구 (The Case Study of Geography Classes Taught by Non-Majored Teacher in the Middle School)

  • 박선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620-63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전공 교사와 비전공 교사에 의한 지리 수업의 차이점과 비전공 교사에 의한 지리 수업 운영의 문제점을 분석하고자 2003년 4월과 5월에 서울의 3개 중학교에서 이루어진 4개의 지리 수업을 관찰하였다. 수업 분석 내용은 (1) 수업의 조직. (2) 교사와 학생간의 대화. (3) 설명 전략이다. 수업 관찰 이후에 해당 학교의 사회과 교사들과 면담을 통하여 비전공 교사가 지리를 가르칠 때 어려움과 해결 방법 등에 관련된 자료를 추가로 수집하였다. 수업 분석은 미시 기술적 연구 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간단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리 전공 교사의 수업에 비하여 비전공 교사의 수업은 학습 주제의 전환 과정이 매끄럽지 않다. 둘째. 지리 전공 교사의 질문은 본 수업의 내용을 이끌어 가는 기제로 작용한 반면, 비전공 교사에 의한 질문은 주로 학생들의 흥미를 도출하는 역할을 한다. 셋째 설명 전략에 있어서 지리 교사는 비교와 대조의 방식을 이동하여 내용 간 관계를 알 수 있도록 설명한 반면, 비전공 교사는 교과서에 제시된 내용을 읽고 용어나 내용을 쉽게 풀이해 주는 수준에서 이루어진다. 넷째, 전공 교사는 적극적으로 지도를 활용하는 반면, 비전공 교사는 지도를 활용하지 않거나, 활용하더라도 지역의 위치를 확인하는 등 낮은 수준에서 활용한다. 비전공 교사는 비전공성으로 인한 지리 수업 문제를 인식하고 있지만 그 원인을 교육과정의 편제에 따른 구조적인 문제로 생각하고 적극적으로 해결방안을 모색하지 않는다.

중등 교사의 생활환경에 대한 의식 및 실천 (A Study of the Consciousness and Practice of Life Environment of Middle School Teacher)

  • 안옥희;안지연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21-428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nder as the basic data for practice of environment on the consciousness and practice of life environment on technical teacher in middle school and colleage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questionnaire distributed to 102 technical teacher in middle school and 103 male colleage students in Jan. and Aug., 2000. The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had consciousness in industrial environment pollution but the students has the causes of house or car. All of the subjects set to the environment information through T.V. programs and the efficacy is highest. Also the teachers set to the environment information through environmental organization and books. The teachers had concern of high level and higher than the students on the life environment. Specially the awareness of life environment was upper to the average and higher than students. 2. The assessments of the earth life environment was 69.17(M), the oceanic environment was highest and water environment was lower. The assessments of the Korea life environment was 60.67(M) were lower than the assessments of the earth life environment, all items were lower than earth lie environment. Generally leachers has positive assessments to earth and Korea life environment than male students. 3. The teachers have high practice apparence on the life environment than the students. Also the teachers had upper to the average on the practice degree, and the practice degree lower than practice awarences. But all items on practices degree was higher than student's.

  • PDF

중학생의 과학 교실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ce Classroom Learning Environments)

  • 홍미영;강남화;김주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8-79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과학 교실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남학생과 여학생, 교실 학습 환경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의 인식이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조사하였다. 서울시에 소재한 7개 중학교의 3학년 14학급 587명(남학생 264명, 여학생은 323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교실 학습 환경 설문 도구는 What Is Happening In this Class (WIHIC)을 사용하였다. 7개 항목 중 학생들 간의 단결, 과제 지향, 협동성, 평등성 항목에서는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내었으나, 수업 참여, 탐구 활동, 교사 지원 항목에 대한 인식은 다소 부정적이었다. 성차에 대한 과학 교실 학습 환경 인식을 보면 전체적인 결과에서는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항목별로는 학생들 간의 단결과 협동성 두 항목에서 여학생들이 평균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교실 학습 환경에 대한 선호가 낮은 집단에서는 교사 지원 항목이 과제 지향, 수업 참여, 탐구 활동 항목과 모두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었고 수업 참여-과제 지향-탐구 활동 항목들이 서로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으나, 상위 집단에서는 교사 지원과 평등성 항목만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