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검색결과 213건 처리시간 0.022초

청소년 감성어휘의 학령별 뇌파분석에 따른 공동주택 커뮤니티 시설 계획 (Planning of Apartment Community Facilities according to EEG Analysis by School Age of Youth Emotional Words)

  • 황연숙;김주연;장아리;임은영;정현원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181-189
    • /
    • 2014
  • Adolescence is differentiated from other development stages for the significant physical and emotional changes a person goes through that stage. This study has surveyed communal residencies in the Seoul area and the community facilities within them and has analyzed their correlation with the adolescents' emotional reactions according to their school age.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evaluating the perceptions of teenagers towards learning, cultural, and exercise facilities. These adjectives were positioned on the IRI adjective images to obtain representative words such as "noble", "gentle", and "cheerful" for the purpose of analysis. Furthermore, each representative word was assigned a color and then made into a simulation for the EEG experiment. The EEG signals of the teenagers in different educational levels indicated that EEG signals of high school students were more activated compared to that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both groups responded to the "cheerful" images with high EEG signals. Therefore, in order for community facilities within communal residencies to actively support and activate leisure and academic activities for adolescents, they have to be connected to their emotional characteristics. It is also important to minutely plan according to their school age.

스마트러닝 기반 과학수업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과 학습만족도 분석 (An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SMART Learning-based Science Instruction)

  • 박수경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727-737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과학수업을 위한 스마트러닝 기반의 수업 모듈을 개발 적용하고 학생들의 인식과 만족도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2학년 천문단원의 태양계 행성과 달의 위상을 주제로 3가지 유형의 모듈을 개발하였고, 중학생 207명을 대상으로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에 참여한 모든 학생들에게 태블릿PC를 제공하였고, 천문교육용 앱 Solar Walk, 미러링 기능, QR코드, 구글 프리젠테이션 등을 활용하여 학교와 가정에서 학습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인식조사 도구는 스마트러닝 수업에 있어서 자기주도적 학습(Self-directed), 학습동기유발(Motivation), 학습자 맞춤형(Adaptiveness), 정보기술활용(Technology Embedded)의 4가지 요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리커트 5척도의 총 2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습만족도 검사도구는 Keller (1987)의 만족도 영역의 검사 항목을 번안 및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스마트러닝 기반의 과학수업에 대한 인식과 학습 만족도를 밝히기 위하여 연구대상 학생들의 성별과 과학성취도 수준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러닝 기반의 수업에 대하여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학성취도가 높은 집단이 자기주도학습 요인과 학습동기유발 요인에서 성취도가 낮은 집단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학습 만족도 측면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학업능력이 높은 학생들일수록 스마트러닝 기반의 과학수업에 대하여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과학 분야 스마트러닝 활성화를 위한 방향 설정과 실질적인 프로그램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Educational Programs Offered by Science Museums

  • Chang, Hyun-Sook;Lee, Hyun-Ju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8호
    • /
    • pp.755-764
    • /
    • 2007
  • This study examines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use of science museums in their teaching and their perception/evaluation/utilization of the educational programs in Korean science museums. We found that teachers do not use science museums in close connection with their formal education; therefore, the students' experiences usually are minimal or are personal experiences. The main reason for this infrequent use of science museums is not because of their insignificant educational effects, but because of the lack of extern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systems. Science teachers want the museums to have structured/organized programs such as science camps or experiments and a lending program which would provide experimental equipment and exhibits relevant to the school science curriculum. 90% of teachers who answered the survey wanted to participate in developing and managing the educational programs of science museums. The educational programs would be used more effectively in relation to formal science learning if the science teachers, who are science education professionals, participated in managing and planning the educational programs of science museums.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첨단과학기술에 대한 인식 및 관련지식 조사 연구 (A Survey on Perception and Knowledge of Science-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in Middle-school Level about High Technology Related to Science)

  • 김영민;박수경;이승우
    • 영재교육연구
    • /
    • 제20권3호
    • /
    • pp.901-91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과학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들의 첨단과학에 대한 기본 인식 및 관련 지식을 비교하기 위하여 설문도구를 제작하여 투입한 후 결과를 분석하였다. 과학영재집단은 부산, 울산 지역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소속 중학생 113명이었고 일반학생 집단은 부산광역시 소재 2개 중학교의 159명이었다. 설문문항은 첨단과학에 대한 기초인식 조사와 관련 지식 조사 두 가지 분야로 구성하였다. 기초인식 조사 결과, 첨단과학 전반에 대한 인지도 수준 및 관심과 흥미 측면에서 과학영재학생이 일반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첨단과학에서 알고 싶은 분야, 첨단과학 관련 정보의 출처, 첨단과학에 대한 교수 학습 방법의 선호도 등에서도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 간에 차이가 나타났다. 실생활과 관련이 깊은 첨단기술인 휴대폰과 LED를 소재로 구체적인 지식을 조사한 결과, 안테나 없는 휴대폰과 LED의 배경 지식인 전자기파나 반도체에 대해서 과학영재학생들은 일반학생들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이해도를 보여주었다.

한의사 교의 사업을 통한 소아청소년기 금연 교육의 효용성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Youth Smoking Cessation Education through the Program by School Doctor of Korean Medicine)

  • 김동수;성현경;신선미;고호연;박정수;이승환;박장경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62-71
    • /
    • 2018
  • Objectives Childhood & adolescence is the most crucial period in a lifetime to learn ability to maintain one's health even though this period usually has the least death rate or illness. Smoking is the one of the most common cause of one's death and illness, but can be avoida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smoking cessation education through the program by school doctor of Korean medicine. Methods In 2017,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d the Seoul Korean medicine association implemented the program by school doctor of Korean medicine including smoking cessation education for 2 elementary schools (470 students) and 3 middle schools (1,106 students). And we carried out questionnaire to 211 people (1 elementary school and 1 middle school) and analyzed the results. Results The score in regards to smoking knowledge, before and after education, was increased from 3.35 to 4.22. The score in regards to negative perceptions about smoking, before and after education, was increased from 17.62 to 18.08. Conclusions After the smoking cessation education through the program by school doctor of Korean medicine, participants were highly satisfied because their knowledge about the smoke was increased as well as negative perception of the smoke. Therefor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moking cessation programs will be needed.

에너지교육에 대한 학교 조직 내 관리집단과 교수집단의 인식 수준 차이 (Perspective of Energy Education: Comparison between the Management Group and the Teaching Group)

  • 서은정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1권5호
    • /
    • pp.105-11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compare the management group' and the teaching group' perception of energy education in Kore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at schools participating in the energy saving polic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six managers and 171 teachers in middle schools. Fir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both the management group and teachers have a considerable interest in teaching energy saving practice. How ever the management group showed more preference toward teacher-leading courses, such as lecture, compared to the teachers Second, both the management group and teachers tended to take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ird, the manager group mostly got energy educational resource from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textbook and teacher's companion. However the teachers mostly did from the mass media. Fourth, compared to the teachers, the managers preferred to allot more budgets to school facilities than to activities related to educating students related to energy. Fifth, the management group pointed out curriculum-making and more budget as the necessity to enhance energy education but the teaching groups did students' interest. Sixth, both the management group and teachers emphasis on the need of energy education.

중등학생들이 생각하는 융합인재에 대한 이미지 유형 탐색 (Exploring the Image Types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about the Talented Person in Convergence)

  • 이준기;이태경;신세인;정덕호;오상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1486-1509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생들의 융합인재에 대한 이미지는 어떤 유형으로 형성되어있는지 알아보고, 융합인재교육(STEAM)을 경험한 학생과 그렇지 못한 학생들 간에 융합인재 이미지 유형에 있어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남부권 소재 중등학생 187명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들로 하여금 자신이 생각하는 융합인재에 대해 그림을 그리고 간략한 설명을 적도록 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를 귀납적으로 범주화하여 중등학생들의 '융합' 및 '융합인재'에 대한 인식을 탐색적으로 알아보았다. 그 결과, 중등학생들의 융합에 대한 인식은 크게 '개인인지과정으로서의 융합', '집단인지과정으로서의 융합', '산물로서의 융합'으로 크게 범주화되었다. 융합인재에 대한 이미지는 '개인인지과정으로서의 융합'의 하위유형으로 '두뇌수준 사고융합형', '누구나 아는 유명 인사형', 생활의 달인형', '다양한 직업인형', '문제해결자형', '창조적 개발자형', '실존하지 않는 이상적 인간형'이 있었으며, '집단인지과정으로서의 융합'의 하위단계로는 '전문가 집단형'과 '학생 집단형'이 있었고, '산물로서의 융합'의 하위단계에는 '단순 융합체형'이 나타났다. 중등학생들은 융합인재교육의 경험유무에 따라서 서로 다른 유형의 이미지가 형성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등학생의 영어 다독 인식 및 다독 수업 모형 개발 (Korean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English Extensive Reading and Development of an ER Class Model)

  • 전영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462-469
    • /
    • 2020
  • 본 연구는 고등학교 영어교육에서의 영어 다독 지도 방안을 연구하기 위해, D 광역시에 소재한 두 개의 인문계 고등학교를 방문하여, 본 연구자가 영어 다독에 대한 소개와 수준별 읽기 도서를 고등학생들에게 직접 체험하게 한 후, 영어 다독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또한, 중학교뿐 아니라, 고등학교에서도 자유학기제가 확대됨에 따라 영어교사들의 영어 다독 수업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배경을 토대로 자유학기제에 활용 가능한 영어 다독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자 했다. 본 연구에 참여한 고등학생 35명은 영어 다독에 대한 안내 및 체험 후, 다독 중심의 영어 독해 공부를 시도해 보고 싶은 생각이 있다고 밝혔다(91.4%). 도움이 된 다독 체험 요소로는 '다섯 손가락 원칙'과 '수준별 도서 목록'을 들었다. 영어교사들과 이루어진 인터뷰에서 교사들은 자유학기제에 활용 가능한 영어 다독 수업 모형에 대한 개발 요구를 피력했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에서 실제 이뤄지고 있는 수행평가 중심의 영어 다독 수업과 더불어 자유학기제에 활용 가능한 도서관 활용 다독 수업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스크래치데이 참여학생들의 SW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A Perception on SW Education of Students with Scratch-Day)

  • 김수환;한선관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461-470
    • /
    • 2014
  • 본 논문은 스크래치데이 행사에 참여한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SW 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2013, 2014년에 실시된 스크래치 행사에 참여한 558명의 학생에게 창의컴퓨팅 교육을 실시하고, 학생들의 인식을 묻는 설문을 통하여 우리나라 SW 교육의 인식을 파악,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은 창의컴퓨팅 교육을 재미있고, 유용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학교교육에서도 교육이 이루어지기를 희망하고 있었다. 또한, 사용의도 측면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사전에 스크래치 교육을 경험한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유용성, 사용의도에서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에서는 창의컴퓨팅 교육의 재미, 용이성, 유용성이 학교교육에 적용해야 한다는 인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SW교육이 초 중등 교육에서 필요하며 학교 현장에서 적용 가능성을 도출하였다.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학생 질문을 촉진하는 방안으로서의 주단위 보고서의 효과 (The Effects of Weekly Reports as a Method for Encouraging Student Questions in Middle School Science Instruction)

  • 강훈식;이성미;권은경;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85-392
    • /
    • 2006
  • 이 연구는 학생들의 질문을 촉진하는 방안으로서의 주단위 보고서가 중학교 과학 수업에 미치는 영향을 개념 이해도, 학업 성취도, 개념도, 수업 처치에 대한 인식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중학교 1학년 211명을 통제 집단과 WR 집단으로 배치한 후, '물질의 세 가지 상태', '분자의 운동', '상태 변화와 에너지'에 대해 총 18차시 동안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이 기간 동안 학생들은 주단위 보고서를 총 6회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 개념 이해도 검사에서는 WR 집단의 점수가 통제 집단의 점수보다 높았으며,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학습 전략에 따른 개념 이해도 점수를 비교한 결과, 피상적 전략을 사용하는 학생들의 경우 WR 집단의 점수가 통제 집단의 점수보다 높았으며,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심층적 전략을 사용하는 학생들의 경우에는 WR 집단의 점수가 통제집단의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높은 경향성을 보였다. 학업 성취도 검사와 개념도 검사에서는 WR 집단의 점수가 통제 집단의 점수보다 높았고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했으나, 수업 처치와 학습 전략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수업 처치에 대한 인식 검사 결과에서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주단위 보고서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