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ddle School, Continuity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초

일부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흡연예방교육 시행의 효과 (Effects of A Well-Designed Program for Smoking Prevention Applicated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 황혜숙;전진호;김원중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71-182
    • /
    • 2004
  • Objectives: Smoking, especially among youth, has been increasing in Korea.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newly developing well-designed packaged smoking prevention program (PSPP)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propose further ideas about the program. Methods: The subjects were middle school students enrolled in one Busan city middle school. The effects of the PSPP were evaluated through intervention and follow-up. The PSPP was executed for 10 hours during the semester of middle school freshmen by the author as a position of health teacher, from 1999. After PSPP, cognitions and experiences about smoking were assessed annually from February, 2000 to 2002 by questionnaire. The responses of the educated group and the non-educated group (enrolled in the school at 1998) were compared through chi-square test and odds ratio (OR) and 95% confidence interval (CI) using SPSS program (ver 10.0). Results: In the three years' follow-up study on the students enrolled in 1999, the proportion of habitual smoking increased significantly (p<0.001); freshmen 0.2%, sophmore 1.7%, junior 5.0%. However, these level were lower than the results of national study; freshmen 1.1 %, sophmorer 6.3%, junior 8.5%. Also, the risk of smoking based on the response of 'smoking is hazardous to my health' increased by higher grading. In the comparison of educated and non-educated group, the proportion of the habitual smoking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educated group(5.0%) than in the non-educated group(13.5%) (OR [95%CI]=0.33 [0.20∼0.57]). The response rate of 'smoking is hazardous to my health' was higher (OR [95%CI]=4.42 [2.52∼7.77]), and that of 'maybe smoking in the future' was lower (OR [95%CI]=0.43 [0.31∼0.59]) in the educated group than in the non-educated group. Conclusions: Though there is not enough information and it was a relatively short evaluation period, this PSPP is considered to be effective in smoking preven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Interests and continuity would be emphasized for the success of smoking prevention programs for younger subjects.

초, 중등 영어 교과과정 연계성 인식 조사를 위한 설문도구 개발 (Development of Survey to Inquire Continuity of English Curriculum betwen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 원은석;전영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68-579
    • /
    • 2016
  • 본 연구는 영어 교사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초, 중 영어 교육과정의 연계성 인식조사를 위한 설문도구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총 3단계에 걸쳐 문항개발 절차를 기획하였다. 초기 단계로 연구의 틀을 정립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대상으로 키워드 추출법을 적용하여 주요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이후 단계로, 교사들의 의견 수렴을 위한 개방형 설문조사를 102명의 초, 중등 영어교사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그 중, 22명을 표집하여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설문결과와 인터뷰 자료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 설문 문항을 작성하였다. 최종적으로 7개 요인으로 구성된 40개 문항과 응답자들의 의견을 적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3개의 개방형 문항을 더하여 전체 43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도구를 개발하였다.

중학교 과학 3 'II. 생명의 연속성' 단원의 개념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조사 (A Survey on Middle School Students' and Biology Teachers' Cognition of Biological Concepts in the Unit 'The Continuity of Life')

  • 민효정;정영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1-29
    • /
    • 1997
  • Many middle school students hav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biological concepts because too many concepts are presented in the textbook compared to limited school hours. So, it is necessary to select concepts which are indispensa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key concepts in the unit 'The Continuity of Life' by surveying students' and teachers' cognition on the concepts. In this study, 78 concepts were extracted from 'Science 3', unit II 'The Continuity of Life'. To survey how students and teachers think the concepts, Likert type questionnaires were made. 300 thi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nd 34 biology teachers were selected by random sampling and the questionnaires were appli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1. Students thought 59 concepts out of 78 were important and the mean score of important level of the concepts was 3.60. Students thought 26 concepts out of 78 were difficult and the mean score of diffculty level'of the concepts was 3.26. The more they think the concepts important, the more they think them difficult (r=0.7462, p<0.001). 2. Teachers thought 55 concepts out of 78 were important and the mean score of important level of the concepts was 3.82. Teachers thought 33 concepts out of 78 were difficult and the mean score of diffculty level of the concepts was 3.31. The more they think the concepts important, the more they think them difficult (r=0.6138, p<0.001). 3. The selected concepts were considered more important by teachers than by students(t=2.0150,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valuating the difficulty level of the concepts(t=0.7327, p>0.05). 4. It was found that students hav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concepts when they are presented in the textbook to require formal preparation than concrete preperation(t=2.6612, p<0.05).

  • PDF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이용한 진료 연속성이 당뇨 관련 예방 가능 입원에 미치는 영향 분석: 중·고령군을 중심으로 (Effects of Continuity of Care on Diabetes-Related Avoidable Hospitalizations among Middle- and Old-Aged Patients: Analysis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s Data)

  • 김보아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77-287
    • /
    • 2019
  • Background: Diabetes is known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ambulatory care sensitive conditions. This study purposed to assess the status of continuity of care (COC) and diabetes-related avoidable hospitalizations (DRAHs) of a group of middle- and old-aged patients and to observe the relationship of the two elements by the two age groups. Methods: This study utilized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s National Sample Cohort data and the subjects are diabetes patients of 45 and over, classified into two groups of 'middle-aged'(45-64 years) and 'old-aged'(${\geq}65years$) patients. The dependent variable was DRAHs, which was defined in accordance with the definition of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Health Care Quality Indicators" project. COC, as an independent variable, is measured by the COC index in this study. Two-part model (multi-variate and multi-level analyses) was utilized. Results: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tatus and the number of DRAHs differed by each age group. Meanwhile, the two-part model showed that higher COC was associated with a lower risk of preventable hospitalizations in both middle- and old-aged groups. Conclusion: Study findings can provide health policy insights and implications in order to strengthen the primary care system for further improvement of diabetes management, especially for middle- and old-aged groups.

통합체육 배구활동이 지적장애학생의 운동지속과 학교생활만족에 관련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Continuation of Exercise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Volleyball Activities.)

  • 배광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7호
    • /
    • pp.109-114
    • /
    • 2019
  • 본 연구는 통합체육 배구활동이 지적장애학생의 운동지속과 학교생활만족에 관련한 현상학적 연구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갖고 분석한 결과 통합체육 배구프로그램은 학교생활 만족에 운동실력을 습득하며 협동심을 통해 교우관계가 친밀하게 유지되었으며, 지적장애학생 참여자들은 통합체육 배구프로그램을 체험하면 할수록 운동실력의 향상으로 몸이 유연해졌으며, 협동심을 통해 교우관계 친밀 유지, 학교의 소속감, 운동의 공감대, 운동실력 습득의 성취감, 운동 준비과정에서 자신감과 자립심 등이 함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통합체육 배구프로그램을 통해 장애학생들의 운동지속과 학교생활만족도에 대한 한계와 불만족을 극복하고 통합교육에서 추구하는 통합을 이룰 수 있다.

확장적 과학 탐구 과제의 특징이 중학생의 탐구 동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aracteristics of the Extended Science Investigations Tasks on Middle School Students' Motivation for Investigation)

  • 윤혜경;박승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2
    • /
    • 2001
  • 확장적 과학 탐구는 실제의 과학 활동에 보다 가까운 포괄적인 과학 탐구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학교 과학교육에서 추구되어야 하며 이러한 탐구 활동을 통한 교육적 성취 중 중요한 하나가 탐구 동기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확장적 과학 탐구 과제의 특징인 실제성, 개방성, 연속성이 중학생의 탐구 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인 사례 분석을 통하여 탐색하였다. 탐구 동기를 조사하기 위한 설문 결과와 학생들의 과학 학습 성취 수준을 고려하여 면담 대상 학생 10명을 추출하였으며 개별 면담 결과를 기록하여 탐구 동기의 변화 사례 및 원인을 분석하였다. 확장적 탐구에 대해 정적 탐구 동기를 나타낸 학생들은 교과서 탐구가 이론의 확인에 그친다는 점에서 비판적이었으며 확장적 탐구 과제의 실제성과 개방성을 정적 탐구 동기의 주요 원인으로 인식하였다. 또 확장적 탐구에 대해 부적 탐구 동기를 보인 학생들은 교과서 중심의 학습을 강하게 선호하였으며 확장적 탐구 과제의 개방성을 부적 탐구 동기의 주요 원인으로 인식하였다. 연속성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반응보다는 부정적인 반응이 다소 많았으나 탐구 동기의 주요 원인으로 인식되지는 않았다.

  • PDF

가정과 교육에서의 부모교육 - 중·고등학교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 (Parent Educa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 정순화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5-3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중 고등학교 기술 가정교과의 '인간발달과 가족'영역의 내용체계와 연계하여 부모교육을 실시하는 방안을 모색 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5개정 기술 가정교과의 '인간발달과 가족'영역의 내용체계와 2016년 여성가족부에서 제시한 대학생을 위한 예비부모교육 표준강의안의 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그 연계성과 위계성을 고찰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2015개정 중학교 기술 가정교과 '인간발달과 가족'영역 내용체계는 대학교 예비부모교육 표준강의안 구성내용과 연계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015개정 고등학교 기술 가정교과 '인간발달과 가족'영역 내용체계는 대학교 예비부모교육 표준강의안 구성내용과 연계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2015개정 중 고등학교 기술 가정교과 '인간발달과 가족'영역의 내용체계와 대학교 예비부모교육 표준강의안은 위계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부모교육을 중 고등학교 가정과 교육내용과 통합하여 실시하는 것이 효율적인 방안임을 논의하였다.

Factors Influencing Housing Satisfaction in the New Middle-Aged Rural Returnee Generation

  • Joong-Ho CHOI;Sun-Ju KIM
    • 융합경영연구
    • /
    • 제12권2호
    • /
    • pp.51-60
    • /
    • 202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housing satisfaction of the new middle-aged who returned to farming to derive the implications of real estate policies to resolve regional imbalanc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As a result, this study used secondary data, housing survey data, and identified factors influencing housing satisfaction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well as basic analysis such a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Previous studies, in particular, mainly focused on aging, retirement, economic activity, and retirement preparation, but this study was able to derive predictive factors that can increase the persistence of living after returning to farming by analyzing housing satisfaction for the new middle-aged, and as a result, suggest implications for resolving regional imbalances.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housing structure status had the greatest influence among the three factors of housing-related predictors: housing structure status, facility accessibility, and surrounding environment, suggesting that policy alternatives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the housing structure itself should be prepared rather than facility accessibility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housing structure to increase the continuity of living for the new middle-aged after returning to farming, and presented follow-up research directions on the need for complementary research in addition to individual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limitations of secondary data, and the lighting of research on the new middle-aged and other generations who did not return to farming.

사교육금지정책과 계급이동의 관계에 관한 실증분석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Private Tutoring Prohibition Policy and Class Mobility)

  • 장수명;한치록;여유진
    • 한국사회정책
    • /
    • 제23권1호
    • /
    • pp.179-202
    • /
    • 2016
  •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 1-12차 자료를 활용하여 과외금지정책이 계급이동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사교육금지정책은-사교육비를 집중적으로 지출하고 교육정보가 집중된 중상층 이상에서 사교육 효과가 상대적으로 더 클 가능성으로 인해-사회이동성을 제고할 수 있다는 것이 본 연구의 기본 가설이다. 오즈비와 이중차분방법을 이용한 본 연구의 분석결과, 사교육을 금지한 과외금지 세대가 그 이전 세대에 비해 세대간 계급 이동이 더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중학교 평준화의 중첩된 효과를 통제한 후에도 과외금지세대가 다른 세대에 비해 세대 간 이동이 더 높았다. 다만, 과외금지 해제 이후 세대의 세대간 이동을 과외금지세대와 비교하기에는 자료에 한계가 존재한다는 점에서 추후 추가적인 분석이 요구된다. 한편 계급이동은 단순히 하나의 정책이 영향을 미쳤다기보다는 중학교 평준화 정책, 과외금지,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 등이 종합적으로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된다. 인적자본축척 효과의 장기성을 감안할 때 교육정책의 기간과 지속성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 이들 정책의 영향에서 확인된다.

자유학기제 정책에 따른 A중학교 학교변화 사례 분석 (An Analysis of School Change of A Middle School according to the Free Semester Policy)

  • 이인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호
    • /
    • pp.33-42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자유학기제 정책에 따른 학교변화의 사례를 분석하여 2016년의 전면 실시를 앞두고 있는 자유학기제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중학교의 학교변화 사례를 질적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중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학기제를 통해 전반적인 학교변화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학교 운영 구조적 측면과 학교 구성원의 심리적 측면에서의 변화를 동시에 추진해야 한다. 둘째, 자유학기제 운영의 초점을-학습 개선 또는 진로체험 중 어디에 둘 것인지를 선택하여 실천 전략을 구체화해야 한다. 셋째, 자유학기제 정책의 일관성과 지속성에 대한 학교 구성원들의 기대와 신뢰를 향상시키고, 교육청 차원에서는 교사의 교육활동과 관련된 수업시수 조정, 학급당 학생수 감축과 평가부담 해소 및 교사의 교육활동 이외의 업무를 경감시키는 지원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