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d-mountainous area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9초

지하수 양수량에 따른 지하수유동 및 포획구간 특성 변화 (Characteristics of Ground Water Capture Zone according to Pumping Rate)

  • 안승섭;박동일;오영훈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895-903
    • /
    • 2013
  • This study analyzed on characteristics of the ground-water capture zone in coastal areas and mid-mountainous area according to pumping rate. For this study, it targeted Jejudo island where is the volcanic island. To analyze, MODFLOW model and MODPATH model, which are the ground-water flow analysis models, were used. As a result of research,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obtained. As a result of analyzing influence of a change in pumping time upon length of capture zone, the length of capture zone in coastal area was indicated to be greater in the changing ratio compared to the length of capture zone in mid-mountainous area. Next, in the coastal area, the pumping rate and the capture-zone length are changing similarly. However, in mid-mountainous area, the length of capture zone was indicated to grow when the pumping rate comes to exceed 1,500m3/day. As a result of analyzing influence of a change in pumping time upon capture area, the tendency of a change in the area was indicated similarly in coastal areas and mid-mountainous area. Especially, it could be known that the larger pumping rate leads to the more definite increase in tendency to a change in capture area. Based on this study, it was allowed to be possibly used in the suitable pumping rate in coastal areas and mid-mountainous area of the volcano island in the future. A follow-up research is judged to necessarily analyze the influence of tubular-well group upon capture zone by additionally analyzing a change in capture zone targeting the concentrated tubular well.

Nutrient composition and in vitro fermentability of corn grain and stover harvested at different periods in Goesan, a mountainous area

  • Nogoy, Kim Margarette;Zhang, Yan;Lee, Ye Hyun;Li, Xiang Zi;Seong, Hyun A;Choi, Seong Ho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1권1호
    • /
    • pp.18-27
    • /
    • 2019
  • With South Korea's limited capability of feed production because of its relatively small cultivable area, the country is pushed to depend on foreign feed imports despite the immensely fluctuating price of corn. Hence, intensive efforts to increase the total cultivable area in Korea like extending of farming to mountainous area is being practiced. Corn was planted in Goesan County, a mountainous area in the country. Grain and stover were harvested separately in three harvest periods: early-harvest (Aug 8), mid-harvest (Aug 18), and late-harvest (Aug 28). The nutrient composition such as dry matter (DM), crude protein (CP), crude fat (EE), organic matter (OM),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non-fibrous carbohydrates (NFC) was determined after harvest. Effective degradability (ED) of the major nutrients (DM, NDF, ADF, and CP) were measured through in vitro fermentation of rumen fluid from Hanwoo (Korean cattle). pH, ammonia-N concentration, volatile fatty acid (VFA) concentration, and gas production were periodically measured at 0, 3, 6, 12, 24, 48, and 72 h. Corn grain showed higher nutrient content and ED than stover. It also had higher gas production but its pH, ammonia-N, and total VFA concentration were lower than corn stover. The best nutrient composition of corn grain was observed in early-harvest (high CP, EE, NDF, OM, NFC, and low ADF). Early-harvest of corn grain also had high effective degradability of dry matter (EDDM), effective degradability of neutral detergent fiber (EDNDF), effective degradability of acid detergent fiber (EDADF), and total VFA concentration. On the other hand, the best nutrient composition of stover was observed in mid-harvest (high DM, CP, NDF, and low ADF). EDDM, EDNDF, and EDADF were pronounced in early-harvest and mid-harvest of stover but the latter showed high total VFA concentration. Hence, early and mid-harvested corn stover and grain in a mountainous area preserved their nutrients, which led to the effective degradation of major nutrients and high VFA production.

산지훼손 유형에 따른 경관 선호의 변화 (The Visual Preference for Damaged Mountainous Landscape)

  • 허준;김대수;주신하;김충식;안명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71-80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criteria for the damaged mountainous landscape based on the shape, location and ratio of damaged landscape. For the study, the preference and landscape adjectives were analyzed on visual images and simulations. The variables for analysis were the amount of the damaged ratio(10%, 30%, 50%), the location of the damage (upper, middle, lower) and the various forms of the damage(spot, line, are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damage, the visual preference recorded its lowest with the a rate of 50%. As for the location of the damage, the lower-ridge of the mountain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and the upper-ridge was recorded as the lowest. The linear damage type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On the other hand, the spotted damage type showed lowest.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visual preference increases when there is a lower ratio of damage, as the damage locates at the lower-ridge, and also when there is a presence of linear formation development. The group of linear formation-the lower ridge-10%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and the group of linear formation-the mid ridge-50% was the lowest with the results of 3-way ANOVA. The group of linear formation-lower ridge-10% in particular had virtually no differences of visual preference when it was compared with the original scene. The damage with the spotted formation, on the mid-upper location and the high ratio of damage were analyzed as factors that give negative influence on the mountainous landscape. The main features of mountainous landscape were reduced into two factors, 'total estimation' and 'spatial scale' by the factor analysis with total variance of 65.96%.

이앙시기가 중산간지 고품질 쌀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ansplanting Times on Rice Quality in Mid-mountainous Area)

  • 강종래;김정태;백인열;김정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33-36
    • /
    • 2005
  • 재배시기가 중산간지에서 생산된 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중산간지에 추천된 품종(삼천벼, 상미벼, 화영벼, 주남벼)을 대상으로 5월 10일부터 6월 9일까지 10일 간격으로 4회에 걸쳐 이앙${\cdot}$재배한 3년간의 결과를 분석한 쌀품질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식미치 분석결과 재배시기와 품종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어, 5월 10일 이앙재배에서는 상미벼, 화영벼, 주남벼가 삼천벼에 비해, 5월 20일 이앙재배에서는 상미벼와 주남벼가 삼천벼에 비해, 5월 30일 이앙재배에서는 상미벼와 화영벼가 삼천벼와 주남벼에 비해, 6월 9일 이앙재배에서는 상미벼와 삼천벼가 화영벼와 주남벼에 비해 식미치가 높았다. 따라서 상미벼가 4처리의 모든 이앙기에서 식미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아미로스 함량도 재배시기와 품종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인정된바, 5월 10일과 5월 30일 이앙재배에서는 품종간의 아미로스함량에 유의차가 없었고, 5월 20일 이앙재배에서는 상미벼와 삼천벼가 주남벼보다, 6월 9일 이앙재배에서는 상미벼와 삼천벼가 화영벼와 주남벼 보다 아미로스 함량이 낮게 나타났다. 3. 단백질 함량은 이앙시기 중 6월 9일 이앙이, 품종 중에서는 주남벼가 가장 낮았다. 4. 완전미의 수량은 이앙시기 및 품종간의 유의차가 없었다. 5. 백미의 수량은 5월 20일 이앙이 5월 30일과 6월 9일 이앙재배보다 높았고, 품종간의 유의차는 없었다. 6. 본 실험 처리 중 중산간지 고품질 쌀 생산에 가장 유리한 이앙기는 5월 20일, 품종은 상미벼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질소시비량이 중산간지 고품질 쌀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ogen Fertilizer Rates on Rice Quality in Mid-mountainous Area)

  • 강종래;김정태;백인열;김정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37-40
    • /
    • 2005
  • 중산간지에서의 질소 시비량(0, 5, 7, 9, 11, 14, 17kg/10a)이 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3가지 품종(상미벼, 화영벼, 주남벼)을 대상으로 하여, 2개년간의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식미치는 질소시비량과 품종과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즉 주남벼의 경우는 질소시비량에 따른 식미치의 차이는 없었으나, 화영벼의 경우는 질소 무비구가 5, 7, 17kg/10a 시비구보다 식미치가 높았으며, 상미벼의 경우는 7kg 시비구가 9, 11, 14, 17kg 시비구보다, 0, 5kg 시비구가 14, 17kg/10a 시비구보다 식미치가 높았다. 결과적으로 식미치는 품종에 따라 질소시비량에 대해 다르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Amylose 함량은 질소시비량간의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으나, 품종간의 Amylose 함량은 차이가 있어 상미벼<화영벼<주남벼 순으로 그 함량이 낮았다. 3. 단백질의 함량에서는 질소시비량과 품종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인정된바, 주남벼와 화영벼의 경우는 질소시비량에 따른 차이가 없었고, 상미벼는 질소시비량이 적을수록 단백질의 함량이 낮았다. 4. 완전미와 백미의 수량은 질소시비량이 증가할수록 높았고, 품종간의 차이는 없었다. 5. 종전의 표준시비량인 질소 11kg/10a 시비구와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해 새롭게 추천된 9kg시비구간의 쌀의 품질에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6. 본 시험의 결과를 종합하면, 질소시비량에 따른 쌀의 품질은 품종에 따라 그 반응의 차이가 있어, 상미벼는 7kg/10a, 화영벼는 11kg, 주남벼는 14kg의 질소시비 수준에서 품질이 우수하고 수량이 높았다.

기후변화를 고려한 한반도 미래 풍력자원 지도 생산 (Production of Future Wind Resource Map under Climate Change over Korea)

  • 김진영;김도용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앙상블 중규모기후모델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WRF)를 이용하여 2045년부터 2054년까지 21세기 중반의 기후변화에 대한 우리나라 미래 풍력자원 지도를 제작하였고 월별, 시간대별 자원변화를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한반도상에서 강한 몬순 순환으로 인해 뚜렷한 월별 시공간 변동성이 해륙풍에 의한 시간대별 변동성보다 컸다. 풍력자원이 큰 강풍지역은 월마다 지역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즉 겨울철 북서계절풍(여름철 남서계절풍)이 주풍일 때 각각 강원산간과 해상 그리고 남서해안에서 자원이 많을 것으로 전망되었다. 최대풍과 최소풍은 1월, 9월에 각각 나타날 것으로 전망되었고, 시간대별로 내륙과 산간은 일중편차가 컸지만 연안지역은 편차가 작을 것으로 전망되었다. 이는 현재기후에 대한 기존분석결과와는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이 연구에서 생산된 미래 풍력자원 지도는 향후 기후 변화 가능성이 큰 지역의 시공간적 풍황을 감안하여 풍력단지 입지 선정 및 풍력운영을 위한 장기계획 마련에 있어서 유용한 자료가 되리라 기대된다.

제주도 지하수 수질의 광역적 추세 특성 분석 - 염소 및 질산성질소를 대상으로 - (Regional Trend Analysis for Groundwater Quality in Jeju Island - Focusing on Chloride and Nitrate Concentrations -)

  • 김규범;김지욱;원종호;고기원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0권6호
    • /
    • pp.469-483
    • /
    • 2007
  • 질산성질소와 염소이온은 지하수에서 흔히 나타나는 항목으로서 농약의 사용이나 도시화 등에 의하여 주로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동일 지점의 지하수 수질 자료는 관측망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샘플의 수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시계열 자료를 활용한 추세 평가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수계의 분포 특성, 저지대의 낮은 지형 경사, 수리적 특성 및 다공질 지질 특성 등을 고려하여 $500m{\times}500m$ 간격의 격자를 작성하고 격자내에 포함된 수질검사 자료를 모두 취합하여 시계열 데이터를 형성한 후 Sen의 방법을 활용한 수질 추세분석을 실시하였다. 염소이온 농도의 경우에는 추세평가 대상 격자의 10.6%, 질산성질소의 경우에는 22.4%가 1990년대 상반기에서 2000년대 초까지 상향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질산성 질소의 상향 추세는 서부 및 남부의 하부 중산간 지역에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와 간은 원인은 1990년대 이후의 중산간 인근 지역의 개발에 따른 도시화 등에 의하여 나타난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 결과, 제주도 지역의 지하수 관리 정책은 중산간 지역의 수질 변화와 토지이용 변화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추진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벼 조생 고품질 내냉성 "보석" (A New Early Maturity, High Grain Quality and Cold Tolerance Rice Cultivar "Boseog")

  • 남정권;김기영;정진일;신문식;김보경;하기용;고종철;강현중;신운철;모영준;고재권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564-567
    • /
    • 2009
  • "보석"은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에서 2008년도에 육성한 조생 고품질 내냉성 품종으로 주요특성과 수량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평균 출수기가 7월 29일, 남부중산간지에서는 7월 26일로 오대벼보다 3일정도 빠른 조생종이다. 2. 오대벼에 해 주당수수와 수당립수는 많고, 등숙비율은 다소 높으나 현미천립중은 오대벼보다 가벼운 편이다. 3. 위조현상은 없고 성숙기 하엽노화가 늦고 수발아는 오대벼 보다 잘되는 편이다. 유묘기 내냉성은 오대벼와 비슷하나 내염성은 임실율이 높은 품종이다. 4. "보석"은 도열병에 강한 반응을 보이나 줄무늬잎마름병, 흰잎마름병($K_1{\sim}K_3$) 및 충에 약한 반응을 보였다. 5. "보석" 쌀은 심복백이 거의 없고 투명하며 외관 품위가 오대벼보다 양호하다. 6. 쌀수량은 5.03 MT/ha로 오대벼와 비슷하였다.

Impacts of Cropping Systems on the Distribution of Soil Microorganisms in Mid-mountainous Paddy

  • Kang, Ui-Gum;Shin, Woon-Chul;Choi, Jong-Seo;Lee, Yong-Bok;Lee, Young-Ha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480-488
    • /
    • 2016
  • Soil microbes are widely well kn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for sustainable agriculture in terms of crop healthy cultivation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In this context,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soil microbes according to cropping systems were investigated under rice (R)-rice (R), rice (R)-barley (B)-rice (R), and soybean (S)-barley (B)-soybean (S) cropping condition to get basic informations for sustainable agriculture, where barley was grown for winter, in mid-mountainous loam paddy located at the altitude of 285 m above sea level in Sangju area from 2014 to 2015. Estimating from microbial communities by fatty acid methyl ester (FAME) method, a total biomass of bacteria, actinomycetes, and fungi in R-B-R plot was 37% and 40% higher than that in S-B-S and R-R plots, respectively (p < 0.05). In especial, bacteria and fungi were more in R-B-R plot than those in any other ones. B. japonicum, AMF, and mesophilic Bacillus sp. were also greater in S-B-S plot than those. In the community distribution, however, bacteria and actinomycetes showed comparatively high values in S-B-S plot relative to either R-R or R-B-R plot including rice, in which fungi outstanding. In the correlation between microbial biomass and soil properties changed by the cropping, bacteria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N ratio; actinomycetes with exchangeable Ca; fungi with available $P_2O_5$ (p < 0.05). While these microbes showed negative response to water stable aggregates of so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