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d ${\beta}$ Band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글자 시각자극에 의한 집중과 EEG신호의 상관성 (Relativity between Concentration by Letter Visual Stimulus and EEG Signal)

  • 장윤석;한재웅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1277-1282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청소년의 집중과 관련된 EEG신호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글자 시각자극 과제로 제시했을 때 유발되는 EEG신호를 분석한 결과를 제시한다. 시각자극 과제는 글 속에서 틀린 조사들을 찾는 것이다. 본 실험에서는 선행연구결과에 따라 EEG신호 중에서도 특히 SMR파와 중간 베타파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실험결과로서 피험자의 집중력과 상관성이 높은 채널의 위치와 중간 베타파 대역을 제시하였다.

개인인증을 위한 뇌파의 재현성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EEG Reproducibility for Personal Authentication)

  • 정유라;장윤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527-532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개인인증 시 활용 가능한 EEG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확인하기 위하여 뇌파 측정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시각 과제의 유무에 따라 개안 상태와 폐안 상태로 구분하여 뇌파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델타파, 세타파, 알파파, SMR파, 중간베타파, 베타파 및 감마파의 7종류의 주파수 대역으로 나누어 시간에 따른 파워의 변동이 가장 작은 주파수 대역을 관찰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에서는 개안 상태와 폐안 상태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인간의 집중과 관련한 SMR파 및 중간베타파가 시간에 따른 파워의 변동이 가장 작게 관찰되었기에 재현성이 높은 주파수 대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착용형 시야 가리개가 집중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Blindfold in Improving Concentration)

  • 정순철;최미현;김형식
    • 감성과학
    • /
    • 제24권1호
    • /
    • pp.37-44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시야의 좌측과 우측만 가리는 시야 가리개를 이용하여 주변 시야 가림에 따른 집중력 향상 효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사용한 시야 가리개는 가로와 세로 5 cm × 4.8 cm 의 사다리꼴 모양으로 안경의 좌측과 우측에 고정 클립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재질은 검정색의 폴리프로필렌(Polyprolylene)소재를 이용하였으며 클립을 포함하여 무게는 2.3 gram이었다. 건강한 20대 대학생 50명을 대상으로 15일간 시야 가리개를 사용하도록 한 후 정성평가와 정량평가를 수행하였다. 정성평가는 집중력 향상과 시야 가리개의 구조에 대한 설문조사로 진행하였다. 정량평가를 위하여 주의력 집중이 필요한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도록 하면서 뇌파를 측정하였고 전두엽(frontal lobe) 영역인 F4 위치에 대한 Mid β 밴드(15~20Hz) 신호의 파워(power)와 ERD/S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50명 중 80%인 40명이 시야 가리개를 착용하였을 때 집중력이 향상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정량평가 결과 시야 가리개를 착용하고 동영상을 시청하였을 때 ERS peak(p=.023)와 ERD+ERS peak 값이 유의(p=.017)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좌측과 우측의 시야 가리개만을 사용하여도 집중력이 향상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시야를 모두 가리는 덮개 형태 또는 시야의 상측과 하측을 가리지 않더라도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향후 간편한 방법으로 집중이 필요한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웃도어웨어의 착용 쾌적성 평가를 위한 심전도 및 뇌파 분석 (Assessment of the Wear Comfort of Outdoorwear by ECG and EEG Analyses)

  • 정정림;김희은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10호
    • /
    • pp.1665-1672
    • /
    • 2009
  • This study examines the comfort of outdoorwear by electrocardiogram (ECG) and electroencephalogram (EEG) analyses. An experiment that consisted of rest (30 min), exercise (30 min), and recovery (20 min) periods was administered in a climate chamber with 10 healthy male participants. Two kinds of outdoorwear made of 100% cotton fabrics ('Control') and specially engineered fabrics having the feature of quick sweat absorbency and high speed drying fabric ('Functional') are evaluated in the experiment. ECG and EEG signals were obtained during the rest and recovery periods for the two outdoorwear conditions. The ECG analysis identified a smaller decrement of high frequency (HF) power for the 'Functional'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during the recovery period. Next, the EEG analysis showed that the relative band powers of slow $\alpha$ and mid $\alpha$ increased for the 'Functional' while they decreased for the 'Control' and that the ratio of $\alpha$ power to high $\beta$ power was higher for the 'Functional'. The evaluation results indicate that the participants could remain relaxed more with less stress while wearing the functional outdoorwear that demonstrated the positive effects on autonomic nervous system (ANS) activities. The present study is significant in regard that use of ECG and EEG for the assessment of wear comfort is the first in the field of clothing and text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