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cystis sp.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32초

영천호에서 남조류 독소(microcystins)의 계절적 변동 (Seasonal Variations of Cyanobacterial Toxins (microcystins) in Yeongchun Reservoir)

  • 이경락;정원화;김종민;김영생;최희진;김한순
    • 생태와환경
    • /
    • 제41권2호
    • /
    • pp.264-274
    • /
    • 2008
  • 영천호를 대상으로 2007년 3월부터 12월까지 남조류 발생현황, 환경요인, 남조류 독소인 microcystins의 생성 농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HPLC 분석방법으로 영천호의 계절별 microcystins 농도를 분석한 결과, 각 요인에 따라 뚜렷한 증감패턴을 나타냈다. 계절적 인 우점종이 Anabaena sp.에서 M. aeruginosa로 바뀌면서 microcystins 생성량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현상이 관찰되었고, 주요 출현종 중 M. aeruginosa 밀도와 microcystins 농도 간의 상관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M. aeruginosa 균주들의 높은 독소 생성율을 고려할 때, M. aeruginosa가 남조류 독소인 microcystins 생성에 가장 기여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Microcystins와 환경요인들 간의 상관성 분석결과, 조사된 6개 항목(수온, pH, 전도도, 총인, 총질소, 용존 규소) 중 수온과는 약 $20^{\circ}C$ 이상의 수온범위에서 역의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오수에 따른 식물성 Plankton의 분포조사 (A Study on the phytoplankton distribution in polluted water.)

  • 김병구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1-65
    • /
    • 1978
  • To investigate the phytoplankton distribution effected by polluted water,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at eight sampling places in Tae-jun and one sampling place in Kang-kyong during the period from May 10 to July 25, 1977.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ange of water temperature was 21.0~36.0$\circ$C (May 10~July 25), and pH value was in the range of 3.5~11.0. 2) BOD was generally high (140~432mg/l) 3) At the places where BOD was high, dominant species were Aphanocapsa rivularis, Microcystis aeruginosa and Oscillatoria sp. belonging to Cyanophyta, Chlorella sp. belonging to Chlorophyta, Euglena sp. belonging to Euglenophyta, and Navicula exqua and Navicula sp. belonging to Chrysophyta. 4) At the places where the range of pH value was 3.5~3.8 and the range of BOD value was 134~148mg/l, observable species were Scenedesmus ellipsoideus and Pandorina morurn belonging to Chlorophyta, Navicula exqua belonging to Chrysophyta and Euglena sp. belonging to Euglenophyta. 5) At the places where the range of pH value was 9.0~11.0 and the range of BOD value was 214~220mg/l, a few observable species were Scenedesmus carinatus, Scenedesmus ellipsoideus, Scenedesmus bijuga and Scenedesmus obundance belonging to Chlorophyta.

  • PDF

주암호에서 수질과 식물플랑크톤 군집에 미치는 광 차단효과 (Effects of Light-Blocking on 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Community in Lake Juam)

  • 이용운;이학영
    • 생태와환경
    • /
    • 제36권2호통권103호
    • /
    • pp.150-160
    • /
    • 2003
  • 광 차단에 의한 식물플랑크톤 발생량의 저감효과와 수질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주암호의 복교 지점에서 2000년 8월부터 11월까지 수질, Chl-3 농도, 그리고 식물플랑크톤 종조성과 현존량을 측정하였다. 수온, 투명도, DO, TN, $NO_3-N$, $NH_4-N$, TP DIP COD,55, pH 등의 수질항목의 농도는 차광장치 내부지역과 외부지역에서 약간의 차이가 나타났으나 그 차이는 크지 않아 차광장치에 따른 정체로 인한 수질의 변화는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Chl-a의 농도는 차광장치의 내부에서 더 낮게 나타났는데, 차광지역에서의 Chl-a의 농도감소효율은 -6.6${\sim}$40%(평균 14.7%)였다. 차광에 의한 Chl-a의 저감효율은 Chl-a의 농도가 높을 때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조사기간에 동정된 식물플랑크톤은 1문 5강 11목 21과의 55종이었다. 주요 우점종은 Microcystis aeruginosa, Aulacoseira granulata, Peridinium sp., Synedra spp., Oscillatoria sp., Fragilaria construens, Trachelomonas sp.였으며, 우점종의 변화는 7월의 규조류 우점 ${\to}$ 8${\sim}$9월에 규조류-남조류 혼재기 ${\to}$ 10월의 남조류 우점 ${\to}$ 10${\sim}$11월의 규조류 우점으로 나타났다.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은 9월 22일 차광시설 외부지역에서 최고($1.1{\times}10^4$cells/L)를, 10월 25일 내부($4.7{\times}10^3$ cells/L)에서 최저를 나타냈다. 차광시설에 의한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저감율은 8${\sim}$38% (평균 19.9%)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차광은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저감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진양호와 합천호의 식물플랑크톤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hytoplankton Flora in Chinyang Lake and Hapchun Lake)

  • 김종원;이학영;김맹기;조인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367-371
    • /
    • 1993
  • Phytoplankton flora of Chinyang Lake and Hapchun Lake were studied. A total of 161 species(Chinyang Lake, 135 species; Hapchun Lake, 80 species) were identified. The major species of two lakes were Melosira granulate var. angustissima and M. italica. As the bloom causing species, Microcystis aeruginosa, Ceratium hirundinella, and Peridinium sp. were identified. The chlorophyll a concentration of Chinyang Lake was higher than Hapchun Lake.

  • PDF

부영양 저수지에서 남조류의 발달과 천이 및 영향 요인 (Cyanobacterial Development and Succession and Affecting Factors in a Eutrophic Reservoir)

  • 김호섭;황순진;공동수
    • 생태와환경
    • /
    • 제40권1호
    • /
    • pp.121-129
    • /
    • 2007
  • 본 연구는 부영양 저수지에서 남조류의 발달과 천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그 결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2003년 3월부터 2004년 2월까지 현장 조사를 통하여 남조류 종조성과 밀도변화, 침전특성, 퇴적물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인, 수온, 광도를 달리한 조건에서의 남조류 성장률을 비교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은 봄철(3${\sim}$4월)에 규조류와 편모조류가 우점한 시기를 제외하고는 연중 남조류가 우점하였고, 7월과 11월에 높은 밀도 증가가 관찰되었다. 남조류 우점기간 중 5월에는 Oscillatoria spp., 6월에는 Aphanizomenon sp.이 우점하였고, 7월부터 11월까지는 Microcystis spp.가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Oscillatoria spp.가 우점하고 침강율이 높았던 5월에는 수온, 광도 그리고 TN/TP비가 높았던 반면, Microcystis spp.가 우점한 7월부터 11월까지의 TN/TP비는 상대적으로 낮은 범위 (평균 27)를 보였다. 침강속도는 규조류가 우점한 3월 가장 높았고, 남조류의 우점종 기간 중에서는 5월과 10월이 다른 시기와 비교할 때 빨랐다. 퇴적물의 C/N비는 $6{\sim}8$의 범위였고, 간극수내 무기인의 농도는 심층에 산소농도가 희박(<2mg $O_2$ $L^{-1}$)하였던 시기에 감소하였다. 남조류의 성장률은 영양염 농도와 수온에 크게 의존하였고, 특히 높은 인 농도는 낮은 수온에서도 남조류가 발달하는 원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이 충분하게 공급되는 국내의 많은 소형 부영양 저수지에서 연중 남조류의 발달과 지속가능성을 시사하며, 수질개선과 조류제어를 위해 인의 저감(특히, 퇴적층 관리)을 매우 중요하게 고려해야 함을 강조한다.

임하댐의 탁수 형성후 식물플랑크톤 군집 동태 (Dynamics of Phytoplankton Community after Formation of Turbid Water in Lake Imha)

  • 이경락;최재신;김한순;박정원
    • 생태와환경
    • /
    • 제38권3호통권113호
    • /
    • pp.429-434
    • /
    • 2005
  • 본 연구는 임하호의 고탁수 발생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2003년 5월부터 2004년7월까지 댐축 지점에서 매월 채집하였다. 2003년 9월과 10월의 가장 높은 탁도(1221 NTU) 형성은 태풍(매미)에 동반된 집중 호우 시기와 일치하였다.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은 모두 102분류군이고, 이 중 규조강이 63증류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으며, 녹조강이 23종류. 남조강이 9종류, 시누라조강과 은편모조강이 각각 3종류 그리고 유글레나조강이 1종류가 출현하였다. 총 현존량은 270 ${\sim}$ 4,515 indls. $mL^{-1}$였고, 은편모조강의 Cryptomonas ovata, 규조강의 Cyclotella sp. 그리고 남조강의 Microcystis aeruginosa 등은 고탁수의 감소후 차례로 우점하였다.

봄철 Cyanobacteria 가 우점한 천호지에서 세균군집구조의 변화 (The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in Cheonho Reservoir Dominated by Cyanobacteria)

  • 홍선희;전선옥;안태석;안태영
    • 미생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87-292
    • /
    • 2002
  • 봄철 cyanobarteria가 우점하는 천호지에서 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 (FISH) 방법을 이용하여 세균군집구조를 조사하였다. 조사기간동안 총세균수는 0.6~$1.3{\times}10^7 \cells{\cdot}ml^-1$ 의 범위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 총세균수에 대한 eubacterial group이 차지하는 비율의 경우 29.8~45.8%로 작은 분포를 차지하였다. 세균군집구조를 분석한 결과, $\alpha$-group은 1.4~l2.5%, $\beta$-group은 0.9~4.9%, $\gamma$-group은 0.6~8.3%, $\circledcirc$Cytophaga-Flavobacteruim group은 1.0~8.3%를 나타내어 본 연구에서 조사된 각 group이 차지하는 비율은 낮고 상대적으로 unknown eubacteria의 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군집구조는 일반적으로 다른 담수호에서 나타나는 세균의 군집구조와는 다른 군집구조 이며 특히, aggregates에 부착한 세균 군집구조와 비슷한 양상이었다. 또, cyanobacteria의 조성 이 Anabaena속에서 Microcystis속으로 천이가 일어난 시기에 Cytophaga-Flavobacteruim group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세균군집의 크기는 식물플랑크톤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낙동강 중, 하류 및 덕동호의 시·공간적 남조류 군집 특성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Cyanobacterial Communities in the Middle-downstream of Nakdong River and Lake Dukdong)

  • 박혜경;신라영;이혜진;이경락;천세억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86-294
    • /
    • 2015
  •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cyanobacterial communities at the monitoring stations for Harmful Algal Bloom Alert System (HABAS) in Nakdong River and Lake Dukdong were investigated for two years (2013 to 2014). A total of 30 cyanobacterial species from 14 genera were found at the survey stations. Microcystis sp. showed maximum cell density in the total cyanobacterial community in August, 2014 at ND-2 and in September, 2013 at ND-3 station. Lynbya limnetica and Geitlerinema sp., non-target species for alert criteria showed maximum cell density at ND-1 (August, 2013) and Dam station of Lake Dukdong (September, 2014), respectively. Total cyanobacterial cell density and the relative abundance of four target genera (Microcystis, Anabaena, Aphanizomenon and Oscillatoria spp.) for alert criteria was relatively lower in the mesotrophic Lake Dukdong than at the eutrophic riverine stations of Nakdong River, indicating cyanobacterial density and the RA of target genera is affected by the trophic state of the monitoring stations. Simulating the alert system using phycocyanin concentration as an alert criterion resulted in the longer period of alert issued compared to the period of alert issued using the current criterion of harmful cyanobacterial cell density due to the influence of phycocyanin concentration from non-target cyanobacterial spe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