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bials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8초

카드뮴의 Salmonella typhimurium 변이균주 및 랫드 간장 상피세포에서의 유전독성 (Genotoxicity of cadmium chloride in Salmonella typhimurium and rat liver epithelial cells)

  • 정상희;조명행;조준형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606-613
    • /
    • 1998
  • Cadmium is one of the well-known environmental toxicants and induces cancer in rodents and human, but its carcinogenic mechanism has not been well demonstrated until now. Genotoxic effects of cadmium in Salmonella typhimurium TA98, TA100 and TA1535/pSK1002 or in WB-F344 rat liver epithelial cells were investigated to elucidate the tumor initiating effects of cadmium. TA98, TA100 and TA1535/pSK1002 tester strains were used to detect frameshift mutation, base-pair mutation and SOS repair response, respectively, in Salmonella mutation test. Reverse mutations from histidine to $histidin^+$ of Salmonella typhimurium TA98 and TA100 by $CdCl_2$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ontrol up to the maximum doses ($100{\mu}M$ and $200{\mu}M$ in TA98 and TA100, respectively) at which non-cytotoxicity was observed. DNA SOS repair responses(${\beta}$-galactosidase activity) generally did not show significant increases compared to control in both of the conditions with or without metabolic activation in Salmonella typhimurium TA1535/pSK1002 by $CdCl_2$. But the activities of ${\beta}$-galactosidase by $400{\mu}M$ of $CdCl_2$ in metabolic activation condition and by 130 and $400{\mu}M$ of $CdCl_2$ in non-metabolic activation condition were more decreased than those of control. DNA single strand breaks for 4hrs were observed only in WB-F344 rat liver epithelial cells treated with $200{\mu}M$ of $CdCl_2$. As a conclusion, $CdCl_2$ did not induce gene mutation in microbials but induce DNA single strand breaks in rat liver epithelial cells.

  • PDF

생균제 개발을 위한 유산균의 선별 및 동결건조 보호제의 효과 (Screening of Lactic Acid Bacteria for the Development of Probiotics and the Effect of Cryoprotectant Agents)

  • 임유범;백남수;김영만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41-445
    • /
    • 2001
  • Probiotics를 개발하기 위하여 저온성 및 내염성의 특성을 갖는 균주를 김치로부터 분리하였다. 분리한 3종의 균주를 동정한 결과 MGl9는 Lactobacillus brevis, MG89는 Enterococcus faecium, MG208은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확인되었다. 분리된 3종의 균주에 대한 동결건조 보호제 시험을 한 결과 MGl9는 10% skim milk + l% soluble starch에서 71.4%로 생존율이 가장 높았고 lactose와 mellezitose 에서도 60%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냈다. MG89는 solbitol에서 76.2%로 생존율이 가장 높았고 sucrose, xylitol, mannitol 등에서도 66%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MG208은 fructose에서 64.7%의 생존율을 보였다 인공위액에서의 균 생존율을 시험한 결과 lactose, mellezitose, hlycogen, mannose, xylose 등에서70% 정도의 우수한 생존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시험에 사용된 동결건조 보호제 가운데 몇몇은 유산균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동결건조제품의 제조나 사료첨가제로 제조시 산업적인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두 가지 알코올제제 손마찰과 포비돈 아이오다인의 외과적 손소독 효과 비교 (A Comparison of Antimicrobial Effect of Two Waterless Alcohol-based Hand Rubs with a Povidone-Iodine Hand Scrub for Surgical Hand Antisepsis)

  • 주형례;정재심;김미나;박광옥
    • 임상간호연구
    • /
    • 제15권1호
    • /
    • pp.55-65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1% chlorhexidine gluconate/61% ethanol (CHG/ethanol), 45% ethanol/18% 1-propanol (ethanol/propanol) and 7.5% povidone-iodine (PVI) scrub with brush to evaluate their antimicrobial effect. Method: Utilizing repeated measures design, 9 nurses participated in the study. Glove juice sampling procedure was used to evaluate microbial hand counts before the surgical hand antisepsis, one minute after hand wash, and after the surgery. Results: Waterless rub using CHG and ethanol combination resulted in a 3.94 log reduction at 1 min and 2.78 log reduction at 3 hrs. Ethanol/propanol resulted in a 2.42 at 1 min and 2.22 at 3 hrs. The traditional scrub using PVI with brush resulted in a 0.94 at 1 min and 0.95 at 3 hrs (p=.003) and 3 hrs (p=.026) after the surgical hand antisepsis. Repeated measures ANOVA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 (p=.002). Duncan post hoc test result showed that the PVI was less effective (p<.05) in sterilizing microbials on hands than CHG/ethanol or ethanol/propanol. Conclusion: Both of the two alcohol-based antiseptic rubs are acceptable alternatives to the PVI with brush for surgical hand antisepsis.

미생물제제의 첨가가 면양의 반추대사 및 젖소의 유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crobial Additives on Metabolic Characteristics in Sheep and Milking Performance of Lactating Dairy Cows)

  • 김광림;최선규;최성호;송만강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6호
    • /
    • pp.819-828
    • /
    • 2007
  • 지난 20여년 동안 항생제나 화학 요법의 문제점을 줄이고 외부 환경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장내 미생물들의 균총을 유지시켜주기 위해 살아있는 미생물제제(direct-fed microbial agents, DFM)를 반추가축의 사료에 직접 첨가하고 있다. 반추동물 사료에도 생산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DFM이 널리 이용이 되고 있는데, DFM은 건물섭취량(dry matter intake, DMI)의 증가 및 반추위내에서의 영양소 분해율 향상 그리고 유생산량의 증가와 체온감소 등에 효과적이다(Piva 등, 1993; Higginb- otham 등, 1994; MacGilliard와 Stallings, 1998; Nocek와 Kautz, 2006). 대표적인 DFM으로는 효모균, 곰팡이, 박테리아 및 세포 구성물질 등이 이에 속한다(Beharka와 Nagaraja, 1993; Sullivan과 Martin 1999). 효모 및 효모배양물은 대표적인 DFM의 한 종류인데, 반추가축에게 효모(yeast) 및 효모 배양물(yeast culture)을 급여하였을 때 반추위 내 발효 특성을 변화시키고(Harrison 등, 1988; Martin과 Nisbet, 1990) 반추위 내에서 조단백질과 조섬유의 반추위내 분해율을 개선시키며(Gomez-Alarcon 등, 1990; Williams 등, 1991), 체내 전장소화율(Gomez-Alarcon 등, 1990; Wiede- mier 등, 1987)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Clostridium 균들은 독소를 생산하거나 인체에 유해한 물질들을 생산하여 사람과 가축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주고 있으나, Clostridium butyricum은 장내 유익한 균으로서 유산균과의 공생이 가능하고 반추위 내에서 주요 VFA 생산에 관여하기도 하며(Araki 등, 2002a, 2002b) 많은 종류의 비타민 B군을 생산하여 유산균이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생산되어진 acetic acid와 butyric acid는 장관 상피세포를 흡수되어 상피세포에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어진다고 하였다(김 등, 2001). 낙산균은 주로 단위동물에서 사용되어 왔는데, 일부 복합생균제의 형태로 사용하였을 경우 유해세균이 장 점막을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Fuller와 Brooker, 1974), butyric acid를 생산하여 장내 pH를 저하시키며 항균작용(Under-dahl 등, 1982)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 cerevisiae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균주로써 이의 효과와 효능에 관한 연구는 비육우와 착유우를 대상으로 많이 이루어져 왔지만, 낙산균은 일부 국내 젖소 사육농가에서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단위동물 및 어린송아지의 경우(최 등, 1991)를 제외하고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S. cerevisiae 및 C. butyricum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급여할 때 면양에서의 반추위내 발효성상과 소화율, 그리고 젖소를 이용한 사양시험을 통해 산유량과 유조성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유기사료원료로서 소나무껍질 추출물 피타민의 브로일러에 대한 항생제 대체효과 (Effect of Pitamin as an Antibiotics Replacement for Organic livestock Feed Additives in Broiler Chickens)

  • 김병완;오진석;한완택;박상오;박병성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1-125
    • /
    • 2009
  • 소나무껍질 추출물, 피타민은 인간의 생체 내 여러 가지 생리활성을 높여주는 항산화성 및 항균성 소재로서 널리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브로일러에 대한 유기사료 첨가제로서 소나무 껍질 추출물, 피타민의 첨가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피타민 프리믹스가 첨가된 사료를 부화 후 35일 동안 섭취한 브로일러의 혈중지질, 생산성, 도체특성 및 맹장미생물 변화를 연구하였다. 병아리는 대조구, 항생제 첨가구, 피타민 프리믹스 0.1%, 피타민 프리믹스 0.2% 첨가구로 구분하였다. 브로일러 혈중지질은 피타민 프리믹스 첨가구가 대조구 및 항생제 첨가구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브로일러의 체중은 P 0.1% 첨가구와 항생제 첨가구가 서로 비슷하였으며 P 0.2% 첨가구와 대조구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도체중, 도체율, 도체중에 대한 가슴살과 다리살 무게비율은 P 0.1% 첨가구와 항생제 첨가구가 서로 비슷하였으며 대조구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복강지방 무게비율은 P 0.1%, P 0.2% 첨가구가 항생제 첨가구 및 대조구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흉선 무게지수는 P 0.1%, P 0.2% 첨가구와 항생제 첨가구가 서로 비슷하였으며 대조구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장 내 Bifidobacteria는 P 0.1% 첨가구와 항생제 첨가구가 대조구 및 P 0.2% 첨가구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본 시험에서 나타난 중요한 점은 피타민 5.0%를 함유하는 프리믹스 0.1%를 브로일러 사료에 부화 후 35일 동안 첨가 급여해 줌으로서 항생제 첨가와 동일한 브로일러의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사실이었다.

  • PDF

화장품(에멀젼형)에서 Pseudomonas aeruginosa의 성장과 방부살균제효과 (Growth of Pseudomonas aeruginosa in Cosmetics(Emulsion-type) and the Effect of Antiseptics)

  • 류미숙;김장규김남기
    • KSBB Journal
    • /
    • 제7권2호
    • /
    • pp.118-125
    • /
    • 1992
  • 1.에멀젼형 화장품시료의 오염정도는 P. aeruginosa의 증식을 촉진하는 fatty acids, waxs, oils, steroids 등의 유기물에 의존하였다. 2. 오염의 결과, 물성의 변화로서 화장품시료의 pH가 40일 경과시 7.6에서 6.0으로 변화되었다. P. aeruginosa의 영양원으로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굴절률을 갖는 물질들이 소모되어 화장품시료(물:오일=70:30)의 굴절률이 1.4430에서 1.4530으로 변화 되었다. 3. 오염이 진행되는 동안 화장품시료의 相의 안정서이 파괴되었으며, 약간의 변색, 변취와 함께 creaming 및 응집현상이 나타났다. 4. P. aeruginosa의 최적증식조건인 pH7.0, 온도$20^{\circ}C$에서, 물과 오일의 부피비에 의한 균증식은 70:30, 80:20, 30:70, 90:10, 50:50의 순서로 되었다. 5. 방부살균제를 첨가하여 challenge test를 한 결과, P. aeruginosa의 증식이 억제되었으며 40일 경과시 균수는 방부살균제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 $10^8$개/ml에서 p-hydroxy benzoic acid propyl ester + phosphoric acid buffer solution첨가로 $5{\times}10^3$ 개/ml로 감소되었다. 6. 시험균주인 P. aeruginosa에 대한 항균력은 p-hydroxy benzoic acid propyl ester + phosphoric acid buffer solution>p-hydroxy benzoic acid buthyl ester + acetic acid buffer solution>p-hydroxy benzoic acid methyl ester + phosphoric acid buffer solution>p-hydroxy benzoic acid methyl ester + p-hydroxy benzoic acid propyl ester>p-hydroxy benzoic acid buthyl ester + potassium chloride sodium hydroxide buffer solution>p-hydroxy benzoic acid buthyl ester + p-hydroxy benzoic acid propyl ester>p-hydroxy benzoic acid methyl ester + acetic acid vbuffer solution>acetic acid buffer solution _ potassium chloride sodium hydroxide buffer solution의 순으로 우수하였으며 pH, 농도, 균수등은 양호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 PDF

콩 단백 효소 가수분해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Soy Protein Hydrolysate with Asp. saitoi Pretense)

  • 주정현;이상덕;이규희;이기택;오만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29-235
    • /
    • 2004
  • 콩 단백질을 효소로 가수분해하였을 때 생성되는 항균활성 Peptide를 조사하고 천연 항균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분리 콩 단백질에 5종의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를 작용시켜 생성된 가수분해물의 항균력을 측정하고, membrane filter를 이용해서 한외여과 하여, 분자량별로 분리된 각 fraction의 항균활성을 측정하였으며, 항균활성이 가장 높은 분획을 high pe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로 분취한 항균성 peptide의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분리 콩 단백질에 5종의 단백질 분해 효소를 작용시켜 제조한 가수분해물 중 Aspergilius saitoi protease로 작용시킨 것이 항균활성이 가장 높았다 Aspergillus saitoi protease로 작용시킨 콩 단백질의 가수분해물을 여과 한계량 10,000, 3,000, 1,000 membrane filter로 cut-off하여 한외여과한 각 fraction의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분자량 1,000∼3,000인 fraction의 항균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Aspergillus saitoi protease로 작용시킨 콩 단백질의 분자량 1,000∼3,000 범위 가수분해물의 MIC는 0.5∼0.8 mg/mL였으며 그람 양성균과 음성균 모두의 증식을 억제하는 경향을 보였다. Aspergillus saitol protease로 작용시킨 콩 단백질의 가수분해물을 121$^{\circ}C$, 10분간 열처리하였을 때도 그 항균활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보았을 때 이는 열에 대단히 안정함을 알 수 있었다. 한외여과하여 얻어진 콩 단백질의 분자량 1,000∼3,000범위 가수분해물을 동결건조하여 HPLC의 결과 얻어 진 peak 별로 분획 수집을 반복하여 항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retention time 16.02(IV)의 peak에서 최고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난황 내 색소의 축적은 산란율과 무관함을 제시하는 증거: 균체가 생성하는 Canthaxanthin의 급여에 의해 강화된 난황의 착색 (Evidence Suggesting that the Deposition of Pigments into Yolks is Independent of Egg Production: Enhanced Pigmentation of Yolks by Feeding Hens with Canthaxanthin Biosynthesized by Microbials)

  • 김지민;김종진;이시형;최양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39-245
    • /
    • 2011
  • 산란율이 착색제의 난황 축적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 균주를 통해 합성된 몇 가지 형태의 착색제를 산란계에게 급여한 후 그들의 난황 착색 능력을 비교하였다. 약 70주령의 하이라인 브라운 산란계 37 수를 6개의 처리구로 나누어 다음의 사료를 4주 동안 급여했다. 1) 착색제를 포함하지않은시판사료(CON); 2) 시판사료에 BASF 사가 제조한 canthaxanthin을 4 ppm 첨가(BASF); 3) 사료 중 canthaxanthin이 4 ppm 포함되도록 canthaxanthin 균체를 시판 사료에 첨가(CX); 4) 사료 중 lycopene이 30 ppm 포함되도록 lycopene 균체를 시판 사료에 첨가(LP); 5) canthaxanthin의 합성 균체로부터 정제된 canthaxanthin 이 시판 사료에 4 ppm 첨가(SPCX); 그리고 6) lycopene의 합성 균체로부터 정제된 lycopene이 시판 사료에 30 ppm 첨가(SPLP). BASF Color Fan으로 측정된 난황의 착색도는 BASF > CX > LP 급여구 순이었다. 실험 초기에 산란율은 처리구간 차이가 있었지만 실험의 종반에 80% 정도였고, 특히 BASF와 CX처리구간에 차이는 없었다. 색소의 난황 축적률은 BASF > CX > SPCX > LP > SPLP 순이었고, 착색제의착색효율["BASF Color Fan score"를 "계란 1개에 포함된 색소의 양(${\mu}g$/egg)"으로 나눈 값]은 SPCX > SPLP > CX > BASF > LP 순이었다. SPLP를 제외하고 착색제들은 $25^{\circ}C$에서 4주 동안 비교적 사료 주의 함량이 변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착색제의 난황 축적률은 산란율에 독립적임을 시사한다.

축산 환경개선제로 생산.유통되는 생균제의 문제점 및 검증방안 (Problems and Verification System of Probiotics as Livestock-environment Improving Agent Produced and Circulated)

  • 이은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87-95
    • /
    • 2008
  • 생균제는 충분하고도 적절하게 사용되었을 때 숙주의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살아있는 미생물이다. Lactobacilli나 Bacillus와 같은 직접투여하는 미생물 (DFM)은 생장을 촉진하기 위하여 사료에 첨가되는 항생제 혹은 식품첨가물보다 장내의 정상균총의 정착에 매우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줄 수 있다. 또한, 생균제가 투여됨으로 해서 면역체계가 강화되고, 감염에 대한 예방효과가 있는데 이는 동물 체내에 병원균이 정착하는 것을 방해함으로서 이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생균제 투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배설물의 분해를 촉진하여 악취를 저감시켜줌으로서 가축의 사육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들어, 환경보호와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이 정착됨에 따라, 환경을 개선하고 우수한 품질의 축산품을 생산하기 위해 가축농가에서는 기존의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의 생균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거의 모든 농가에서 생균제를 사용하고 있다고 해도 무리가 없다. 국내에서 유통되는 생균제는 크게 세부류이다. 첫째는 국립수의과학독성원(NVRQS)에 의해 검증되고 약사법에 의해 관리를 받는 동물의약품으로서의 생균제, 둘째는 시군에서 등록이되는 보조사료로서의 생균제와 마지막으로 미등록된 환경개선제들이다. 그러나, 많은 검증받지 않은 제품이 유통되고 생산됨으로 인해 이를 검증할 방안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개선제로서의 생균제를 검증하기 위한 방안으로, 생균수의 검증, 항생제 내성 검증, 그리고 악취제거능에 대한 검증의 3단계 방법을 제안한다.

양돈용 발효사료의 발효조건 설정 연구 (Establishment of Producing Conditions of Fermentation Feed for Swine)

  • 조성백;김동운;양승학;박규현;최동윤;유용희;황옥화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37-144
    • /
    • 2012
  • 본 연구는 유산균과 효모로 구성된 혼합 생균제를 양돈 사료에 첨가하여 양돈용 발효사료를 제조하기 위한 최적 발효조건 구명 및 발효사료 급여에 의한 돼지 장내 환경변화를 평가하고, 원료사료별 발효능을 측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1. 양돈 발효사료의 유산균과 효모 수를 측정하였을 때 사료 내 혼합 생균제 첨가수준은 0.25%, 수분 함량은 40~50% 정도가 적정하였다. 2. 비육돈에 발효사료를 급여하였을 때가 발효되지 않은 사료를 급여하였을 때보다 소화율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분 중 휘발성지방산의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3. 양돈용 단미사료의 발효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휘발성지방산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비트펄프와 타피오카가 우수한 발효기질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