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bial load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7초

항균소재를 함유한 포장재에 의한 방울토마토의 저장중 품질 특성 변화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rry Tomatoes Packaged with Paper Bag Incorporated with Antimicrobial Agents)

  • 박우포;조성환;김철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1381-1384
    • /
    • 2004
  • 항균성이 있는 것을 알려진 자몽종자추출물을 함유한 포장지를 만들고, 방울토마토를 포장한다음 1$0^{\circ}C$에서 저장하면서 품질 특성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항균포장지로 포장하여 1$0^{\circ}C$에서 저장한 방울토마토의 중량 감소율은 일반적인 필름 포장에 비하여 다소 높은 저장 5일에 6.9∼8.2%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항균포장지로 방울토마토를 포장하고자 할 경우에는 수분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는 골판지 박스 형태의 용기 내부에 항균포장지를 붙혀서 사용한다면 증산작용에 의한 중량 감소를 줄일 수가 있을 것이다. 방울토마토의 저장중 pH와 총산은 시험구간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저장 기간에 따른 변화도 그다지 나타나지 않았다. 가용성고형물이 저장 15일 이후에 다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 것은 방울토마토에 있는 수분 함량이 감소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고형분의 함량 증가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항균포장지로 포장한 시험구는 저장 15∼16일까지 대조구보다 미생물수가 다소 낮게 나타나 포장지에 들어 있는 항균 물질이 방울토마토의 표면에 있는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 10일까지는 모든 시험구에서 부패한 방울토마토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저장 20일에는 대조구 14.8%, 항균제 9% 첨가 포장 시험구 9.9%, 항균제 6% 첨가 포장 시험구 5.4%의 부패율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자몽종자추출물을 함유한 항균 포장지는 방울토마토의 저장 중 품질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부패율을 감소시킴으로써 품질유지에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전통 밑반찬류에 사용된 보존 Hurdle의 발굴 (Exploration of Preservation Hurdles in Korean Traditional Side Dishes)

  • 정순경;류은순;이동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59-268
    • /
    • 2006
  • 우리나라의 전통 밑반찬류에 대한 재료 및 가공에 대하여 보존적 burdle의 특성을 파악한 결과 첫째는 밑반찬에 사용되는 재료들에서 1차적인 hurdle이 적용되고, 2차로 양념류에서 burdle이 적용되어 저장성과 안전성을 부여하고 있다. 둘째는 조리과정에서 삶고, 데치고, 끊이고, 볶고, 튀기는 공정을 거침으로써 수분활성도 및 pH를 조절하여 보존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밑반찬들의 염 농도는 $1{\sim}5%$범위를 가지고 있으며, 장아찌 종류를 제외한 채소류를 이용한 무침과 나물에서 약간 높은 염 농도를 보이고 있다. pH는 pH $4.7{\sim}6.4$범위 이며, 장아찌와 절임류 보다는 조림, 볶음, 무침, 나물이 높은 pH를 유지하였다.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조림과 볶음의 경우 $40\;^{\circ}Bx$ 이상을 나타내고 있으나 무침과 나물 그리고 장아찌, 절임의 겨우는 낮은 값을 보이고 있다. 수분활성도는 나물의 경우 $0.93{\sim}0.95$이고, 강낭콩조림과 생선조림의 경우 $0.77{\sim}0.88$ 이다. 총균수는 조리과정에서 튀김 또는 데치기를 거친 반찬의 경우 $10^2-10^4cfu/g$과 같이 낮은 수준 이었으나 장아찌와 무침의 경우는 $10^5cfu/g$이상의 균수를 나타내고 있다. 우리나라 전통 밑반찬들의 보존 hurdle은 사용하는 재료들의 배합 비율과 삶기, 데치기, 볶기 등의 조리과정에 의해 수분활성도, pH 그리고 염 농도를 조절함으로서 보존상태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감마선 조사가 조미오징어의 저장 중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mma}-Irradiation$ on the Quality of Seasoned Cuttle during Storage)

  • 노정은;김병근;김현구;권중호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516-523
    • /
    • 2004
  •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조미 오징어(PVC film, 0.6 mm)의 감마선 조사와 저장 중($15{\pm}1^{\circ}C$, 6개월) 품질변화를 살펴보았다. 시료의 미생물 농도는 $1.6{\times}10^{5}CFU/g$, 효모 및 곰팡이 $10^{4}{\sim}10^{5}CFU/g$. 대장균군은 음성으로 각각 나타났으나, 3kGy의 감마선 조사는 저장 6개월까지도 검출한계 이하의 감균효과를 보였다. 시료의 pH와 수분함량은 감마선 조사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저장 중 수분한량은 감소되었다. 시료의 색도(Hunter b). 지용성 및 수용성 색소와 지방질의 품질을 나타내는 TBA가는 3kGy 이상의 감마선 조사에 의해 증가하였으나 저장기간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료의 VBN 및 TMA 함량은 감마선 조사 시 비조사구와 유사하거나 낮은 값을 보였으며, 저장 중에는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나 감마선 조사구는 미생물 농도의 감소로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매실분말 및 농축액을 첨가한 고추장의 숙성중 품질 변화 (Changes of Characteristics in Kochujang Fermented with Maesil (Prunus mume) Powder or Concentrate)

  • 박우포;조성환;이승철;김성용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78-384
    • /
    • 2007
  • 매실분말과 매실농축액을 각각 첨가한 고추장을 만들고 숙성하면서 품질 변화를 고찰한 결과 숙성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시험구의 수분 함량이 대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숙성 8주에는 고추장 담금시에 비하여 $3{\sim}4%$ 정도 높았다. 매실분말과 매실농축액을 첨가한 시험구의 pH는 각각의 대조구보다 낮았으며, 첨가량이 많을수록 더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고추장이 숙성되어감에 따라 모든 시험구의 pH는 점차 낮아졌으나 대조구와 매실분말 및 매실농축액 첨가구 사이의 pH 차이는 숙성 8주까지 유지되었다. 고추장 담금 직후의 총균수는 $3.6{\times}10^7\;{\sim}\;5.4{\times}10^7\;cfu/g$였으며, 효모 및 곰팡이는 $2.0{\times}10^7\;{\sim}\;3.6{\times}10^7\;cfu/g$였다. 숙성 기간 중 L, a, b값이 대체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숙성 8주를 기준으로 했을 때 매실농축액 1.0% 첨가구의 L값을 제외하면 대조구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고추장 담금 직후 물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이 나타내는 유리 래디칼 소거능은 메탄올 추출물보다 높았으며, 숙성기간에 따라 에탄올 추출물의 유리 래디칼 소거능은 감소하였다. 6주간 숙성한 고추장의 관능검사 결과 색도에 대한 점수는 대조구 1, 매실분말 0.5%, 매실농축액 0.5% 첨가구 순이었으며, 매실농축액 1.0% 첨가구를 제외한 모든 시험구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맛은 매실분말 및 매실농축액 1.0% 첨가구가 다른 시험구에 비하여 낮은 점수를 받았고,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깻잎절임의 조리조건 확립 및 품질변화 (Establishment of the Preparation Method on Quality Changes of Seasoned Perilla Leaves during Storage)

  • 류은순;이기은;최동만;신동주;정순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98-604
    • /
    • 2007
  • 한국의 고유 식품인 깻잎은 위생적, 고품질 및 규격화된 가공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깻잎 절임의 관능적, 위생상 안전성이 향상된 최적조리 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반응표면분석에서는 저장기간에 따른 성분 조성의 최적값에는 차이가 있으나 저장식품인 경우를 고려할 때 간장 $24{\sim}27g$, 물엿 24 g이 전반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깻잎의생균수는 세척전 8.08 cfu/g에서 세척 후 4.27 cfu/g 으로 약 50%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3% 염수에 침지 후 세척한 깻잎은 0.55 cfu/g으로 미생물이 대부분 제거되었다. 이는 가열 조리하는 방법의 밑반찬과는 달리 비열처리되는 반찬이므로 저장성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깻잎 절임의 저장 중 품질 변화에 있어서 배합조건에 대한 큰 차이는 볼 수 없었으나, 전처리 및 세척 방법에 따른 저장성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3% 염수에 1분간 침지 후 수돗물에 헹궈서 이용하는 것이 미생물 생육을 억제하고 저장성에도 가장 효과가 우수하였다.

전기분해수 침지처리 박피연근의 랩 및 진공포장 저장 중의 품질변화 (Quality Changes in Peeled Lotus Roots Immersed in Electrolyzed Water Prior to Wrap- and Vacuum-Packaging)

  • 박기재;정진웅;임정호;김범근;정승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622-629
    • /
    • 2008
  • 수도수(TW)와 0.5% sodium metabisulfite(0.5% SMS)를 대조구로 하고 강산성 전기분해수(SAEW: strong acidic electrolyzed water, pH 2.58, ORP 1,128 mV, HClO 105.0 ppm)와 약알칼리 전기분해수(LAEW: law alkaline electrolyzed water, pH 8.56, ORP 660 mV, HClO 73.8 mV)를 연근의 박피 후 침지액으로 하여 랩포장과 진공포장하여 $5^{\circ}C$ 저장 중 품질 변화를 비교.검토하였다. 0.5% SMS와 전기분해수 침지로 TW 침지 박피 연근에 비해 1 log cyle의 초기 균수 감소 효과와 저장중 상대적으로 낮은 균수를 나타내었다. 침지 처리에 의한 초기 및 저장중 경도의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뚜렷한 PPO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는 확인할 수 없었다. 전기분해수 침지로 표면색도와 색차는 0.5% SMS 침지와 유사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관능적 특성의 변화에서도 TW 침지 박피 연근에 비해 0.5% SMS 침지 박피 연근과 전기분해수 박피 연근이 다소 높게 평가되었다. 포장 방식에 있어서는 랩포장에 비해 진공포장이 품질 유지에보다 효과적이었다.

Effects of sodium diacetate or microbial inoculants on aerobic stability of wilted rye silage

  • Li, Yan Fen;Wang, Li Li;Jeong, Eun Chan;Kim, Hak Jin;Ahmadi, Farhad;Kim, Jong Geun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12호
    • /
    • pp.1871-1880
    • /
    • 2022
  • Objective: The primary goal was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chemical or biological additives in delaying the deterioration of early-harvested wilted rye silage after exposure to air. Methods: Rye harvested as a whole plant at the early heading stage was wilted for 24 h. The wilted forage was divided into treatments including sodium diacetate (SDA) at 3 (SDA3) and 6 g/kg (SDA6), Lactobacillus plantarum (LP), L. buchneri (LB), or their equal mixture (LP+LB) at 1×106 colony-forming unit/g fresh matter. Results: After 60 d of conservation in 20-L silos, lactic acid was greater in LP and LP+LB silages than other treatments (102 vs 90.2 g/kg dry matter [DM]). Acetic acid was greatest in SDA6 (32.0 g/kg DM) followed by LB (26.1 g/kg DM) and was lowest in LP treatment (4.73 g/kg DM). Silage pH was lower with microbial inoculation and the lowest and highest values were observed in LP and untreated silages, respectively. After 60 d, neutral detergent fiber concentration was lowest in SDA6 silages, resulting in the greatest in vitro DM digestibility (846 g/kg DM). Aerobic stability was longest in SDA6 (176 h) followed by LB treatment (134 h). Instability after aerobiosis was greatest in LP silages (68 h), about 8 h less than untreated silages. After aerobic exposure, yeast and mold numbers were lowest in SDA6 silages, resulting in DM loss minimization. Exhaustion of acetic acid and lactic acid after aerobic exposure was lowest with SDA6 but greatest with untreated and LP silages. Conclusion: Treatment of early-cut wilted rye forage with SDA at 6 g/kg resulted in silages with higher feeding value and fermentation quality, and substantially delayed deterioration after aerobic exposure, potentially qualifying SDA at this load for promotion of silage quality and delaying aerobic spoilage of early-harvested (low DM) rye forage.

Standardization and Development of Pharmacopoeial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SOPs) of Classical Unani Formulation

  • Mannan, Mohd Nazir;Kazmi, Munawwar Husain;Zakir, Mohammad;Naikodi, Mohammed Abdul Rasheed;Zahid, Uzma;Siddiqui, Javed Inam
    • 셀메드
    • /
    • 제10권2호
    • /
    • pp.16.1-16.8
    • /
    • 2020
  • Standardization of drug deals with confirmation of drug identity and determination of drug quality and purity. Unani herbal formulations are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Cancer is a disease which causes abnormal, uncontrolled growth of body tissue or cells, which tend to proliferate in an uncontrolled way. Spread of cancer from site of origin to other organs of the body is called metastasis. It is a hyper proliferative disorder involving, transformation, dysregulation of apoptosis, invasion and angiogenesis. The present study aimed to standardize a classical Unani formulation (CUF) described as anticancer properties. The CUF has been used for anti-cancerous activity (Dāfi'-i-saraṭān) in human population by Unani physicians for centuries. The standardization parameters carried out for classical Unani formulation are pharmacognostical studies, physicochemical parameters, high-performance thin layer chromatography (HPTLC), microbial load, aflatoxins, and heavy metals revealing specific identities and to evaluate Pharmacopoeial standards. Experiment and the data obtained established the Pharmacopoeial standards for this formulation for identification and quality control purpose. The CUF has been successfully standardized and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SOPs) for its preparation has been laid down which may serve as a standard reference in future. The standardization data of this formulation may be used as a standard guideline for preparation of the formulation in future.

큰느타리버섯 첨가량에 따른 김치의 품질 특성 (Quality Properties of Kimch by the Addition of King Oyster Mushroom(Pleurotus eryngii) during Fermentation)

  • 김정한;장명준;최종인;하태문;정계운;지정현;주영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87-291
    • /
    • 2005
  • 김치에 큰느타리버섯을 첨가하여 숙성시키면서 품질특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버섯 첨가량에 따른 김치의 pH를 측정 한 결과 대조구보다 버섯첨가구의 pH가 전반적으로 약간 낮게 나타났으며, 적정산도는 pH와 반대로 버섯의 첨가량이 높을수록 적정산도가 높았다. 큰느타리버섯 첨가에 따른 김치의 총균수 및 유산균수는 숙성 18일경에 모두 최대치를 보였으며, 이후에는 조금 감소하였다. 특히 버섯 $30\%$ 처리구는 총균수 및 유산균수 모두에서 미생물 억제현상이 관찰되었다. 큰느타리버섯 첨가량에 따른 김치의 라디컬 소거능 및 총페놀함량은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이는 버섯에 존재하는 항산화성 페놀성분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유제품 섭취와 당뇨 예방 (Dairy Products Intake and Managing Diabetes)

  • 김민경;최아리;한기성;정석근;오미화;김동훈;함준상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1호
    • /
    • pp.17-22
    • /
    • 2011
  • Milk intake is widely recommended for healthy diet, not only for bone growth and maintenance, but also as a protein, calcium and magnesium sources as part of an adequate diet. Many research suggest that milk and dairy products are associated with a lower risk of type 2 diabetes mellitus (T2DM). Milk and dairy products are low Glycemic index (GI) and Glycemic load (GL) foods. The GI and GL are useful tools to choose foods to help control blood glucose levels in people with diabetes. The GI and GL of milk are 32~42 and 4~5, respectively, and which are about 1/2 and 1/5 of boiled rice.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effects of dairy on T2DM development includes the calcium and vitamin D content in dairy foods and the possible positive effect of high milk and calcium intake on weight control. The role of dairy products on reducing the risk of diabetes can be inferred from the reports that lower serum IGF-1 level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diabetes and the girls with low milk intake had significantly lower IGF-1. Accumulating data from both patients and animal models suggest that microbial ecosystems associated with the human body, especially the gut microbiota, may be associated with several important diseases, such as inflammatory bowel disease, obesity,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It was thought that fermented milk containing lots of probiotics can be useful for controling blood glucose levels and preventing complication of diabetes, but sucrose in commercial yogurt should be substituted. There are some reports of oligosaccharide, xylitol, and stevia as a potentially useful sweetener in the diabetic die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