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g-Ti-Ni

검색결과 181건 처리시간 0.022초

보성-화순지역 하상퇴적물에 대한 지질집단별 지구화학적 특성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n Geological Groups of Stream Sediment in the Boseong-Hwasun Area, Korea)

  • 박영석;김종균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707-718
    • /
    • 2011
  • 보성-화순지역 하상퇴적물에 대한 지질집단별 자연배경치와 지구화학적 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1차 수계를 따라 하상퇴적물시료 186개를 채취하였고, 실험실에서 자연건조 시킨 후, XRF, ICP-AES, NAA분석을 실시하였다. 하상퇴적물의 지질집단별 자연배경치와 지구화학적 특성을 알기 위해, 시료를 화강암질편마암(GGn)지역과 반상변정질편마암(PGn)지역으로 분리하였다. 화강암질편마암지역의 주성분원소 함량은 $SiO_2$ 45.5-73.09 wt.%, $Al_2O_3$ 12-20.76 wt.%, $Fe_2O_3$(T) 3.72-8.85 wt.%, $K_2O$ 2.38-4.2 wt.%, MgO 0.75-2.77 wt.%, $Na_2O$ 0.78-1.88 wt.%, CaO 0.27-2.1 wt.%, $TiO_2$ 0.56-1.72 wt.%, $P_2O_5$ 0.06-0.73 wt.% and MnO 0.03-0.95 wt.%이고 반상변정질편마암지역의 주성분원소 함량은 $SiO_2$ 43.74-70.71 wt.%, $Al_2O_3$ 11.54-25.05 wt.%, $Fe_2O_3$(T) 3.44-13.46 wt.%, $K_2O$ 2.08-3.86 wt.%, MgO 0.65-2.99 wt.%, $Na_2O$ 0.63-1.7 wt.%, CaO 0.35-2.07 wt.%, $TiO_2$ 0.68-4.17wt.%, $P_2O_5$ 0.1-0.31 wt.% and MnO 0.07-0.33 wt.%이다. 화강암질편마암지역 하상퇴적물의 위해원소 함량은 크롬 41.7-242 ppm, 코발트 7.6-25.1 ppm, 니켈 12-61 ppm, 구리 10-47 ppm, 아연 48.5-412 ppm, 납 17-215 ppm이고 반상변정질편마암지역은 크롬 29.6-454 ppm, 코발트 5.9-53.7 ppm, 니켈 8.7-287 ppm, 구리 6.4-134 ppm, 아연 43.6-370 ppm, 납 15-37 ppm이다. 화강암질편마암지역에서 크롬은 MgO와 코발트는 $Al_2O_3$, $Fe_2O_3$(T), MgO와 니켈은 $Fe_2O_3$(T), CaO, MgO와 높은 상관성을 가지나, 구리, 아연, 납은 비교적 낮은 상관성을 보였다. 반상변정질편마암지역에서 일반적으로 크롬, 코발트, 니켈, 구리는 주성분원소와 대부분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나, 아연과 납은 낮은 상관성을 보였다.

X7R용 적층 칩 세라믹 캐패시터 조성의 희토류 첨가에 따른 유전 특성 (The Effect of Rare-Earth Additives on Dielectric Properties of X7R MLCC Composition)

  • 이석원;윤중락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1080-1086
    • /
    • 2003
  • Effects of E$_2$O$_3$. HO$_2$O$_3$ and Dy$_2$O$_3$ addition on dielectric properties of non-reducible BaTiO$_3$ based X7R dielectrics with Ni electrode have been studied in a reduced atmosphere. As the content of rare-earth with E$_2$O$_3$. HO$_2$O$_3$, Dy$_2$O$_3$ was less than 3wt%, The TCC(Temperature Capacitance Change) and insulation resistance characteristics were improved by compensate the oxygen vacancies due to occupy either the Ba or Ti site. We developed the composition of X7R (EIA standard) for higher capacitance MLCC which had high reliability electric properties by the addition of Er ion into BaTiO$_3$ + MgO + Y2O$_3$ + MnO + (Ba$\sub$0.4/Ca$\sub$0.6/)SiO$_3$ composition.

저온소결을 통한 초고용량 MLCC 개발 (Development of Ultra-high Capacitance MLCC through Low Temperature Sintering)

  • 손성범;김효섭;송순모;김영태;허강헌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46-154
    • /
    • 2009
  •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thickness of Ni inner electrode layer and to improve the coverage of inner electrode,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the ultra high-capacity multi layered ceramic capacitor (MLCC). Thus, low temperature sintering of dielectric $BaTiO_3$ ceramic should be precedently investigated. In this work, the relationship between dielectric properties of MLCC and batch condition such as mixing and milling methods was investigated in the $BaTiO_3$(BT)-Dy-Mg-Ba system with borosilicate glass as a sintering agent. In addition, several chip properties of MLCC manufactured by low temperature sintering were compared with conventionally manufactured MLCC. It was found that low temperature sintered MLCC showed better DC-bias property and lower aging rate.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thickness of Ni inner electrode layer became thinner and the coverage of inner electrode was improved through low temperature sintering.

옥천변성대 북동부(충주-황강리 지역)내 앰피볼라이트의 암석 화학적 고찰

  • 유영복;김형식
    • 한국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물학회.한국암석학회 2001년도 공동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32-132
    • /
    • 2001
  • 옥천변성대의 충주-황강리 지역내 앰피볼라이트의 기원암은 염기성 화성암으로 쏠레이아이트 계열의 변이질암에 속한다. Fe $O^{*}$/MgO값의 변화에 대하여 분별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는 주성분 원소와 미량원소들의 변화를 보게되면 Ti $O_2$, Fe $O^{*}$와 불호정성 원소(incompatible element)인 Zr, Nb, Hf, Ta, Th 등은 분별작용동안 증가하는 반면 호정성 원소(compatible element)인 MgO, $Al_2$ $O_3$, Ni, Cr 등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Fe $O^{*}$/MgO, Ti $O_2$ 그리고 Fe $O^{*}$는 심해성 쏠레이아이트 영역으로부터 분화된 경향을 나타내 주고 있다. Ni, Cr은 Fe $O^{*}$/MgO값의 증가에 따라 급속히 감소하며 안정한 대륙과 해저화산의 영역에 도시되고 있으며 칼크-알칼리(CA)와는 관계가 없고 쏠레이아이트의 영역에서 변화 패턴을 보여주어 앰피볼라이트가 활동적인 대륙연변부의 지구조 환경보다는 안정한 대륙이나 해저화산과 관계가 더 있음을 시사한다. 경휘토류 원소(LREE)는 중휘토류 원소(HREE)에 비해 더욱 부화된 특성을 띠고 원자번호가 증가하면서 표준화된 휘토류 원소패턴의 경사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대부분의 시료들은 큰 Eu이상치를 갖고 있지 않아 마그마 정출 과정동안 사장석의 분별작용이 거의 수반되지 않았음을 지시하고 전체적인 휘토류 원소의 패턴은 거의 평행하게 나타나므로 기원 마그마가 유사함을 의미하고 있다. 비유동성 원소를 이용한 여러 판별도표들을 통해서 본암은 대륙성 현무암질암으로서 판내부 환경에서 유래되었으며 대륙내부 열곡의 알칼리 현무암과 대륙성 현무암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서 대륙지각내 열곡작용과 같은 장력운동에 수반되어 생성된 것임을 시사해 주고 있다. 앰피볼라이트의 지각혼성화를 평가하기 위해 이에 필요한 몇 개의 지화학적 매개변수를 계산한 결과 La/Ta, La/Nb, Nb/Th들의 값이 오염 안된 마그마의 값을 지시해 주어 본암이 지각혼성화 작용을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시료들은 P-타입 MORB의 영역에 속하며 소수의 시료가 T-타입 MORB의 영역에 도시되고 있어 본 앰피볼라이트의 생성에는 양적으로 다른 두 가지의 유사한 마그마가 수반된 것으로 추정된다. 것으로 추정된다.

  • PDF

휴대용 및 Bench-Top X-선 형광 분석기를 이용한 오일 시료 중 마찰 금속의 비교 분석 (Comparison study of the wear metal analysis in oil sample by portable and bench-top XRF)

  • 최수정;김종혁;이석근;김동표
    • 분석과학
    • /
    • 제22권5호
    • /
    • pp.422-431
    • /
    • 2009
  • 휴대용 X-선 형광 분석기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휴대용 및 bench-top X-선 형광 분석기를 이용하여 오일 시료 중의 Na, Mg, Al, Si, P, Ca, Ti, V, Cr, Mn, Fe, Ni, Cu, Zn, Mo, Ag, Cd, Sn, Ba, Pb 등 20종의 마찰 금속 원소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마찰 금속 원소의 농도가 10~900 mg/kg으로 함유된 오일 인증표준물질을 구입하여 측정 시간 등에 따른 최적 분석조건을 확립하고, 각 마찰 금속 원소에 대한 검량곡선을 작성하였다. 마찰 금속 원소가 함유된 오일 인증표준물질 및 시판 중인 엔진오일 시료의 주행 전 후의 금속 원소 농도를 empirical 법 및 fundamental parameter 법으로 정량분석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Characterization and Potent Application of Pleurotus floridanus Trypsin Inhibitor (PfTI)

  • Pannippara, Manzur Ali;Kesav, Sapna;Raghavan, Rekha Mol Kollakal Naduvil;Mathew, Abraham;Bhat, Sarita Ganapathy;Kozhiyil, Elyas Kothana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6권3호
    • /
    • pp.207-213
    • /
    • 2020
  • Characterization and in vitro inhibition studies of protease inhibitor from the mushroom Pleurotus floridanus (PfTI) towards the pest Papilio demoleus is studied. The addition of 1 mM Mn2+, Na2+, Ba2+ and Ni 2+ enhanced the PfTI activity. The ICP-atomic emission spectrum showed the presence of Ca2+, Mg2+ and Zn2+ in the PfTI. Surfactants SDS and CTAB at a concentration of 1% reduced the PfTI activity whereas, the nonionic detergents Triton X and Tween 80 increased the activity. The inhibitory activity gradually decreased with increase in concentration of DMSO and H2O2. The activity was increased by dithiothreitol up to a concentration of 80 μM and inactivated at 140 μM. The activity of PMSF modified PfTI was drastically reduced to 0.234 U/mL at 4 mM concentration and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for modification of cysteine by N-Ethylmaleimide at slightly higher concentrations. The complex of trypsin and PfTI showed complete loss in fluorescence intensity at 343 nm compared with control. In vitro inhibition studies of PfTI with midgut proteases isolated from citrus pest P. demoleus with protease activity of 1.236 U was decreased to 0.613 U by 50 μL (0.1 mg/mL) of the inhibitor. Inhibitor was stable up to 0.04 M concentration of HCl.

망간단괴 미세조직에 따른 광물조성과 화학조성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Mineralogical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Micro-Textures in Manganese Nodules)

  • 최헌수;장세원;이성록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05-220
    • /
    • 2000
  • 북동태평양 C-C지역의 우리나라 광구에서 산출되는 망간단괴의 내부조직을 크게 주상조직 층상대, 첨상조직 층상대, 첨상조직 괴상대, 첨상조직 다공질대 및 괴상조직 괴상대로 구분하였다. 주상조직 층상대에서는 버나다이트(vernadite)가 가장 우세하게 산출되며, 첨상조직 층상대에서는 부서라이크(buserite)가 함께 산출된다. 첨상조직 괴상대는 부서라이트의 산출이 두드러지며, 부분적으로 토도로카이트(todorokite)가 수반된다. 첨상조직 다공질대는 첨상체 또는 구상체로 이루어지며 부분적으로 괴상조직으로 교대되는데 주로 토도로카이트와 부서라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괴상조직을 갖는 괴상대에서는 토도로카이트와 버네사이트(birnessite)가 부서라이트와 함께 산출된다. 각 조직대별로 미세조직을 이루는 엽리들에 대해 전자현미분석을 실시하였다. 엽리의 화학조성을 구성하는 요인은 상관계수 군집분석에 의해 Mn-K의 Mn군, Cu-Ni-Zn-Mg(Ca-Na)의 Cu-Ni-Mg군 Fe-Co-Ti(Ca-P)의 Fe군과 Si-Al의 Si군 등 네 개군으로 구분된다. 각 조직대는 세 개 또는 네 개의 군으로 구성되며 이들 각군은 단괴에서 산출되는 광물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Mn군은 토도로카이트, Cu-Ni-Mg군은 부서라이트, Fe군은 함코발트수산화철광물, 그리고 Si군은 규산염광물에서 주로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엽리의 화학조성은 이들 광물의 조합과 구성광물의 화학조성에 따라 지배되고 한 조직대내에서도 여러종류의 조합을 보이는데 이는 각 조직대의 엽리들의 성인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다양한 독성법을 이용한 중금속, 나노입자 및 금속오염 토양 평가 (Bioassessment of Heavy Metals, Nanoparticles, and Soils Contaminated with Metals using Various Bioassays)

  • 공인철;석우도;이민경;강일모
    • 자원환경지질
    • /
    • 제48권3호
    • /
    • pp.261-271
    • /
    • 2015
  • 본 총설 논문에서는 다양한 급성독성법을 이용하여 중금속, 나노입자, 중금속 오염 토양에 의한 영향 평가 결과를 소개하였다. 평가는 씨앗발아, 생물발광, 효소활성 및 유전자 변이 평가법을 이용하였으며, 오염물 종류 및 방법에 따라 상이한 민감도를 보였다. 씨앗의 경우에는 상추(Lactucus)와 알타리무(Raphanus)가 대체적으로 높은 민감도를 보였다. 단일 금속 노출에서는 일반적으로 As(III)가 높은 독성을 나타내었다. As(III) 1 mg/L 조건에서 높은 유전자변이(MR=5.1)가 관찰되었다. 혼합 중금속에 대한 영향은 명확한 경향을 찾기 어려웠지만, 씨앗 발아의 경우에는 상승 효과가 보편적으로 관찰되었다. 중금속 오염 토양에 대한 평가에서는 시료별 총중금속 농도와 독성 영향 간의 상관성을 예측하기는 어려웠다. 일반적으로 나노입자의 씨앗발아에 근거한 영향은 다음의 순서로 조사되었다: CuO > ZnO > NiO > $TiO_2$, $Fe_2O_3$, $Co_3O_4$. 특히 $TiO_2$, $Fe_2O_3$$Co_3O_4$는 최대 노출 농도 1,000 mg/L 농도에서도 뚜렷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다양한 독성 생물검정법에 대한 통합 자료는 향후 다양한 오염물 기초 독성평가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Effects of pH and Chloride Concentration on Corrosion Behavior of Duplex Stainless Steel and Titanium Alloys Ti 6Al 2Nb 1Ta 1Mo at Elevated Temperature for Pump Impeller Applications

  • Aymen A., Ahmed;Ammar Yaseen, Burjes;Ammar Yaseen, Burjes
    • Corrosion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1권6호
    • /
    • pp.454-465
    • /
    • 202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effects of temperatures and pH of sodium chloride solution with MgCl2 ions on corrosion resistance of duplex stainless-steel X2CrNiMoN22-5-3 (DSS) and Ti 6Al 2Nb1Ta1Mo (Ti). Effects of sodium chloride concentration on corrosion resistance were also studied. Corrosion behavior and pitting morphology of duplex stainless steel (DSS) and Ti alloys were evaluated through potentiodynamic polarization,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EIS),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It was found that a decrease in pH significantly reduced the corrosion resistance of both alloys. Changes in chloride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had more substantial impact on corrosion behavior of DSS than on Ti alloys. Pitting corrosion was formed on DSS samples under all conditions, whereas crevice corrosion was developed on Ti samples with the presence of magnesium chloride at 90 ℃. In conclusion, magnesium chloride ions in an exceedingly strong acidity solution appear to interact with re-passivation process at the surface of these alloys and influence the resulting surface topography.

도시대기립자상물질중 오염성분의 계절적 변동 및 통계적 해석 (Seasonal Variation and Statistical Analysis of Particulate Pollutants in Urban Air)

  • 이승일
    • 환경위생공학
    • /
    • 제9권2호
    • /
    • pp.8-23
    • /
    • 1994
  • During the period from Mar., 1991 to Feb., 1992 66 tSP samples were collected by Hi volume air sampler at 1 sampling site in Seoul and the amount of concentration of 21 components(SO$_{4}$$^{2-}$, NO$_{3}$$^{-}$, NH$_{4}$$^{+}$, Cl$^{-}$, Al, Ba, Ca, Cd, Cr, Cu, Fe, It Mg, Mn, Na, Ni, Pt Si, Ti, Zn, Zr ) were measured. And monthly and seasonal variation were surveyed and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 were carried out with respect to these amount of pollutants, minimum of visibility and radiation on a horizontal surface. The total amount of soluble ion in water was high in order o(SO$_{4}$$^{2-}$> NO$_{3}$$^{-}$> N%'>Cl$^{-}$ and metal ion was high in order of Na> Ca>Si> Fe> Al> K> Mg> Zn> Pb> Cu>Ti> Mn > Ba> Cr> Zr> Ni> Cd. There was Seasonal variation in concentration for SO$_{4}$$^{2-}$, NH$_{4}$$^{+}$, Cl$^{-}$, Na, Al, Ca, Bt Mg, Fe and Si. It was assumed that the components of the highest concentration on April were depend on yellow sand and the frequency of wind velocity and direction. As the results of PCA, the amount of pollution components was able to characterized with two principal components(Z$_{1}$, Z$_{2}$ ).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s Z$_{1}$ was considered to be a factor indicating the pollutants originated from natural generation and The second principal components Z$_{2}$ was considered to be a factor indicating the pollutants originated from human work. The monthly concentration of pollutants in ISP, minimum of visibility and radiation on a horizontal surface was possible to evaluate by the use of these two principal components Z$_{1}$ and Z$_{2}$ .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