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vinolin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17초

Penicillium citrinum 의 배지 조성에 의한 Mevinolin 생산 최적화 연구 (The Optimization of Mevinolin Production by Medium Composition of Penicillium citrinum)

  • 차월석;신성의;권규혁;김선일;이동병;이태범
    • KSBB Journal
    • /
    • 제15권3호
    • /
    • pp.232-237
    • /
    • 2000
  • Mevinolin을 생산하기 위하여 Penicillium citrinum Thorn (KCTC 6990)을 이용하여 배양시간에 따른 세포성장, pH 변화, g glucose 농도, mevinolin 생성량, 온도 변화, 초기 pH 변화, 탄소원 효과, 질소원 효과, mineral 효과, glucose 농도변화, 회분배 양 에 따른 mevinolin 생성의 발효결과는 다음과 같다. 플라스크에서 배양시간에 따른 glucose 농도와 mevinolin 생성 을 검토한 결과 glucose가 배양 5일 후에 거의 소비되었으며, mevinolin 생성은 배양 7일에서 최대 생성을 나타내었다. mevinolin 생성을 위한 최적 pH는 3.9이며, 최적 온도는 $24^{\circ}C$였다. 탄소원들 중 glucose가 3.5 mg/L로 mevinolin 생성이 가장 좋았으며, 다음은 glycerol, maltose, galactose 등의 순서로 양호 함을 보였다. 여러 질소원 중에서 가장 효과적인 질소원은 peptone이었으며, 최대 mevinolin 생생량은 3.5 mg/L이었다. 다음은 soybean meal, $NaN0_3$, com steep liquior 등의 순서로 양호함 을 보였다. Mineral 종류의 효과로서는 $K_2HP0_4$가 3.8 mg/L로 mevinolin 생성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MgS0_4.7H_2O$가 3.5 mg/L으로 비교적 양호함을 보였다 계면활성제의 효과로서는 비 아온계인 Tween 20이 4.5 mg/L로 mevinolin 생성량이 가장 높 았으며, 다음은 Tween 80, Tween 40, Span 80의 순서로 양호함 을 보였다. Glucose 농도변화에 따른 결과는 100 g/L일 때 4.0 mg/L로 mevinolin 생산량이 가장 높았다. 회분배양일 때는 최대 mevinolin 생산은 배양 8일에 10.3 mg/L로 최대치였다. glucose 초기농도 100 g/L일 때 최대 세포수율은 0.288 g/g이었고 최대 n mevinolin 수율은 0.103 mg/g이었다. 또한, 세포 최대 비생성속 도는 0.052 밍g-hr이었고, mevinolin 최대 비생성속도는 0.016 mg/g-hr이 었다. Mevinolin의 생산성을 보다 높이기 위해 회분식 배양에서 pH, 온도, 배지농도 등의 연관성을 밝히고, 부산물인 오일의 해결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며, 나아가서 유가배양을 통홰 생산선을 높이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홍국균(Monascus sp.) 발효콩의 mevinolin 생산 조건 (Optimum Conditions for Production of Mevinolin from the Soybean Fermented with Monascus sp.)

  • 표영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56-261
    • /
    • 2006
  • 20여종의 Monascus속의 균주로 부터 mevinolin의 생산능이 우수하면서도 곰팡이 독소성분 citrinin을 생산하지 않는 우량균주를 선발하였으며, 콩시료에 대한 고상발효를 최적화하기 위한 영양배지의 조성물이 검토되었다. 선발된 M. pilosus IFO 480으로 발효시킨 홍국콩 발효물에 함유된 mevinolin의 주요 화합물은, 약리학적 활성형(drug)의 mevinolinic acid 밝혀졌다(91.8%). 따라서 홍국 발효콩은 생체활성형의 항 콜레스테롤 성분을 최대 0.22% 까지 함유하는, 안전한 건강 기능성식품 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Mevinolin Production by Monascus pilosus IFO 480 in Solid State Fermentation of Soymeal

  • Pyo, Young-Hee;Lee, Young-Chul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4호
    • /
    • pp.647-649
    • /
    • 2006
  • Mevinolin, a fungal metabolite, is a potent inhibitor of 3-hydroxy-methyl-3-glutaryl-coenzyme A (HMG-CoA) reductase, the rate-controlling enzyme in cholesterol biosynthesis. In this investigation, the optimum factors for mevinolin production by Monascus pilosus IFO 480 in soymeal fermentation were studied. The highest yield of mevinolin, 2.82 mg mevinolin per g dry weight, without citrinin (a toxic fungal secondary metabolite) was obtained after 21 days of fermentation at $30^{\circ}C$ at 65% moisture content, particle size 0.6-0.9 mm, and initial substrate pH of 6.0. Mevinolin was present in the fermentation substrate predominantly in the hydroxycarboxylate form (open lactone, 92.1-97.3%), which is currently being used as a hypocholesterolemic agent.

Production of a High Value-Added Soybean Containing Bioactive Mevinolins and Isoflavones

  • Pyo, Young-He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2권1호
    • /
    • pp.29-34
    • /
    • 2007
  • The production of mevinolin, a potent hypocholesterolemic drug, and the bioconversion of isoflavones were investigated in soybeans fermented with Monascus pilosus KFRI-1140. The highest yields of 2.94 mg mevinolins and 1.13 mg isoflavone aglycones per g dry weight of soybean were obtained after 20 days of fermentation. Mevinolin was present in the fermentation substrate predominantly in the hydroxycarboxylate form (open lactone, 94.8$\sim$96.7%), which is currently being used as an hypocholesterolemic agent. The significant (p<0.01) bioconversion (96.6%) of the glucoside isoflavones (daidzin, glycitin, genistin) present in the soybean to the bioactive aglycones (daidzein, glycitein, genistein), with a 15.8-fold increase of aglycones was observed. The results suggest that Monascus-fermented soybean has potential as a novel medicinal food or multifunctional food supplement.

홍국발효가 백태와 서리태의 생리활성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onascus-Fermentation on the Content of Bioactive Compounds in White and Black Soybeans)

  • 진유정;표영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409-412
    • /
    • 2015
  • Monascus pilosus KCCM 60084를 백태와 서리태에 각각 접종시켜 $30^{\circ}C$에서 발효한 후, 홍국발효 콩에 함유된 미량의 생리활성물질에 대한 영향을 측정하였다. 천연 스타틴 성분인 mevinolin은 발효 전의 미 검출에서 홍국 발효 20일 후에 건조시료 g당(${\mu}g/g$ DW) 최대 $568.18{\mu}g$ 생산하였고, CoQ10의 함량은 발효전의 농도에 비해 발효 20일 후에 백태와 서리태 모두 2배 이상 증가하여 각각 $65.59{\pm}9.53$$54.92{\pm}5.27{\mu}g$으로 나타났다. 토코페롤 함량은 홍국발효에 의해 뚜렷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발효 전의 백태에 함유된 총 토코페롤 함량은 $312.87{\mu}g$으로 서리태의 $256.76{\mu}g$ 보다 약 22% 더 높았으며(p<0.05), 가장 많이 함유된 토코페롤 종류는 ${\gamma}$-토코페롤로 전체 농도의 약 55%을 차지 하였다. 따라서 홍국발효는 콩의 메비놀린과 CoQ10 성분의 농도를 발효과정을 통해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Potential Effect of Monascus-fermented Soybean Extracts on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of Human Osteoblast-like Cells

  • Pyo, Young-Hee;Kwon, Mi-Ja;Kim, In-H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2호
    • /
    • pp.434-437
    • /
    • 2008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Monascus-fermented soybean extracts (MFSE) containing natural estrogen-like compounds such as isoflavones and mevinolins has potential effects on human osteoblast-like SaOS2 cells using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nd alkaline phophatase (ALP) assaies. MFSE exerted biphasic dose-dependent effect; stimulating osteoblastic activity at low concentrations and inhibiting SaOS2 cells viability at high concentrations. At $10^{-8}-10^{-4}\;mg/mL$, MFSE is not only non-cytotoxic but also induced comparatively high ALP activity on SaOS2 cells. ALP activity (%) significantly increased (220.1%, p<0.05) when SaOS2 cells were treated with MFSE at a concentration of $10^{-5}\;mg/mL$, whereas slowly increased (185.6%, p<0.05) in unfermented soybean extracts (UFSE) at $10^{-3}\;mg/mL$. The potentially greater ALP activity of MFSE compared to the UFSE might partially be caused by its mevinolin, which was derived from the soybean during Monascus-fermentation. Our findings indicate that supplementation of MFSE may accelerate the speed of intracellular ALP synthesis by the bone cells when provided at optimal dosages.

Synthesis and biological activity of 4,5-polymethylenepyrazole-derived HMG-CoA reductase inhibitors

  • Kim, Jin-Il;Choi, Young-Hee;Yurngdong Jahng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0권2호
    • /
    • pp.158-170
    • /
    • 1997
  • New HMG-CoA reductase inhibitors, in which 3-substituted 4, 5-polymethylenepyrazoles are employed as a hydrophobic anchor connected to tetrahydro-4-hydroxy-2H-pyran-2-one by a two-carbon bridge, were designed and synthesized to exhibit significant inhibitory activity comparable to mevinolin. The most potent enzyme inhibitor $(11cc, IC_{50}=0.01{\mu}M)$ is 4-fold more potent than lovastatin.

  • PDF

대두를 이용한 Lovastatin 대량생산용 Seed Culture의 제조기술 (Development of Seed Culture Using Soybean for Mass Production of Lovastatin with Aspergillus terreus ATCC 20542 Mutant)

  • 김수정;고희선;김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666-670
    • /
    • 2008
  • 본 연구는 Asp. terreus ATCC 20542 변이주로부터 lovastatin 생산용 seed culture의 대량제조를 위한 방법을 개발한 것이다. 배양체의 선발, 분석 및 최적 배양용기를 검토한 결과 대두를 이용하여 petri dish(${\phi}150{\times}20mm$)에 배양하였을 때 lovastatin의 생산성이 우수하였다. 포자의 발아 촉진을 위하여 대두에 Asp. terreus를 접종한 다음 열처리를 달리하여, 각 전배양체를 미강에 본배양하였다. 본배양액을 추출한 후 HPLC를 이용하여 lovastatin 생산량을 검토한 결과 $30^{\circ}C$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한 전배양체가 본배양 12일째에 가장 높은 lovastatin 생산성을 보이며, in vitro assay 결과, 대두를 $30^{\circ}C$에서 1시간 열처리하여 본배양하였을 경우에 HMG-CoA reductase가 82%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존의 포자현탁액 접종법보다 대두를 이용한 방법이 더욱 높은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 및 배양시간의 단축성을 보여 산업화에 유리한 것으로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