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ropolitan Regional Policy

검색결과 218건 처리시간 0.021초

산업 다양성과 혁신역량에 따른 지역 발전전략의 우선순위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ioritization of Regional Development Strategies According to Industrial Varieties and Innovation Competency)

  • 한재필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57-379
    • /
    • 2022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역의 산업 다양성 및 혁신역량을 진단하고 자생적 지역발전을 위한 우선순위 설정 방식에 대해 논의한다. 1990년대 후반 이후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경제적 격차를 줄이기 위한 지역발전정책이 다각도로 시도되었지만, 지역의 산업 특성 및 혁신역량을 고려한 발전전략 수립은 미흡하였다. 기술과 산업의 고도화 및 다변화에 따라 지역은 특정 산업에 특화하는 전략에서 벗어나 경제 충격에 대비하기 위한 전략적 다각화를 모색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의 산업 다양성을 무관다양성(unrelated variety)과 연관다양성(related variety) 지표를 이용하여 특성화한다. 다양성 지표는 수도권-비수도권 간, 제조업-서비스업 간 상이한 양태를 보이며, 이는 지역발전에서 산업적 특성을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마지막으로 다양성 지표와 혁신역량지표를 두 축으로 하여 우리나라 시군구 지자체의 현 상황을 네 가지로 유형화하고 각 유형에 맞는 지역발전정책 우선순위를 제안한다.

지역혁신 패러다임과 지역혁신체계의 변화에 관한 연구 - 공공기관 지역이전을 중심으로한 변화 - (Study on Changes of the Regional Innovation Paradigm & the Structure of Regional Innovation System - Focused on Removal of Public Organization -)

  • 설기환;유석호;경병표;이동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1호
    • /
    • pp.373-381
    • /
    • 2015
  • 중앙정부는 국가균형발전의 중요한 한 축으로 공공기관 지역이전을 추진하였다. 수도권 집중현상의 분산과 지역혁신을 목표로 추진한 공공기관의 지역이전이 완료되는 시점에, 공공기관 이전으로 인한 새로운 지역혁신의 패러다임의 변화와 이전 공공기관이 중심이 되는 지역혁신체계의 변화 방향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서 지역혁신과 지역혁신체계의 기존연구와 현황을 통하여 지역혁신의 성공요소를 발굴하고, 공공기관의 지역이전과 지역혁신과의 관계성 분석을 통하여 새로운지역혁신 패러다임에 고려될 사항과 이전 공공기관이 주체가 되는 지역혁신 체계의 추진방안을 도출하였다. 공공기관이 이전한 후의 지역혁신의 패러다임은 국가적, 세계적 문제를 풀어내고 창의적인 혁신이슈가 포함되어야 하며 이전기관이 혁신의 주체로서 지역혁신을 이끄는 변화가 필요하다. 또한, 지역혁신의 성공요소로 지역중심의 정책입안을 포함한 5가지의 성공요소를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아직은 물리적 이전에 머무르는 공공기관이전의 결실이 지역혁신으로 변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새로운 패러다임과 추진체계를 확보하여 국가의 미래를 견인하는 계기 마련에 도움이 되고 구체적인 혁신체계와 이슈개발 등의 연구가 지속되어 공공기관이전이 지역과 국가 혁신의 중요한 축으로 작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실행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세계도시지역론과 그 지역정책적 함의 (Global City-Regions Theory and its Implications for Regional Development Policy in Korea)

  • 이재하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62-574
    • /
    • 2003
  • 이 연구는 아주 최근에 새롭게 제기된 세계도시지역론을 고찰하고 이에 기초하여 한국의 지역발전 정책을 위한 함의를 제안하고 있다. 세계의 주요한 거대도시지역으로. 이루어진 정치ㆍ경제적 조직체 또는 다중심적 구조를 지닌 새로운 규모의 도시조직으로 정의되는 세계도시지역은 세계경제의 역동적인 성장뿐만 아니라 지역발전도 동시에 유발함으로써 세계화시대에서 대안적인 신지역주기 발전모델로 평가된다. 한국에서 세계도시지역모델의 정책적 적용은 특히, 비수도권의 거대도시지역의 세계적 경쟁력 강화와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극심한 지역격차를 완화하기 위해서 필요시 된다. 그러나 부산, 대구, 광주, 대전 등의 비수도권의 광역시가 세계도시지역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시ㆍ도 통합과 지방분권과 같은 제도개혁이 선행되지 않으면 안 된다.

지역대표도서관 건립 계획에 관한 연구 : (가칭)부산도서관을 중심으로 (New Main Library Project in a Metropolitan City : with a Reference to the Library of Busan)

  • 장덕현;이수상;유재우;이용재;김영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119-139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대표도서관 건립을 위한 절차와 과정, 그리고 주요 고려사항들을 분석하여 적절한 계획을 제시하는 것이다. 지역 도서관정책의 허브이자 지역을 대표하는 도서관으로서 지역 도서관 정보정책을 총괄하고 중앙정부와의 협력 사업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핵심 지식정보인프라 역할을 하는 지역 대표도서관의 건립은 꼭 필요한 과제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이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의 대표도서관 건립 계획을 사례로 하여 시민 모두가 자유롭게 어우러지는 신개념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대표도서관 건립의 필요성과 타당성을 가늠하고, 향후 지역에서 대표도서관을 건립할 경우를 대비하여 지역대표도서관의 사명과 비전, 기능과 역할, 그리고 건축계획의 사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노동력 고령화가 인적자본 취업비중과 1인당 지역총생산에 미치는 효과: 우리나라 광역시와 도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Workforce Aging on Human Capital Job and Regional Economic Performance in Korea: focusing on Metro Cities and Provinces)

  • 이성훈;이향수;정용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25-31
    • /
    • 2020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광역시와 도를 중심으로 1995-2017년의 지역별 패널통계를 활용하여 노동력 고령화가 인적자본 취업비중과 1인당 지역총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지역별 고정효과를 반영한 2단계 최소자승 패널 회귀 분석 결과에서 노동력 고령화는 광역시의 인적자본 취업비중과 1인당 지역총생산에는 영향이 없는 반면, 도의 인적자본 취업비중과 1인당 지역총생산은 유의한 수준에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비스 사업체 비중은 광역시의 인적자본 취업비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도에서는 그 효과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으며, 광역시에서는 인적자본 취업비중이 1인당 지역총생산 증가에 유의하게 기여하고 있지만 도의 경우는 물리적 자본이 1인당 지역총생산 증가에 유의하게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광역시와 도에 따른 다른 분석결과는 노동력 고령화에 대응하는 인적자본과 1인당 지역총생산 증가를 위한 광역시와 도의 최적화된 정책은 지역에 따라 차별화시켜야 함을 시사한다.

기후변화정책 우선순위 연구 (Study on Priorities of Regional Climate Change Policy)

  • 황은주;최윤혁;김종대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89-601
    • /
    • 2016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riority of regional climate change policy utilizing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at the area of Metropolitan City of Incheon. It derives four factors at first hierarchical level, at which level the analysis of pair-wise comparison indicates that industrial sector, energy sector, climate change response, and green culture policy are considered important in that order. It also ends up with sixteen factors at second level. The result of comparison analysis between all factors reveals that investment promotion in green technology R&D is considered the most significant factor of all, followed by establishment of green enterprise support system, electricity-efficiency enhancement support project and build-up of green culture policy governance. The result implies that diverse promotional policies have to incorporate business, institutional, and cultural aspects for sustainable climate change policy of regions.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highlights the need to include regional characteristics in deciding priority among policy options for them to be effective.

부산권역 급성 허혈성 뇌졸중 환자 이송 및 치료단계에서 독거가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Living Alone on the Transfer and Treatment Stages of Acute Ischemic Stroke in the Busan Metropolitan Area)

  • 정혜인;김선정;김병권;차재관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40-449
    • /
    • 2023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prehospital process and reperfusion therapy process of acute ischemic stroke in Busan metropolitan area and examine the impact of living arrangement on the early management and functional outcomes of acute ischemic stroke (AIS). Methods: The patients who diagnosed with AIS and received reperfusion therapy at the Busan Regional Cardiovascular Center between September 2020 and May 2023 were selected. We investigated the patients' hospital arrival time (onset to door time) and utilization of 119 emergency ambulance services. Additionally, various time matrices related to reperfusion therapy after hospital were examined, along with the functional outcome at the 90-day after treatment. Results: Among the 753 AIS patients who underwent reperfusion therapy, 166 individuals (22.1%) were living alone. AIS patients living alone experienced significant delays in symptom detection (p<0.05) and hospital arrival compared to AIS patients with cohabitants (370.1 minutes vs. 210.2 minutes, p<0.00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119 ambulance utilization and time metrics related with the reperfusion therapy. Independent predictors of prognosis in AIS patients were found to be age above 70,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 score at admission,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living alone (odds ratio [OR], 1.785; 95% confidence interval [CI], 1.155-2.760) and interhospital transfer (OR, 1.898; 95% CI, 1.152-3.127). Delay in identification of AIS was shown significant correlation (OR, 2.440; 95% CI, 1.070-5.561) at living alone patients.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AIS patients living alone in the Busan metropolitan region, requiring endovascular treatment, face challenges in the pre-hospital phase, which significantly impact their prognosis.

Regional disparities in the associations of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and healthy dietary factors in Korean adults

  • Ha, Kyungho;Song, YoonJu;Kim, Hye-Kyeo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4권5호
    • /
    • pp.519-531
    • /
    • 2020
  • BACKGROUND/OBJECTIVES: Regional disparities in dietary factors might be related to regional disparities in cardiometabolic health.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s of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and dietary factors with regional types in Korean adults. SUBJECTS/METHODS: Based on data from the 2007-201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study included 39,781 adults aged ≥ 19 years who completed the dietary survey and a health examination. Healthy and unhealthy dietary factors (fat, sodium, fruit, and vegetable intakes) were evaluated using 1-day 24-h dietary recall method, as well as the use of nutrition labels with a questionnaire. RESULTS: Of the participants, 48.7%, 36.0%, and 15.2% lived in metropolitan, urban, and rural areas, respectively. Adults living in urban and rural had higher odds ratios (ORs) for obesity (OR for urban, 1.07; 95% confidence interval (CI), 1.01-1.14; OR for rural, 1.14; 95% CI, 1.05-1.24) than adults living in metropolitan areas; these associations were significantly observed in middle-aged adults. Compared to metropolitan residents, rural residents had lower ORs for hypertension in middle-aged (OR, 0.86; 95% CI, 0.76-0.96) and metabolic syndrome in older adults (OR, 0.78; 95% CI, 0.67-0.91). Regarding urban residents, a lower OR for diabetes in middle-aged adults (OR, 0.85; 95% CI, 0.74-0.97) and a higher OR for hypertension in older adults (OR, 1.19; 95% CI, 1.02-1.39) were observed. Overall rural residents had higher ORs of excessive carbohydrate, low fruit, and high salted-vegetable intakes than metropolitan residents. Low fruit intak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obesity, metabolic syndrome, and hypertension, after adjustment for regional type and other confounders in total participants. CONCLUSION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cardiometabolic risk and unhealthy dietary factors differ among regional types and age groups within Korea. Nutritional policy and interventions should consider regional types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Mitigating the Shocks: Exploring the Role of Economic Structure in the Regional Employment Resilience

  • Kiseok Song;Ilwon Seo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12권3호
    • /
    • pp.323-344
    • /
    • 2023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silient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 region by assessing the impact of the financial crisis. Utilizing panel data at the prefecture level for metropolitan cities across pre-shock (2006-2008), shock (2009), and post-shock (2010-2019) periods, we calculated an employment resilience index by combining the resistance and recovery indices. The panel logit regression measures the influences of the region's industrial structure and external economic factors in response to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diversity index of industries contributed to the post-shock recovery bounce-back. Additionally, the presence of large firms and industrial clusters within the region positively contributed to economic resilience. The specialization and the proportion of manufacturing industries showed negative effects, suggesting that regions overly reliant on manufacturing-centered specialization might be vulnerable to external shocks. Furthermore, excessive capital outflows for market expansion were found to have a detrimental impact on regional economic recovery.

공간계량분석을 이용한 도시특성요인이 지역 인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 of urban characteristics on Regional population using Spatial Econometrics Analysis - Focused on Incheon Metropolitan City -)

  • 김병석;이동성;손동글
    • 지역연구
    • /
    • 제33권3호
    • /
    • pp.21-30
    • /
    • 2017
  • 본 연구는 도시특성요인이 지역 인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분석대상은 인천광역시 122개 행정동을 대상으로 설정하였고, 분석방법은 공간계량모형인 공간자기회귀모형(SAR), 공간오차모형(SEM), 일반공간모형(SAC)을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공간측면에서 인구밀도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고용밀도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업측면에서 3차산업체수와 종사자수의 증가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택측면에서 아파트비율은 정(+)의 영향을 미치고, 저층 노후주택의 증가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시설과 도시공원이 증가할수록 인구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도시관리에 대한 몇 가지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