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etropolitan Cities

검색결과 806건 처리시간 0.025초

지역 영상산업 정책비교를 통한 영상산업 클러스트 연구 - 수도권, 부산, 전주를 중심으로 - (Study on the Film Industry Cluster through the Policy Comparison of Regional Film Industry - Focus on the Metropolitan, Busan, Jeonju Areas -)

  • 김진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115-123
    • /
    • 2008
  • 본 논문은 수도권을 포함한 지역별 영상산업 정책을 비교 연구함으로써 효과적인 영상산업 클러스트 구축을 어떻게 도모해야 할지를 밝히는가가 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를 포함한 수도권과 부산, 전주 등 4개 지역을 선정하여 각 지자체별 영상산업의 인프라 및 영상정책을 비교 검토하였으며, 이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하기에 이르렀다. 우선 영상산업 클러스트의 유형을 영상 산업형 클러스트와 영상. 관광사업 연계형 클러스트로 구분하고, 영상 산업형 클러스트는 국제적 경쟁력 강화를 위한 도시와 국내 차원의 영상산업 발전을 위한 도시로 다시 구분한 뒤 서울, 경기, 부산지역은 국제거점 영상 클러스트로 지정하고 전주, 대전지역은 지역거점 영상 클러스트로 지정하자는 것이다. 아울러 영상. 관광사업 연계형 클러스트는 로케이션 유치 및 오픈세트 등 관광단지 조성 등으로 지역 발전을 유도하는 차원에서 강원, 충청, 제주 지역 등을 지정하자는 것이다.

전국 고속철도 역세권의 개발 사업여건 및 잠재수요 특성 분석 (Analysis of Development Project Conditions and Potential Demand Characteristics in High-Speed Rail Station Areas)

  • 배성호;마강래;김찬호
    • 지역연구
    • /
    • 제40권2호
    • /
    • pp.75-89
    • /
    • 2024
  • 비수도권 중소도시의 도시서비스 효율성 저하 문제가 심화됨에 따라 지역거점을 통한 압축적 도시 공간을 형성하고자 철도역세권 개발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대도시 주요 역세권은 복합단지 형태로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중소도시 역세권의 개발 입지적 특성에 대한 분석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전국의 고속철도 역세권을 대상으로 개발 사업여건과 잠재수요의 특성을 분석하여 수도권 대도시, 비수도권 대도시, 비수도권 중소도시의 도시유형에 따른 입지적 특성 차이를 파악하고, 이에 적합한 개발방식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결과, '수도권 대도시 역세권'은 높은 잠재수요와 열악한 사업여건을 갖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에 비수도권의 경우에는, '중소도시 역세권'은 양호한 사업여건과 낮은 잠재수요의 특징, '대도시 역세권'은 중간적 성격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대도시와 중소도시 역세권 개발에 있어 서로 다른 개발방식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대규모 비용의 투입이 필요한 대도시 역세권은 잠재수요를 극대화하기 위한 민간참여형 사업을, 중소도시 역세권은 양호한 사업여건을 바탕으로 공공주도형 사업을 진행하거나 지역 특성에 기반한 개발을 통해 민간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보여주고 있다.

도시 문화자원 확보수준의 적정성에 관한 연구 -중소도시 전시공간을 중심으로- (A Study on Optimum Level of Exhibition Space for Cultural city focused on the Medium sized-Cities)

  • 반상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4853-4862
    • /
    • 2012
  • 현대도시에서 문화공간은 곧 도시생활의 중심역할을 하는 곳이라고 할 수 있다. 문화공간은 삶의 질을 높이고, 가치의 폭을 넓히는 거점인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문화공간이 대도시 지역에 집중된 현실은 문화적 수혜의 불평등을 초래하고 있으므로, 각 지역의 기능적, 공간적인 중심인 중소도시에 문화공간과 시설을 확보해야 할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선결되어야 하는 것이 그 확보의 적정수준을 모색하는 것이며, 이릉 위해 본 논문에서는 국내의 현황을 분석하고 선진사례의 비교분석을 기반으로 확보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적정한 확보의 수준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The Longitudinal Trend of Cardiac Surgery in Korea from 2003 to 2013

  • Lee, Kyeong Soo;Kim, Chang Suk;Park, Jong Heon;Hwang, Tae Yoon;Kim, Sang Won;Sim, Sung Bo;Lee, Kun Sei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9권sup1호
    • /
    • pp.1-13
    • /
    • 2016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longitudinal changes of the utilization of operational and surgical medical care inside and outside a metropolitan area over 10 years, analyzing the residential areas of patients and the locations of medical facilities for major cardiovascular surgery. Method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classifying the addresses of patients and the locations of medical care facilities of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from January 2003 to December 2013. Results: There is serious concentration of major heart surgery to medical facilities in Seoul; this problem has not improved over time. There were differences in percentages of surgical procedures performed in the metropolitan areas according to major diseases. In the case of Busan and Daegu provinces, at least 50% of the patients underwent surgery in medical facilities in the city, but there are other regions where the percentage is less than 50%. In the case of provinces, the percentage of surgical procedures performed in medical facilities in Seoul or nearby metropolitan cities is very high. Conclusion: Policies to strengthen the regional capabilities of heart surgery and to secure human resources are required to mitigate the concentration of patients in the capital area. Many regional multi-centers must be designated to minimize unnecessary competition among regional university hospitals and activate a win-win partnership model for medical services.

국내 7대 광역시 산림 연결성 비교 분석 (Comparing Connectivity in Forest Networks of Seven Metropolitan Cities of South Korea)

  • 강완모;김지원;박찬열;성주한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3-10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그래프 이론을 적용하여 7대 광역시의 산림 연결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다중공간규모의 전파 거리(100m~20km)에서 광역시별 산림 연결망의 전체 연결성을 평가하고, 소규모 산림(<10ha)이 연결성에 기여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대구와 대전, 울산은 연결성이 높은 상위지역으로, 광주와 부산, 서울, 인천은 연결성이 낮은 하위지역으로 크게 양분화 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소규모 산림들은 면적이 큰 산림들을 연결시키는 징검다리로서 특히 하위지역의 연결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생물 다양성에 중요한 연결성 보전을 위해서 상위지역에서는 잘 연결된 대규모 산림지역을 주요 거점으로 보전해야 한다. 하위지역에서는 우선적으로 연결성 유지에 중요한 소규모 산림들의 보전이 필요하다. 또한 연결성이 취약한 곳에 새로운 산림녹지를 조성해주는 전략이 요구된다.

ISCLT3를 이용한 수도권 도시간 대기오염물질 유출입량 추정 (Estimation of Fluxes of Air Pollutants in Seoul Conurbation Using ISCLT3)

  • 홍민선;김순태;김영제;양소희;이동섭;장영기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47-155
    • /
    • 2001
  • ISCLT3 model was applied in Seoul metropolitan area to investigate the source-receptor relationships among 17 cities in the Kyonggi Province. For the purpose of the model simulation, emission rates of NO$_2$, SOx, and PM(sub)10 were prepared for grid scale with 1$\times$1 km, and receptors were located on every 2$\times$2 km grid. Meterological data for the last 10 years(88~97) were used as input data. According to our study, NO$_2$ concentration of the cities ranged from 10 to 45 ppb with the highest value appearing from Puchon city. The concentrations of SOx and PM(sub)10 concentrations fell in the range of 5~20 ppb and 20~70$\mu\textrm{g}$/㎥, respectively. It was also found out that air quality in one city can be affected greatly by the air pollutants originating from other cities.

  • PDF

VULNERABILITY ASSESSMENTS AND RISK MANAGEMENT FOR CRITICAL INFRASTRUCTURES FROM HOMELAND SECURITY VIEWPOINTS

  • Chun Nen Huang;Yao-Chen Kuo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292-301
    • /
    • 2009
  • The employment of risk management theory in Urban Disaster Management System (UDMS) has become an important trend in recent years. The viewpoint of risk management is mainly a comprehensive risk assessment of various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nd a subsequent handling of risks. Through continuous and systematic accumulation and analysis of risk information, disaster prevention and rescue system is established. Taking risk management theory as the foundation,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has developed a series of UDMS in the mega-cities all over the world. With this system as a common platform, OECD cooperates with different cities to develop disaster prevention and rescue system consisting of vulnerability assessment methods, risk assessment and countermeasures. The paper refers to the urban disaster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risk management of OECD and the mega-cities of different advanced and developed countries in the world, and then constructs a preliminarily drafted structure for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methods and risk management mechanism in the metropolitan districts of Taiwan.

  • PDF

지방정부의 아동친화 도시 조성을 위한 아동권리 강화 방안 : 보편적 복지로서의 아동복지패러다임의 변환 (Plans to Strengthen Children's Rights for the Creation of Child Friendly Cities by Local Governments: The Conversion of Child Welfare Paradigms into Universal Welfare)

  • 최선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2호
    • /
    • pp.313-319
    • /
    • 2019
  • 최근 아동친화 도시 조성을 위한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의 정책이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아동친화도시에 대한 논의가 보편적 복지로서의 아동복지 차원에서 어떠한 함의를 갖고 있으며, 이를 어떠한 방향으로 적용할 수 있는지에 관해 논의하고자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크게 3가지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째, 아동친화도시의 정신이자 기본토대를 이루고 있는 UN아동권리협약 내용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보편적 복지로서의 아동복지 패러다임을 고찰한다. 둘째, 현대적 의미의 아동친화도시가 구성된 역사적 기원과 아동친화도시의 주요 특성을 살펴보고 셋째,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아동친화 도시 조성을 위한 아동권리 강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한국의 도시별 집세의 수렴화 현상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vergence of Housing Rent Indices among Korean Cities)

  • 최두열
    • 국제지역연구
    • /
    • 제15권1호
    • /
    • pp.585-602
    • /
    • 2011
  • 본 논문은 Phillips and Sul(2007)에 의해서 개발된 패널 수렴 테스트 방법을 이용하여 한국 21개 도시의 소비자 물가지수 중 집세 지수를 분석함으로써 지역별 집세의 동태적 수렴화 현상을 분석한 것이다. 분석 결과 한국의 21개 도시의 집세는 4개의 그룹별로 수렴하고 있으며 그 수렴 수준에 따라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제1그룹과 부천 등의 제2그룹 및 부산 대구 등의 제3그룹 그리고 청주 전주 목포 등의 제4그룹으로 나뉘어 수렴한다. 그룹에 소속된 도시들의 수렴 속도는 수도권을 중심으로하는 제1그룹, 제4그룹, 제2그룹 제3그룹의 순서로 나타났는데 이는 집세 수렴수준이 높은 제1그룹과 수렴수준이 낮은 제4그룹간에 집세의 양극화 현상이 빠르게 나타나고 있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처럼 도시별로 집세지수가 수렴하며 지역별로 양극화하고 있다는 결과는 향후 세제 및 주택 정책에 반영하여 지역별 소득 격차 완화에 사용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