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ethyl ethyl ketone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23초

知母의 生育特性과 部位別 Sarsasapogenin 含量 (Growth Characteristics and Content of Sarsasapogenin in Different Plant Parts of 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

  • 허일범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83-187
    • /
    • 1997
  • 본 실험은 지모의 생리, 생태적 특성과 성숙한 상태의 각 부위별 Sarsasapogenin의 함량을 비교 분석하고자, 5개의 수집종에 대해 1993년부터 '95년까지 충남농촌진흥원 특작포장에 재배하고 성숙된 지모의 각 부위별 Sarsasapogenin 함량을 T.L.C plate 방법에 의해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5개 수집종 중 주로 종실(種實)형을 나타낸 것은 공주, 청양 수집종이고 영양번식(營養繁殖)형은 금산, 연기, 유성종에서 주로 분류되어 있으며, 종실(種實)형이 비종실형보다 생육(生育) 및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이 양호하였다. 2. BuOH에 엑스를 산(酸)으로 가수분해(加水分解)한 후 T.L.C 용매(溶媒) 전개조건(展開條件)인 $CHCl_3$ : MEK : EtOH의 비율을 11 : 2 : 0.5로 하여 sarsasapogenin 분리(分離)가 가능하였고 Dual wave length T.L.C scanner로 정량(定量)이 가능(可能)하였다. 3. 주근(主根)과 세근(細根)의 sarsasapogenin의 량(量)은 각각(各各) 1.67mg/10g, 1.31mg/10g으로 세근(細根)에 sarsasapogenin의 량(量)이 주근(主根)보다 1.1배(倍)로 높게 나타나 세근(細根)에 sarsasapogenin 계통(系統)의 물질(物質)이 가장 많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지상부(地上部)의 sarsasapogenin 함량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공기중 유기용제 측정을 위한 활성탄섬유 확산포집기와 3M 확산포집기의 시료포집효율에 대한 연구 (Sampling efficiencies of the activated carbon fiber and 3M diffusive samplers for organic vapors)

  • 변상훈;오세민;이창하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1-31
    • /
    • 1997
  • Toluene, n-hexane, and methyl ethyl ketone(MEK) were exposed to the activated carbon fiber(ACF) and 3M(Model 3500) diffusive samplers under low and high humidity levels. In order to evaluate these two samplers, the sampling capacity, sampling rate, reverse diffusion, and storage stability were obtained. At low humidity level($8{\pm}3%RH$), the adsorption amount of all three organic vapors to the ACF diffusive sampler showed a positive linear relationship up to 8 hours. However, at high humidity level($90{\pm}5%RH$), n-hexane and MEK maintained a positive linear relationship up to 1.5 hrs, but decreased in their adsorption amounts afterwards. On the other hand, the adsorption amount of n-hexane, MEK, and toluene to 3M diffusive sampler showed almost a positive linear relationship up to 8 hours at both humidity levels. At low humidity level, there was almost no reverse diffusion for both 3M and ACF diffusive samplers. However, when the ACF diffusive sampler was used at high humidity level, there was about 52.63% of MEK sample loss and about 92.59% of n-hexane sample loss. The storage stabilities of the ACF and 3M diffusive samplers were both relative stable except for MEK. In the case of MEK, the difference between the analysis of the organic vapor right after the sampling and that of 3 weeks later at room temperature was 45% for the ACF diffusive sampler and 18% for the 3M diffusive sampler. Since the storage stability of the samples stored in a refrigerator was relatively stable, they need to be refrigerated until the analysis is done.

  • PDF

강섬유 보강 플라이애쉬.폴리에스터 수지복합체의 역학적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Steel Fiber Reinforced Fly Ash.Polyester Resin Composites)

  • 박승범;조영찬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156-166
    • /
    • 1993
  • 본 연구는 산업폐기물인 플라이애쉬를 충전재로 사용한 강섬유보강 폴리에스터 수지 복합체의 워커빌리티 및 그 역학적 특성을 구명하고, 그 제조방법을 실험적으로 검토한 것이다. 동복합체는 강섬유, 충전재(플라이애쉬, 중질탄산칼슘), 불포화 폴리에스터수지(스티타이렌 모노머), 경화촉진제(코발트옥테이트), 촉매(MEKPO) 및 굵은 골재와 잔골재를 사용하여 제조하였고, 배합조건별로 그 특성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플라이애쉬$\cdot$폴리에스터 수지복합체의 경우, 플라이애쉬-결합재비의 증가에 따라 압축, 인장, 휨강도 및 경화수축은 현저히 개선되었고 강섬유 보강 플라이애쉬$\cdot$폴리에스터 수지복합체의 경우 워커빌리티는 플라이해쉬-결합재비 및 강섬유혼입율 증가에 따라 저하하였으나, 압축, 휨강도 및 휨인성은 섬유혼입율 증가에 따라 현저히 증가되었다.

Aerosol Deposition Method를 이용한 적층 기판용 무소성 알루미나-폴리이미드 복합체 후막의 제조 (Preparation of $Al_2O_3$-based Polyimide Composite Thick Films without Sintering for Integrated Substrates Employing Aerosol Deposition Method)

  • 김형준;윤영준;김종희;남송민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8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9
    • /
    • pp.347-34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별도의 소결과정 없이 상온에서 치밀한 복합체 후막의 제조가 가능한 Aerosol Deposition Method (ADM)를 이용하여 SOP를 실현시키기 위한 기판 재료로서 알루미나 기반의 알루미나-폴리이미드 복합체를 제조하고 그 특성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다. SEM 관찰결과 기공이 거의 없고 치밀한 구조의 복합체가 상온에서 성공적으로 형성되었음이 확인되었다. XRD 와 FT-IR 분석 결과 알루미나와 폴리이미드 모두가 복합체에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XRD 분석결과 출발 원료에 폴리이미드 함량이 증가할수록 ADM으로 제조된 복합체 내부의 알루미나의 결정자 크기가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복합체의 알루미나 충진율을 확인하기 위한 간접적인 방법으로 복합체 후막을 연마하여 복합체 내부를 노출시킨 후 폴리이미드의 용매인 Methyl Ethyl Ketone으로 폴리이미드를 식각시켜 남아있는 알루미나 영역을 관찰한 SEM 분석결과 알루미나가 60% 이상 복합체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다는 사실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복합체의 미세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TEM 분석결과 기존에 보고된 ADM으로 제조된 알루미나 후막의 결정자 크기인 10~20 nm 보다 큰 100 nm 범위의 결정자 크기를 관찰 할 수 있었다. 유전특성평가 결과 유전율과 tan$\delta$는 1 MHz에서 각각 9.0, 0.0072로서 알루미나만을 원료로 성막시킨 후막의 유전 특성을 크게 떨어뜨리지 않으며 알루미나 후막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추후 복합체의 균일성 향상 및 고주파 영역의 유전 특성 향상을 통하여 세라믹의 취성 및 가공성이 개선된 3 차원 적층 기판재료로의 응용이 기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 PDF

회분식 반응기에서 TiO2 광촉매의 MEK 분해특성-금속담지영향 (Characteristics of MEK Degradation using TiO2 Photocatalyst in the Batch-type Reactor-Metal Doping Effect)

  • 장현태;차왕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579-1584
    • /
    • 2015
  • 광촉매반응에서 티타니아에 금속물질을 담지하면 광촉매표면이 변화되며 담지된 금속물질은 반응속도를 증가시킨다. 회분식 광반응기를 이용하여 $TiO_2$ 광촉매에 대한 금속물질 담지와 담지된 촉매의 소성조건 영향을 조사하였다. 광분해 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해 $TiO_2$ 촉매에 여러 종류의 금속물질을 담지하였다. 모든 실험에서의 수분함량은 3wt%, 반응기 온도는 $40^{\circ}C$이었다. $TiO_2$에 팔라듐을 담지한 경우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Pt와 W을 첨가한 경우도 양호하였다. Pd/$TiO_2$ 촉매에 백금 또는 텅스텐을 부가적으로 담지하여도 제거효율에서의 증가는 없었다. 적절한 소성조건을 얻기위해 소성온도와 소성시간에 대하여 다양하게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결과 최적의 소성조건은 소성온도 $400^{\circ}C$, 소성시간 1시간이었다.

Experimental Study on Poultices Applying to Remove Fixative (Paraloid B72) on Earthen Mural Painting

  • Lee, Kyeong Min;Moon, Hye Young;Yu, Yeong Gyeong;Kim, Soon Kwan
    • 보존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69-580
    • /
    • 2018
  • The possibility of applying poulticing was studied for removing Paraloid B72, a resin used for fixing an earthen mural painting. Five types of poultices were selected from clay and gel types, and acetone, ethanol, and methyl ethyl ketone(MEK) were used as mixed solvents. The possibility of mixing between the poultice and solvent was investigated, and then the spreadability, fluidity, acidity, drying properties, and solubility of the poultices were examined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A poultice agent, which is suitable for applying to a mural painting, was selected and applied to a painting layer sample coated with Paraloid B72. As a result, all painting layers were good condition at under 50% of the solvent. The removal efficiency of Paraloid B72 was more effective when most of the solvents were used at 50%, rather than at 25%. However, it is difficult to mix 50% of MEK and ethanol with the gel-type poultices. When used at 25%, the removal performance was poorer than that at 50%, but the mixing with all the poultices was successful. In addition, the adsorption and removal power of the gel-type poultice were better than those of the clay-type, but the latter was expected to be more suitable in short-time cases due to its high drying spe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dissolution performance varies depending on the poultices and solvents. Hence, the poultice and solvent should be selectively applied, considering the fixative of the mural to be removed.

자동차 쇼크업소바 제조사업장의 작업자 노출 유해인자의 종류 및 노출수준의 경시적 변화 (Types of Hazardous Factors and Time-trend of Exposure Levels from the Working Environment at a Shock Absorber Manufacturing Facility)

  • 나규채;문찬석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93-405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examines the types of hazardous factors in the working environment and the time-trend for their exposure levels over 10 years (2007 to 2016). Study Design and Method: The types of hazardous factors and exposure levels were drawn from the 19 measurement reports on the working environment over 10 years at a shock absorber manufacturing facility. Risk assessment of the types of factors and time-trend of exposure levels were evaluated using the factors and exposure levels. Results: A total of 34 hazardous factors were evaluated. The types were noise, 15 organic compounds, seven kinds of acid sand alkalis, eight kinds of heavy metals, and three other compounds. Special management materials used were nickel, hexavalent chrome, and sulfuric acid. Human carcinogens (1A) used were trichloroethylene, nickel, and sulfuric acid. There were six types of substances belonging to the IARC's 2B (body carcinogens) classification or higher, including, methyl isobutyl ketone, ethyl benzene, and trichloroethylene. No detection was found for 627 out of the 2065 total measurements in 19 exposure survey reports, representing 30.4%. Organic solvents, acid and alkali products, and heavy metals showed continuous low exposure concentrations. Noise, welding fumes, and the evaluation of mixed solvents show a gradual decrease in geometric mean and maximum over the time-trend of 10 years. Conclusions: In the case of a shock absorber manufacturing facility, the hazardous factors of noise and the evaluation of mixed solvents still indicate high concentrations exceeding the exposure limits and necessitate reduction studies. These two factors and welding fumes showed a continuous decrease in their ten-year tendency. Organic compounds, acids/alkalis, and heavy metals were managed smoothly in a work environment of continuous low concentrations.

방사선조사 고추가루로부터 휘발성 표지물질의 구명 (Identification of Irradiation -induced Volatile Marker Compounds in Irradiated Red Pepper Powder)

  • 김훈;안준석;신영민;이영자;이경혜;변명우;차용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36-242
    • /
    • 2005
  • 방사선 조사된 고춧가루의 휘발성 화합물로부터 방사선 조사 표지물질의 선정에 의한 새로운 검지방법의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각 선량별(0, 1, 3, 5, 10 kGy)로 조사된 고춧가루를 시료로 하여 SPME법 및 P&T법으로 휘발성 화합물을 추출한 후 GC/MS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SPME법 및 P&T법에 의해 각각 51종과 34종의 휘발성 화합물이 검출되었다. 이 중 방사선 조사선량과 유의 적 상관성 (p<0.05 또는 p<0.01)을 가지는 총 25종의 화합물이 SPME법 및 P&T법에 선별되었으며 이는 주로 탄화수소류(4종, dodecane, tridecane, tetradecene, pentadecane), 알데히드류(7종: propanal, 2-methylpropanal, 2-propenal, hexanal, (E)-2-octenal, benzaldehyde, (E)-2-noneal), 케톤류(1종: 2,2,6-trimethyl-cyclohexanone), 알콜류(3종: 1-ponton-3-ol, hexanol, 1-octen-3-ol), 방향족화합물류(4종: toluene, ethyl benzene, o-xylene, 1,3-bis(1,1-dimethylethyl)benzene), 에스테르 화합물류(2종,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및 기타 화합물(4종: p-cymene, tetramethyl-pyrazine, dimethyl disulfide, $\beta$-ocimene)로 구성되어 있었다. 하지만 방사선 조사선량과 화합물의 함량 간의 회귀분석에 의한 결정계수($R^2$) 0.80 이상을 나타내며, 방사선 조사된 시료에서만 검출되는 조건을 만족하는 화합물은 1,3-bis(1,1-dimethylethyl)benzene 1종 뿐이었으며, 1,3-bis(1,1-dimethylethyl)benzene이 SPME법 과 P&T법에 의한 고춧가루의 방사선 조사 판별을 위한 휘발성 표지물질로 선정되었다.

MTMS와 TMES로부터 제조된 코팅 도막의 발수성에 미치는 촉매와 용매 종류의 영향 (Effects of Types of Catalysts and Solvents on the Water Repellency of Coating Films Prepared from MTMS and TMES)

  • 김동구;이병화;송기창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7권6호
    • /
    • pp.749-757
    • /
    • 2019
  • Methyltrimethoxysilane (MTMS)과 trimethylethoxysilane (TMES)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여러 종류의 용매에 용해시킨 후 다양한 종류의 촉매를 사용해 물과의 가수분해 및 중축합반응을 진행시켜 비불소계 발수 코팅 용액을 제조하였다. 또한 이 코팅 용액을 냉연 강판 위에 스핀 코팅하고 열 경화시켜 발수 코팅 도막을 제조 하였다. 이 과정 중 촉매와 용매의 종류 변화가 생성된 코팅 도막의 발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강산인 염산과 질산을 촉매로 사용한 경우에는 용액 내에 siloxane polymer들의 응집이 발생한 흰색의 불투명 상태를 나타냈다. 반면에 약산인 아세트산, 인산과 옥살산을 사용한 경우에는 투명하고 침전이 없는 안정한 용액 상태를 보였다. 이로 인해 강산인 염산과 질산을 사용한 경우의 코팅 도막의 접촉각은 각각 $58^{\circ}$$92^{\circ}$로 낮은 발수성을 보인 반면에 약산인 아세트산, 인산과 옥살산으로 제조된 경우에는 각각 $101^{\circ}$, $103^{\circ}$, $116^{\circ}$의 접촉각을 보여 높은 발수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이소프로판올과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한 경우에는 용액 내에서 siloxane polymer들의 응집이 일어나 불투명한 침전이 발생한 상분리 현상을 보인 반면 메탄올, 에틸아세테이트와 메틸에틸케톤을 용매로 사용한 경우에는 투명하고 침전이 없는 안정된 상태를 나타내었다.

유기지방산 신규악취물질에 대한 저온농축 열탈착방식 (Thermal desorber)의 검량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alibration characteristics of organic fatty acids designated as new offensive odorants by cryogenic trapping-thermal desorption technique)

  • 안지원;김기현;임문순;주도원
    • 분석과학
    • /
    • 제22권6호
    • /
    • pp.488-497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2010년 기준의 지정악취물질에 해당하는 유기지방산과 함께 기존 VOC류 지정 악취물질들을 포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흡착관-열탈착 분석기법을 연구하였다. 이러한 분석기법의 검량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Tenax TA를 충전한 시료흡착관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여기에 유기지방산 4종 (propionic acid (PA), butyric acid (BA), isovaleric acid (IA), valeric acid (VA))을 위시한 13 가지 조사성분을 함유한 작업용 표준시료를 주입하고 저온농축기법으로 분석하였다. 유기지방산의 분석감도를 절대량 (ng) 및 농도기준 (ppb)의 검출한계로 비교해 보았을 때, 다른 일반적인 VOC 악취성분들에 비해 약 1.5-2배 낮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PA: 0.24 ng (0.16 ppb), BA: 0.19 ng (0.11 ppb), IA: 0.15 ng (0.07 ppb), and VA: 0.28 ng (0.13 ppb)). 분석의 재현성을 RSE로 표시할 경우, 대부분의 성분들이 5% 이내로 안정적으로 나타난 반면, BA (8.02%), IA (14.0%), VA (5.08%)는 5%가 넘을 정도로 낮은 재현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내부표준물질을 이용한 검량으로 비교하였을 때, 대다수 성분의 재현성이 향상되는 양상을 보였다(PA: $1.1{\pm}0.4%$, BA: $10{\pm}0.46$, IA; $12{\pm}0.3%$, VA: $4{\pm}0.1%$). 이 연구의 결과, 악취공정시험법에서 유기지방산의 분석방법으로 권장한 알칼리 흡수법에 대비하여 흡착튜브를 이용한 시료의 채취가 보다 유용한 대체방법으로 활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