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hyl C(2)

검색결과 1,766건 처리시간 0.029초

산지별 마늘의 향기 항산화활성과 열처리 효과 (Effects of Heat Treatm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roma on Garlic Harvested in Different Cultivation Areas)

  • 정지영;우관식;황인국;윤향식;이연리;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2호
    • /
    • pp.1637-1642
    • /
    • 2007
  • 생마늘과 열처리에 따른 마늘의 향기 특성과 향기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확인하고자 국내산 한지형 마늘 3종(단양, 서산, 의성마늘)과 난지형 마늘 3종(남해, 남도, 대서마늘), 중국산 마늘에 대하여 simultaneous distillation and extraction(SDE) 방법으로 향기 성분을 추출하여 GC/MS로 동정하고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생마늘의 주요 향기성분은 allyl methyl sulfide, methyl-2-propenyl disulfide, diallyl disulfide, 2-ethylidene-1,3-dithiane, methyl-2-propenyl trisulfide, di-2-propenyl trisulfide 및 2-vinyl- 4H-1,3-dithiin 등으로 나타났다.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diallyl disulfide, methyl-2-propenyl trisulfide 및 di-2-propenyl trisulfide 등은 중국산 마늘보다 한지형 마늘이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향기성분은 열처리시 2-propanone, allyl mercaptan, methyl formic acid, 2-methyl butanal 2-methyl thiophene, methyl pyrazine, 2,2-dimethyl-1,3-dithiane 및 2-propenyl propyl disulfide 등이 새롭게 생성되었으며, allyl methyl sulfide, allyl alcohol 및 allyl sulfide 등의 분자량이 작은 화합물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산지별 생마늘의 향기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단양, 남해 및 중국산은 각각 20.07, 34.62 및 9.71%의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고, 열처리 후에는 각각 79.90, 93.59 및 77.26%로 증가하였다.

가열처리(加熱處理)에 따른 구기자(枸杞子) 추출물(抽出物)의 성분변화(成分變化) (Changes of chemical constituents in extract of Lycii fructus by various heat treatment)

  • 이상덕;이미현;손현주;복진영;성창근;김찬조;오만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4호
    • /
    • pp.268-273
    • /
    • 1996
  • 구기자 음료의 풍미 개선을 위하여 구기자를 가열 및 볶음 처리하여 추출물을 제조하고, 추출물의 성분, 색도, 향기성분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건조구기자의 성분은 수분 21.8%, 전당 27.6%, 환원당 15.2% 조단백질 14.3% 조지방 5.7%, 조섬유 7.5%, 회분 8.0% 이었다. 2. 추출물의 고형물을 기준으로 추출수율은 건조 구기자와 용매비를 높임에 따라 증가하였다. 3. 건조구기자 추출물 제조에 있어 고형물은 물추출이 가장 높았고, ethanol의 농도를 높임에 따라 감소하였다. 4. 구기자는 $140^{\circ}C$에서 8분간 볶음처리하고 $120^{\circ}C$에서 1시간 가열 처리 하였을 때 수율, 색도 등에 있어서 가장 양호 하였다. 5. 생구기자의 향기성분은 hexadecanoic acid, methyl linoleate, benzyl alcohol, dimethal benzene 이었으며 가열 및 볶음처리에 의하여 2-methyl-2-butenal, 1.4-dimethyl-benzene, benzyl alcohol 등은 감소 하였고 methyl thiopropanol, benzene acetaldehyde, ethyl linoleate는 증가 하였다.

  • PDF

Protein Kinase 억제제 첨가 후 Platelet-Activating Factor에 의하여 자극된 호중구반응의 변경 (Alteration of the Activated Responses in Platelet-Activating Factor-Stimulated Neutrophils by Protein Kinase Inhibitors)

  • 이강건;고지영;함동석;신용규;이정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03-112
    • /
    • 1996
  • Platelet-activating factor (PAF)에 의하여 자극된 호중구 respiratory burst, 탈과립과 세포질 칼슘농도의 증가에 있어 protein kinase C와 protein tyrosine kinase의 역할을 관찰하였다. PAF에 의하여 자극된 호중구에서 superoxide 및 $H_2O_2$의 생성과 myeloperoxidase와 acid phosphatase의 유리는 protein kinase C 억제제인 staurosporine과 H-7 그리고 protein tyrosine kinase 억제제인 genistein과 tyrphostin에 의하여 억제되었다. PAF에 의한 호중구 세포내 칼슘농도의 증가는 staurosporine, genistein과 methyl-2,5-dihydroxycinnamate에 의하여 억제 되었다. Staurosporine은 PAF에 의하여 자극된 호중구에서 세포내 칼슘유리와 망간유입을 억제 하였다. Genistein과 methyl-2,5-dihydroxycinnamate는 PAF에 의한 망간유입을 억제하였으나, 세포내 칼슘유리에 대한 이들의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PMA에 의하여 활성화된 호중구에서 세포내 칼슘농도의 증가에 대한 PAF의 자극효과는 감소되었다. Protein kinase C와 protein tyrosine kinase는 PAF에 의하여 자극된 호중구에서의 respiratory burst, lysosomal enzyme유리와 칼슘동원에 관여할 것으로 제시된다. 세포내 칼슘농도의 증가는 protein kinase의 영향을 다르게 받는 세포내 칼슘유리와 세포외부로 부터의 칼슘유입에 의하여 이루어질 것으로 추정된다. Protein kinase C가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세포내 칼슘동원에 대한 PAF의 자극작용은 감소될 것으로 시사된다.

  • PDF

식용식물자원으로부터 활성물질의 탐색-XX. 순무(Brassica campestris ssp rapa)뿌리로부터 지질화합물의 분리 (Development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Edible Plant Sources-XX. Isolation of Lipids from the Roots of Brassica campestris ssp rapa)

  • 방면호;이대영;한민우;오영준;정해곤;정태숙;최명숙;이경태;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3호
    • /
    • pp.233-237
    • /
    • 2007
  • 순무 뿌리로부터 활성 물질을 분리 동정 하기 위하여 80% MeOH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이를 여과, 감압 농축하여 MeOH 추출물을 얻었다. 이를 EtOAc분획, n-BuOH분획, $H_{2}O$분획으로 나누었으며, EtOAc분획과 n-BuOH분획에 대해 silica gel 및 ODS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5종의 화합물을 분리 정제하였다. $^{1}H-NMR$, $^{13}C-NMR$, DEPT spectrum 및 Mass spectrum 등을 통하여 palmitic acid methyl ester(1), linolenic acid methyl ester(2), linoleic acid methyl ester(3), ${\beta}-sitosterol$(4), daucosterol(5)으로 구조를 결정하였다.

$\textrm{N}_{G}$-Monomethyl-L-arginine의 대사 : 흰쥐에서 N-monomethylurea의 생성 (Metabolism of $\textrm{N}_{G}$-Monomethyl-L-arginine Formation of N-Monomethylurea in rat)

  • 조영봉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권1호
    • /
    • pp.81-86
    • /
    • 1986
  • $^{14}$ C로 표지된 $N^{G}$ -mono[$^{14}$ C-methyl]-L-arginine을 흰쥐에 경구투여 하여 7일동안에 66.3%의 방사능이 회수되었다. 회수된 총방사능의 86.2%는 처음 24시간내에 배설되었으며, 그 분포는 산성 물질, 염기성물질, 중성물질 및 회수된 $N^{G}$ -monomethyl-L-arginine에 서 각각 33.3%, 40.2%, 12.5% 및 0.3%이었다. 중성물질 방사능의 약 50%는 N-monomethylurea에 해당하며 이는 투여한 전체방사능의 6%이었다.

  • PDF

Isoimperatorin, $C_{16}H_{14}O_4$의 결정구조 (Crystal Structure of Isoimperatorin, $C_{16}H_{14}O_4$)

  • 김문집;신준철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38-143
    • /
    • 1997
  • Isoimperatorin, 4-[3-methyl-2-butenly)oxy]=7H-furo[3,2-g][1] benzopyran-7-one의 분자 및 결정구조를 X-선 회절법으로 연구하였다. 이 결정의 분자식은 C16H14O4, 결정계는 단사정계이고 공간군은 P21/c이다. 단위세포상수는 a=8.865(1) Å, b=9.331(1) Å, c=16.156(1) Å이며 β=98.12(1)', V=1322.9(2) Å3, T=293(2)K, z=4이다. 구조해석에 사용한 X-선은 Cu Kα선(λ=1.5418 Å)이다. 구조는 직접법으로 풀었으며, 최소자승법으로 정밀화하였다. 최종 신뢰도 R값은 Fo>4o(F0)인 1922개의 독립회절데이타에 대해 5.72% 이다.

  • PDF

Synthesis and Quartemization of 6-(Substitutedamino)-Purines with Antitumor Activity Screening

  • El-Bayouki, Khairy-A.M.;Basyouni, Wahid-M.;El-Din, S.M.;Habeeb, A.G.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7권2호
    • /
    • pp.60-65
    • /
    • 1994
  • Reaction of c-chloro-9-benzyl-8-(methylthio)purine 3 with primary amines afforoded, the comesponding 6-(substitutedamino)purines 4a-g. The latter products when methylated with methyl iodide yielded smoothly $N^3$-methyl purinium iodide salts 5a-f rather than the probable $N^1\;and\;N^7$-derivatives. 9-Benzyl-3-methyl-6-(methylmino)-8-(methylthio)purine 8 was obtained upon treating the purinium iodide 5a with alkali. Most of the synthesized compounds were screened for their antitumor activity.

  • PDF

Low Temperature Suspension Polymerization of Methyl Methacrylate for the Preparation of High Molecular Weight Poly(methyl methacrylate)/Silver Nanocomposite Microspheres

  • Yeum, Jeong-Hyun;Ghim, Han-Do;Deng, Yulin
    • Fibers and Polymers
    • /
    • 제6권4호
    • /
    • pp.277-283
    • /
    • 2005
  • In order to prepare high molecular weight poly(methyl methacrylate) (PMMA)/silver nanocomposite microspheres, methyl methacrylate was suspension-polymerized in the presence of silver nanoparticles at low temperature with 2,2'-azobis(2,4-dimethylvaleronitrile) as an initiator. The rate of conversion wa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initiator concentration. When silver nanoparticles were added, the rate of polymerization decreased slightly. High monomer conversion (about $85\%$) was obtained in spite of low polymerization temperature of $30^{\circ}C$. Under controlled conditions, PMMA/silver microspheres with various number-average degrees of polymerization (6,000-37,000) were prepared. Morphology studies revealed that except for normal suspension microspheres with a smooth surface, a golf ball-like appearance of the microspheres was observed, due to the migration and aggregation of the hydrophilic silver nanoparticles at the sublayer beneath the microsphere's surface.

3,3’-Diethyl-9-Methyl-Thiacarbocyanine 색소 2 분자 회합체의 해리평형 (Dissociation Equilibrium of Dimeric Association of 3,3-Diethyl-9-Methyl-Thiacarbocyanine Dye)

  • 김성훈;김재홍;송경헌;임용진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16-220
    • /
    • 1993
  • Dissociation constants and heat of dissociation of dimers of 3, 3'-diethyl-thiacarbocyanine dye(Dye 2) have been studied. At $10~40^{\circ}C$, absorption spectra of 2 vol% aqueous ethanol solutions of Dye 2 showed monomer and dimer bands. From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monomer absorbance, dissociation constants K and ${\Delta}H$ were estimated to be $6.2(10^{\circ}C)-10.6(40^{\circ}C)mon/\ell$ and 3kcal/mol, respectively. These K valus are about one half of those for 3,3'-diethyl-2,2'-cyanine dye with one methine carbon, indication a higher dimer stability than that of 3,3-diethyl-2,2'-cyanine dye.

  • PDF

수도용 발포성정제 제초제의 확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usibility of Bubbling Tablet Herbicide Formulations for Paddy Rice)

  • 김만호;양광록;이창혁;심재원;김경현;윤철수;유용만;변종영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01-410
    • /
    • 2005
  • 논 잡초를 생력적으로 방제하기 위하여 발포성 정제를 제조하여 최적 유효농도 결정 제제실험, 발포성 실험, 확산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정제의 발포속도는 유기산의 종류에 따라 oxalic acid>malonic acid>citric acid>tartar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발포성 정제 g 당 5분 이내에 발생하는 가스의 량은 수온에 따라 상이하여 $10^{\circ}C$에서 20 mL, $15^{\circ}C$에서 25 mL, $20^{\circ}C$에서 28 mL, $25^{\circ}C$에서 45 mL, $30^{\circ}C$에서 57 mL 이었다. 발포성정제의 수온에 따른 농약 주성분의 수중 확산성은 5, 15, 20, $30^{\circ}C$에서 처리 24시간 후 처리지점으로부터 2.4 m 떨어진 지점의 농도가 투하지점 농도의 20, 48, 85, 97%로 나타나 발포력이나 확산성 모두 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담수 중 산도에 따른 발포력은 $pH5{\sim}11$의 범위에서 가스발생량에는 차이가 없었다. Halosulfuron-methyl의 담수 중 농도는 실험면적의 크기와 관계없이 살포 후 24시간이 되면 표준농도 수준인 0.16 ppm 을 유지하였다. Pyriminobac-methyl도 같은 경향을 보여 면적의 크기는 확산성실험에 큰 영향이 없었다. 발포성 정제 살포 24시간 후 처리지점으로부터 바람의 방향 또는 바람의 반대방향으로 2.4 m 떨어진 지점에서의 제초제 주성분 농도는 차이가 없었다. 표준 약량의 4배량으로 5 g 짜리 4개의 정제를 4개지점에 동시에 처리한 경우 처리 24시각 후 halosulfuron-methyl 및 pyriminobac-methyl은 균일한 확산성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