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검색결과 232건 처리시간 0.026초

인천지역에서 분리된 황색포도상구균의 분자생물학적 특성 분석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Clinically Isolated Staphylococcus aureus)

  • 오보영;김정희;공용우;이제만;고종명;김용희
    • 미생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05-310
    • /
    • 2008
  • 황색포도상구균은 주요한 기회 감염균으로, 최근 여러 가지 항생제에 내성을 지닌 메치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이 늘어나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천지역관내 설사환자에서 분리한 장독소 양성인 S. aureus를 대상으로 항생제 감수성시험 및 PCR을 이용한 tsst, eta, etb mecA 유전자 검사를 실시하여 생물학적인 특성을 조사하였고, tsst 양성인 MRSA를 대상으로 Pulse Field Gel Electrophoresis (PFGE)에 의한 유전자형을 분석함으로서 경시적인 분자역학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2,281건의 대변에서 173주의 장독소 양성인 S. aureus를 분리하였으며 A독소와 C독소가 각각 39%, 5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생제 감수성 결과 장독소 양성주는 모두 MRSA였으며, 이중 51%가 tsst 양성인 것으로 나타났고 eta, etb 유전자는 검출되지 않았다. mecA 내성유전자는 MRSA 균주의 97%가 양성으로 나타났다. tsst 양성인 MRSA 88주를 대상으로 PFGE한 결과, 10개의 유형으로 나뉘었으며 그중 A형, H형 및 F형 이 각각 58%, 10%, 9%로 주요한 형으로 나타났다.

포도상 구균성 열상 피부 증후군의 임상적 고찰 : Methicillin 내성과 감수성 Staphylococcus aureus 예의 비교 (Staphylococcal Scalded Skin Syndrome in Children : Comparison of the Clinical Features of That Isolated Methicillin-resistant and Methicillin-sensitive Staphylococcus aureus)

  • 이성훈;최우경;정창현;정철주;이동진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1권2호
    • /
    • pp.183-191
    • /
    • 2004
  • 목 적 : 최근 항생제 내성에 의한 MRSA, 특히 지역 사회 획득 MRSA가 증가되고 있는 실정에서 MRSA에 의한 SSSS 환아들이 증가될 것으로 예상이 된다. 이에 저자들은 MRSA가 검출된 SSSS 환아의 임상적 특징과 MSSA가 검출된 SSSS 환아의 임상적 특징을 비교해 보고자 본 조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9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울산동 강병원 소아과에 입원하여 SSSS으로 진단 받고 치료한 36례를 대상으로 임상 증상, 세균 배양 검사 소견의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MRSA가 검출된 군과 MSSA가 검출된 군과의 임상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1) 36례의 SSSS 환아의 선행감염부위의 배양검사 결과 MRSA가 검출된 경우가 8례 MSSA가 검출된 경우가 11례, 균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가 17례였다. 2) 두 군 모두 2세에서 5세 사이가 가장 많았다. 3) SSSS의 임상 형태를 보면 MRSA군에서는 전신형이 7례, 부전형이 1례 MSSA군에서는 전신형이 5례, 부전형이 6례로서 MRSA군에서 전신형이 더 많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4) SSSS 환아는 증가추세에 있었으며 MRSA 검출 환아는 2003년에 6례로서 대부분 발생하였다. 계절별 분포는 두 군 모두 가을과 겨울에 많았다. 5) 침범된 피부 병변 부위는 얼굴이 전례에서 침범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주로 굴측부에 침범되었다. 두 군 모두 동일한 양상을 보였다. 6) 피부와 인후부 배양에서 검출률이 높았으며 혈액 배양에서는 1례도 검출되지 않았다. 7) 급성상기도 감염과 결막염이 각각 10례로서 가장 흔한 선행감염질환이었는데 두 군과의 차이는 없었다. 8) MRSA가 검출된 SSSS 환아 8명 중 4명에선 치료 시작시 선택된 항생제에 충분히 호전되었다. 9) 평균 입원기간은 $7.4{\pm}3.0$일이었으며 MRSA군이 $9.1{\pm}3.8$일, MSSA군이 $7.6{\pm}3.0$일로서 MRSA군에서 입원기간이 약간 길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결 론 : MRSA가 검출된 SSSS의 환아의 임상증상은 전신형이 부전형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다소 많았던 것 이외는 MSSA가 검출된 SSSS와 특별한 차이는 없었다.

  • PDF

혈액 및 일반 세균배양에서 검출된 균종과 항균제 감수성 추이(1997~2001) (Trends of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 for Bacterias Isolated from Blood, Urine, Stool, and Cerebrospinal Fluid(1997~2001))

  • 홍미애;오경창;안승인;김봉림;김연호;김성섭;장진근;전경소;차성호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0권2호
    • /
    • pp.167-177
    • /
    • 2003
  • 목 적 : 연도별 항균제 감수성의 추이를 파악하는 것은 항생제 치료에 대한 정보를 얻는데 매우 중요하다. 이에 저자들은 1997년부터 2001년까지의 혈액, 뇨, 분변 및 뇌척수액에서 분리된 균종 및 그들의 항균제 감수성검사를 분석하였다. 방 법 : 1997년 1월부터 2001년 12월 사이에 신생아에서 18세까지의 한일병원 소아과 외래 및 입원환아로부터 혈액, 요, 분변 및 뇌척수액에서 분리된 검출물을 대상으로 검사대장을 통해서 원인균주와 항균제 감수성 검사를 후향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결 과 : 6,974검체의 혈액배양에서 226검체(3.3%), 4,549검체의 요배양에서 365검체(8.0%), 2,593검체의 분변 배양에서 50검체(1.9%) 및 655검체의 뇌척수액배양에서 9검체(1.4%)로부터 원인 균주가 분리되었다. 1) 혈액배양에서 Staphylococcus epidermidis(33.5%), Staphylococcus aureus(19.7%), Escherichia coli(13.8%)와 Burkholderia cepacia(9.0%) 순으로 많았고 요배양에서 E. coli(74.7%), GroupD Enterococcus(11.3%), Klebsiella pneumoniae(7.1%)와 Proteus mirabilis(2.5%) 순으로 많았으며 분변배양에서 Group D Salmonella 및 뇌척수액배양에서 Group B Streptococcus가 많이 분리되었다. 연도별 주요 원인균주의 빈도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2) 혈액배양에서 40명의 S. aureus 양성 환아 중 27명에서 methicillin에 내성을 갖는 S. aureus가 관찰되었다. 3) 혈액배양에서의 E. coli의 amikacin과 3세대 cephalosporin제제인 ceftizoxime 및 ceftriaxone에 대한 감수성률은 1997년도에 각각 80%, 100%, 80%와 2001년도에 각각 60%, 80%, 60%이었고 요배양에서 K. pneumoniae의 amikacin과 ceftizoxime 및 ceftriaxone에 대한 감수성률은 1997년도에 각각 80%, 100%, 80%와 2001년도에 각각 50%, 83%, 50%이었다. 4) 요배양에서의 Group D Enterococcus 양성률은 1997년도에 6.7%에서 2001년에는 15.8%에서 분리되었으며 다약제 내성을 보였고, 특히 vancomycin에 대해서는 11~33% 정도의 균주가 내성을 보였다. 5) Group D Salmonella의 amikacin과 3세대 cephalosporin계 항생제인 ceftizoxime 및 ceftriaxone에 대한 감수성률은 각각 96%, 96%, 92%이었다. 결 론 : 혈액배양에서 methicillin에 내성을 갖는 S. aureus가 67%에서 관찰되었으나 vancomycin에 내성을 갖는 S. aureus는 관찰되지 않았다. 혈액배양에서의 E. coli와 요배양에서의 K. pneumoniae의 amikacin과 3세대 cephalosporin제제에 대한 내성이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요배양에서의 Group D Enterococcus의 검출율이 증가하였고, vancomycin에 대한 내성이 17%에서 관찰되었다.

  • PDF

신경외과중환자실 내에서 MRSA 감염관리 효과 (Effect of the Management of Infection for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t an Neurosurgical Intensive Care Unit)

  • 김윤경;이지민;홍해숙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1권2호
    • /
    • pp.114-119
    • /
    • 2009
  • Purpose: The effectiveness of an infection control program is important to hospital quality improvement and decreases of mortality rate and prevalence.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is the most common pathogen causing nosocomial infection. The aim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most important risk factors for acquiring an MRSA, to evaluate the MRSA incidence rates after the nursing intervention in Neurosurgery intensive care unit (ICU). Methods: Clinical data were collected prospectively from December 2008 until July 2009 in Neurosurgery ICU.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preintervention and postintervention groups. An infection was defined as an MRSA if it occurred 48 hr after admission to the Unit. Infection control program including hand washing, education of health care workers about MRSA, standard precaution and contact isolation of patients were applied for three month. Results: A total of 85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Forty-five patients of S. aurerus were detected. Among 45 of S. aurerus, MRSA were isolated from 38 patients. The incidence MRSA rate of postintervention group was 26.9% while incidence MRSA rate of preintervention group was 66.7%. In total, The incidence MRSA rate was 44.7%. The incidence of MRSA have decreased in the postintervention as compared with the preintervention group. Conclusion: The infection control program for MRSA was effective to decrease the MRSA isolation rate. The health care workers regular hand washing, education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is important enough to be emphasized.

  • PDF

부산지역 설사환자에서 분리한 MRSA 균주의 다양성 분석 (Analysis of the Diversity of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Strains Isolated from Diarrhea Patients in Busan Area)

  • 최성화;박은희;박연경;김정아;김남호;이영숙;빈재훈;박호국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8호
    • /
    • pp.1083-1089
    • /
    • 2008
  • 부산 지역 5개 2차 종합병원 설사환자 변에서 유래한 메치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에 대한 연구 결과, 분리된 황색포도상구균 142주 중 총 49주(34.5%)가 MRSA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황색포도상구균 중 MRSA 분리율이 '04, '05, '06년에 걸쳐 각각 30.0%, 32.7%, 46.7%인 것으로 나타나,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MRSA 균주의 항균제 내성 양상은 75.5%가 10종 이상의 항균제에 내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11종 항균제에 대한 다제 내성균이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MRSA주의 장독소 유전자 시험을 실시한 결과 51%가 장독소 유전자를 가지고 있지 않았고, 30.6%가 독소유전자 A를 가지고 있었으며 그 밖에 C (8.3%), B (4.1%) 순이었다. MRSA 총 49주에 대해 PFGE를 수행하여 dendrogram을 작성한 결과, 크게 7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으며, 부산지역 전체에 뚜렷하게 동일한 균주의 유행은 확인 할 수 없었으나, 종합병원 내에 소규모의 MRSA 유행은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급식실 실내공기에서 분리된 황색포도상구균과 바실러스 세레우스의 독소 유전자 및 항생제 내성 (Toxin Gene and Antibiotic Resistance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Bacillus cereus Isolated from Indoor Air in Cafeteria)

  • 오도경;조아현;김찬영;정은선;김중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20-527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보육시설 실내공기에서 분리된 식중독 균주의 독소 유전자 분포와 항생제 내성을 분석하여 보육시설 실내공기에 의한 식중독 발생을 사전 예방하고 식중독 발생 시 적절한 치료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어린이집 실내공기에서 분리된 Staphylococcus aureus 16주, Bacillus cereus 37주를 실험대상으로 하였다. S. aureus와 B. cereus 독소 유전자는 PCR 방법으로 검출하였다. 항생제 감수성 실험은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 Institute의 디스크 확산법에 따라 실험하였다. S. aureus 16 균주 중 11 균주(68.6%)에서 seg와 sei 독소 유전자가 검출되었다. B. cereus 37 균주 모두에서 nheA와 nheB 독소 유전자가 검출되었다. B. cereus 독소 유전자 패턴은 총 12개로 나타났으며 nheA-nheB-nheC 독소 유전자가 가장 중요한 패턴으로 나타났다. S. aureus 16 균주의 항생제 감수성실험 결과 ampicillin과 penicillin 항생제에 93.8%, 87.5% 내성을 나타내었으나 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와 vacomyc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는 검출되지 않았다. B. cereus 37 균주의 항생제 감수성 실험 결과 ampicillin과 penicillin 항생제에 100% 내성을 나타냈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보육시설 실내공기에 오염된 S. aureus와 B. cereus에 의한 식중독을 발생을 예방하기 위하여 주기적인 환기와 공기 질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어린이집 소아에서의 황색포도알균의 비강 보균율에 관한 연구 (Nasal Carriage of Staphylococcus aureus from Healthy Children Attending Day Care Center)

  • 김영민;오지은;김소희;이진아;최은화;이환종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7권1호
    • /
    • pp.9-15
    • /
    • 2010
  • 목 적 : 국내 어린이집을 다니는 소아를 대상으로 황색포도알균의 비강 내 보균율과 이런 보균율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8년 9월에서 10월까지 서울 지역에 위치한 7개 어린이집의 소아 중 서면 동의를 받은 42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인구학적 자료 및 의료기관 관련 위험 요인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어린이집의 소아들의 비강을 도찰하여 얻은 검체를 증균 및 선택배지에 접종한 후 생화학적 검사를 통해 황색포도알균을 동정 및 분리하였고 디스크 확산법을 통해 메티실린 감수성을 결정하였다. 결 과:대상 환아의 평균 연령은 55개월 이었으며 남녀비는 1.1:1.0이었고 최근 1년 이내에 입원력 및 수술력이 있는 환아는 각각 9.2%, 3.6%였고 항생제 사용력은 약 40%에서 확인되었다. 전체 428명의 소아 중 163명에서 비강 내 황색포도알균이 분리되어 황색포도알균의 비강 내 보균율은 38.1%였으며 분리된 균주의 24.5%는 메티실린 내성 균주였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황색포도알균의 비강 내 보균율도 증가 추세를 보였다. 비강 내 MRSA 보균이 9.3%의 소아에서 확인되었으며 이들 대부분이 의료기관 관련 위험요소가 없는 소아였다. 결 론:국내 소아의 약 38% 및 9%가 비강 내 황색포도알균 및 MRSA 보균자임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분리된 MRSA의 95%가 CA-MRSA 균주였다. 향후 비강내 황색포도알균의 보균율의 변화 및 CA-MRSA 보균율의 변화에 대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겠다.

새로운 Fluoronaphthyridinone계 항균제 DW286의 그람 양성세균에 대한 항균 활성 (In vitro and In vivo Activity of DW286, an Experimental Fluoronaphthyridione, against Gram-Positive Bacteria)

  • 곽진환;박희수;정성지;정지웅;김요셉;최동락;최응칠
    • 약학회지
    • /
    • 제56권5호
    • /
    • pp.304-308
    • /
    • 2012
  • In vitro antibacterial activity of DW286 was tested against recently collected clinical isolates of Gram-positive strains by the two fold agar dilution method. In vivo activity of DW286 was also determined against systemic infections in mice caused by Staphylococcus aureus. DW286 showed 16~64-fold more potent in vitro activities than ciprofloxacin against Gram-positive bacteria. Against systemic infection model caused by two S. aureus strains, one being methicillin-susceptible and the other methicillin-resistant, DW286 ($ED_{50}s$, 0.16 mg/kg and 4.36 mg/kg, respectively) was more potent than gemifloxacin (1.37 mg/kg, 26.58 mg/kg, respectively).

Species Profiles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of Non-aureus Staphylococci Isolated from Healthy Broilers, Farm Environments, and Farm Workers

  • Ji Heon Park;Gi Yong Lee;Ji Hyun Lim;Geun-Bae Kim;Kun Taek Park;Soo-Jin Ya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792-804
    • /
    • 2023
  • Non-aureus staphylococci (NAS), particularly antimicrobial-resistant NAS, have a substantial impact on human and animal health. In the current study, we investigated (1) the species profiles of NAS isolates collected from healthy broilers, farm environments, and farm workers in Korea, (2) the occurrence of antimicrobial-resistant NAS isolates, especially methicillin resistance, and (3) the genetic factors involved in the methicillin and fluoroquinolone resistance. In total, 216 NAS isolates of 16 different species were collected from healthy broilers (n=178), broiler farm environments (n=18), and farm workers (n=20) of 20 different broiler farms. The two most dominant broiler-associated NAS species were Staphylococcus agnetis (23.6%) and Staphylococcus xylosus (22.9%). Six NAS isolates were mecA-positive carrying staphylococcal cassette chromosome mec (SCCmec) II (n=1), SCCmec IV (n=1), SCCmec V (n=2), or nontypeable SCCmec element (n=2). While two mecA-positive Staphylococcus epidermidis isolates from farm workers had SCCmec II and IV, a mecA-positive S. epidermidis isolate from broiler and a Staphylococcus haemolyticus isolate farm environment carried SCCmec V. The occurrence of multidrug resistance was observed in 48.1% (104/216 isolates) of NAS isolates with high resistance rates to β-lactams (>40%) and fusidic acid (59.7%). Fluoroquinolone resistance was confirmed in 59 NAS isolates (27.3%), and diverse mutations in the quinolone resistance determining regions of gyrA, gyrB, parC, and parE were identifie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NAS in broiler farms may have a potential role in the acquisition, amplification, and transmission of antimicrobial resistance.

대구지역 도축장 출하가축의 도체에서 분리한 Staphylococcus aureus의 항생제 내성과 MRSA 검출에 관한 연구 (Study on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detection of MRSA of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carcass in Daegu slaughterhouses)

  • 임현숙;서동균;김환득;이혜화;김정미;임미하;조재근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27-33
    • /
    • 2024
  • At the present study, it was aimed to explore the states of antimicrobial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s from 1,360 chickens, pigs and cattle carcass (400 chickens, 480 pigs and 480 cattle) in Daegu province from January 2022 to December 2022. Among 1,360 samples, 81 of S. aureus were isolated cattle (1.4%), pigs (7.7%) and chickens (9.2%). In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 all of the isolates were demonstrated susceptibility to rifampin. But the isolates were showed resistance other antibiotics in order of tetracycline (62.9%), ciprofloxacin (62.9%), tobramycin (58.0%), gentamicin (51.8%), amikacin (40.7%), penicillin (39.5%), clindamycin (35.8%), enrofloxacin (33.3%),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30.8%), oxacillin (30.8%), minocycline (29.6%), erythromycin (25.9%), quinupristin/dalfopristin (20.9%), chloramphenicol (12.3%), cefoxitin (9.8%). Among the 81 S. aureus isolates, 25 (30.8%)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were observed. Seven (28.0%) of 25 MRSA harbored mecA gene. About 96% of MRSA were multidrug resistance to at least 3 more drugs. A continuous monitoring and surveillance program to prevent antimicrobial resistance in livestock products is dema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