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hacholine bronchial provocation test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6초

Role of Methacholine PC20 in FEF25-75% for the Diagnosis of Bronchial Asthma

  • Son, Kyeong Min;Jang, Seung Hun;Kang, Hye Ryun;Han, Bo Ram;Kim, Joo Hee;Kim, Hyun Sung;Park, Sung Hoon;Hwang, Yong Il;Kim, Dong Gyu;Jung, Ki Suck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7권4호
    • /
    • pp.311-317
    • /
    • 2009
  • Background: The methacholine bronchial provocation test is a useful tool for evaluating asthma in patients with normal or near normal baseline lung function. However, the sensitivity of this test is 82~92% at mo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inical usefulness of $FEF_{25-75%}$ in identification of airway hyperresponsiveness in patients with suspected asthmatic symptoms. Methods: One hundred twenty-five patients who experienced cough and wheezing within one week prior to their visiting the clinic were enrolled. Results: Sixty-four subjects showed no significant reduction of $FEV_{1}$ or $FEF_{25-75%}$ on the methacholine bronchial provocation test (Group I). In 24 patients, $FEF_{25-75%}$ fell more than 20% from baseline without a 20% fall of $FEV_{1}$ during methacholine challenge (Group II). All patients who had more than 20% fall of $FEV_{1}$ (n=37) also showed more than 20% of reduction in $FEF_{25-75%}$ (Group III). Baseline $FEV_{1}$/FVC (%) and $FEF_{25-75%}$ (L) were higher in group II than group III (81.51${\pm}$1.56% vs. 75.02${\pm}$1.60%, p<0.001, 3.25${\pm}$0.21 L vs. 2.45${\pm}$0.21 L, p=0.013, respectively). Group II had greater reductions of both $FEV_{1}$ and $FEF_{25-75%}$ than group I at 25 mg/mL of methacholine (p<0.001). The provocative concentration of methacholine causing a 20% fall in $FEF_{25-75%}$ in group II was about three-fold higher than that in group III. Conclusion: A 20% fall of $FEF_{25-75%}$ by methacholine provocation can be more sensitive indicator for detecting a milder form of airway hyperresponsiveness than $FEV_{1}$ criteria.

승모판 심장질환 환자에서 기관지 반응성에 대한 연구 (Bronchial Responsiveness in Patients with Mitral Valvular Heart Disease)

  • 김호철;김민구;황영실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5호
    • /
    • pp.752-759
    • /
    • 1995
  • 연구배경: 심부전 환자에서 기관지 과민성의 여부를 확인하고 이러한 기관지 과민성과 혈역학적 지표사이의 상관관계를 알기위해 메타콜린을 이용하여 기관지 유발검사를 실시하였다. 방법: 1994년 3월부터 8월까지 본원에 내원하여 흉부 X선 촬영, 심에코도 검사, 심도자술로 승모판 심장질환이 진단되고 호흡곤란의 정도가 NYHA 기능적 분류 2인 1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PARI nebulizer I을 이용하여 메타콜린 용액의 농도를 올리면서 기관지 유발검사를 시행하여 최대호기 유속이 20%이상 감소를 보이면 양성반응으로 간주하였다. 또한 각각의 환자는 심도자술을 통해서 혈역학적인 지표와 기관지 과민반응과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고저 하였다. 결과: 1) 11명의 환자중 남자 2명 여자 9명이였으며 평균연령은 38.0세이였고 흡연력은 1명이외에는 없었다. 2) 각 환자의 호흡곤란 정도는 NYHA 기능적 분류 2였고 승모판 협착증만 있는 환자는 5명이였고 이외는 승모판 질환과 대동맥 판막질환이 동반되어있었다. 3) 환자들의 평균폐동맥압과 평균폐모세혈관 쐐기압은 각각 21.72mmHg(${\pm}8.55$), 15.45mmHg(${\pm}8.69$)로 정상보다 높았고 심장지수와 좌심실분획률은 각각 2.64L/min/m2(${\pm}0.41$), 61.81%(${\pm}7.21$)로 정상범위이였다. 4) 11명의 환자중 1명만 메타콜린 기관지 유발검사에 양성이었다. 결론: NYHA 기능적 분류 2인 승모판 심장질환이 있는 심부전환자 11명중 1명만 기관지 과민반응이 관찰되었으며 그 이유로 지속적인 심부전의 치료에 의한 간질성 폐부종의 소설로 인해 기관지의 반응성이 증가되지 않았다고 사료되며 NYHA 기능적 분류 3 또는 4인 승모판 심장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기관지 과민 반응에 대한 추후의 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Interaction Between Bronchiolitis Diagnosed Before 2 Years of Age and Socio-Economic Status for Bronchial Hyperreactivity

  • Leem, Jong-Han;Kim, Hwan-Cheol;Lee, Ji-Young;Sohn, Jong-Ryeul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6권
    • /
    • pp.11.1-11.6
    • /
    • 2011
  • Objects: The prevalence of asthma has increased in recent decades globally.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lucidate whether hospitalization for bronchiolitis in infancy and low socioeconomic status interact for bronchial hyperreactivity during teenage years. Method: We studied 522 children age 13-14 years attending schools in rural and urban areas to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for bronchial hyperreactivity (BHR), defined as a provocation concentration of methacholine that causes a decrease of 20% ($PC_{20}$) in forced expiratory volume within 1 second. Clinical examination, skin prick test, spirometry, and methacholine challenge were performed on all study subjects, who provided written consent. We use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to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for BHR, and analyze the interaction between hospitalization for bronchiolitis in infancy and low socioeconomic status. Results: Forty-six (10.3%) positive BHR cases were identified. In the multivariate logistic analysis, as independent predictors of BHR, adjusted odds ratio of bronchiolitis diagnosed before 2 years of age in low income families was 13.7 (95% confidence interval, 1.4 to 135.0), compared to reference group, controlling for age, gender, parental allergy history, skin prick test, and environmental tobacco smoke (ETS) exposure. Interaction was observed between bronchiolitis before 2 years old and low socioeconomic status on children's bronchial hyperreactivity (p-interaction=0.025).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bronchiolitis diagnosed before 2 years of age and low socioeconomic status interacted on children's bronchial hyperreactivity. Prevention of acute respiratory infection in early childhood in low socioeconomic status is important to prevent BHR as a precursor of asthma.

히스타민 기관지유발 검사 -일정시간 흡입법- (Histamine Bronchial Provocation Test -Timed Tidal Breathing Technique-)

  • 정연태;원경숙;박해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1권3호
    • /
    • pp.270-276
    • /
    • 1994
  • 연구배경 : 임상에서 기관지과민성의 측정은 천식의 진단과 심한 정도 판정에 유용하므로 널리 쓰이고 있다. 비특이적 기관지 과민성의 측정은 히스타민등의 약물에 의한 기관지 유발검사법이 비교적 쉽게 시행할 수 있으므로 흔히 사용된다. 약물에 의한 기관지 유발검사시 에어로졸의 흡입방법으로 정량 흡입법(dosing technique with counted number of breaths)과 일정시간 흡입법(timed tidal breathing technique)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정시간 흡입법은 간단하면서 정확도와 재현성은 정량 흡입법과 차이가 없으며, 비싼 dosimeter가 필요하지 않다. 저자들은 이러한 관점에서 이 검사법은 국내의 임상 현실에 적합한 방법으로 생각하여 히스타민을 이용하여 일정시간 흡입법으로 기관지과민성 측정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방법: 대상은 정상대조군 42예, 기관지천식 환자 12예, 비염 환자 10예, 그리고 상기도감염 10예이었다, Jet nebulizer를 사용하였으며, 히스타민을 buffered phosphate saline 에 녹혀서, 0.0625부터 25.0mg/ml까지 연속적인 농도의 용액으로 준비하였다. 검사방법은 코를 nose clip으로 막고 마스크를 이용하여 입으로 에어로졸을 2분간 흡입한다. 흡입 후 $FEV_1$을 30초와 90초 후 2번 측정한다. 먼저 생리식염수를 흡입한 후 기저 $FEV_1$ 구한 후, 최저 농도의 히스타민 용액부터 흡입하여 $FEV_1$이 20% 이상 감소할 때까지 반복 흡입한다. 유발농도 20은 먼저 대수 양-반응곡선을 그린 후, 마지막 두 점을 직선 보간(linear interpolation)하여 구하였다. 결과: 생리식염수 흡입후 FEV1보다 20% 이상 감소하는 농도까지 히스타민 흡입은 정상대조군 42예 중 10예를 제외하고 각각의 대상군에서 모두 가능하였으며, 히스타민 유발농도 20을 구할 수 있었다. 정상대조군의 히스타민 유발농도 20의 기하학적 평균값(Geometric Mean${\pm}$Standard Deviation)은 $8.27{\pm}2.22mg/ml$, 기관지 천식군은 $0.33{\pm}3.02mg/ml$, 비염군은 $0.85{\pm}3.24mg/ml $, 그리고 상기도감염군은 $1.47{\pm}1.98mg/ml$이었다. 히스타민 2.5mg/ml 이상의 고농도 용액의 에어로졸 흡입시는 가벼운 부작용은 있었으나 대부분 흡입이 가능하였다. 결론: 히스타민 일정시간 흡입법은 간단한 기구로 시행할 수 있으므로, 우리 현실에 적합한 기관지 유발검사법이라고 생각한다.

  • PDF

기관지 반응성의 임상적 의의 및 메타콜린으로 유도된 천식 발작시 폐기능 변화와의 관계 (Clinical Impact of Bronchial Reactivity and Its Relationship with Changes of Pulmonary Function After Asthmatic Attack Induced by Methacholine)

  • 류연주;최영주;곽재진;이지아;남승현;박창한;천선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2권1호
    • /
    • pp.24-36
    • /
    • 2002
  • 연구배경 : 기관지 반응성은 기관지 수축제의 연속적인 흡입에 따르는 기도 수축반응의 증가로서 용량-반응곡선의 기울기로 표현되고 기관지 감수성과 더불어 기관지 천식의 가장 중요한 특정인 기관지 과민성을 구성하는 요소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기관지 수축 유발 검사 시에는 기관지 감수성만을 측정하고 있으며, 기관지 반응성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정립된 이론이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관지 감수성과 기관지 반응성의 관계와 임상증상과의 관련성, 치료경과 및 폐기능 변화와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여 기관지 반응성의 임상적 유용성 및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천식의 중증도 분류에서 중증군을 제외한 경증 간헐성, 경증 지속성, 중등증의 천식 환자들과 기침형 천식환자, 총 1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기저 메타콜린 천식유발검사로 $FEV_1$이 비교 기준치보다 20% 이상 감소하는 메타콜린 PC20에 도달하면, 메타콜린 농도를 1회 더 높여 흡입시켜 $FEV_1$을 측정하여, log 용량-반응곡선을 그려서 PC40를 구했고, PC20와 PC40를 연결한 기울기로 기관지 반응성을 측정했다. 이 중에 43예 에서는 메타콜린 천식유발검사 전후에 body plethysmography와 single breath for DLCO를 시행하였다. 결 과 : 1) 지관지 반응성은 각각 경증 간헐성군 $38.0{\pm}18.16$, 경증 지속성군 $49.8{\pm}9.77$, 중등증군 $61.0{\pm}13.07$, 기침형 천식군에서 $43.8{\pm}3.73$ 이었다. 2) 기관지 감수성과 기관지 반응성은 경미한 역 상관관계를 보였다(r=-0.34, p<0.01). 3) 기저 폐기능이 유사하면서 기관지 감수성이 비슷한 환자들에서 기관지 반응성이 큰 군이 작은 군에 비해 증상의 경중도와 임상경과가 심한 경향을 보였다. 4) 기저 폐기능과 기관지 반응성과는 sGaw, Raw, $FEV_1$/FVC, MMFR 순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5) 메타콜린으로 유도한 천식 발작 후의 폐기능 변화량과 기관지 감수성 사이에는 유의한 관계를 찾아 볼 수 없었으나, 기관지 반응성은 PEF, $FEV_1$, DLCO 순으로 유의한 상 관관계를 보였다(p<0.05). 결 론 : 기관지 반응성은 기관지 감수성과 경미한 역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기관지 감수성에 비하여 임상증상의 정중도와 더 관련이 켰다. 기관시 감수성은 메타콜린으로 유도한 천식발작시 폐기능의 변화정도와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으나, 기관지 반응성은 메타콜린으로 유도한 기관지 폐색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기관지 반응성과 기관지 감수성은 서로가 보완적이며 독립적인 기관지 과민성의 구성요소로서, 천식환자의 진단을 위한 메타콜린 천식 유발검사시에 PC20와 함께 기관지 반응성을 측정하는 것이 환자의 임상적 평가와 치료경과 및 예후 판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며, 반응성을 측정하는 못하는 경우 sGaw의 측정이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Nonspecific Bronchoprovocation Test

  • Lee, Myoung Kyu;Yoon, Hyoung Kyu;Kim, Sei Won;Kim, Tae-Hyung;Park, Seoung Ju;Lee, Young Mi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0권4호
    • /
    • pp.344-350
    • /
    • 2017
  • Bronchial asthma is a disease characterized by the condition of airway hyper-responsiveness, which serves to produce narrowing of the airway secondary to airway inflammation and/or various spasm-inducing stimulus. Nonspecific bronchoprovocation testing is an important method implemented for the purpose of diagnosing asthma; this test measures the actual degree of airway hyper-responsiveness and utilizes direct and indirect bronchoprovocation testing. Direct bronchoprovocation testing using methacholine or histamine may have superior sensitivity as these substances directly stimulate the airway smooth muscle cells. On the other hand, this method also engenders the specific disadvantage of relatively low specificity. Indirect bronchoprovocation testing using mannitol, exercise, hypertonic saline, adenosine and hyperventilation serves to produce reactions in the airway smooth muscle cells by liberating mediators with stimulation of airway inflammatory cells. Therefore, this method has the advantage of high specificity and also demonstrates relatively low sensitivity. Direct and indirect testing both call for very precise descriptions of very specific measurement conditions. In addition, it has become evident that challenge testing utilizing each of the various bronchoconstrictor stimuli requires distinct and specific protocols. It is therefore important that the clinician understand the mechanism by which the most commonly used bronchoprovocation testing works. It is important that the clinician understand the mechanism of action in the testing, whether direct stimuli (methacholine) or indirect stimuli (mannitol, exercise) is implemented, when the testing is performed and the results interpreted.

Case of seropositive allergic bronchopulmonary aspergillosis in a 10-year-old girl without previously documented asthma

  • Shin, Jeong Eun;Shim, Jae Won;Kim, Deok Soo;Jung, Hae Lim;Park, Moon Soo;Shim, Jung Yeo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8권5호
    • /
    • pp.190-193
    • /
    • 2015
  • Allergic bronchopulmonary aspergillosis (ABPA) is a hypersensitivity lung disease due to bronchial colonization of Aspergillus fumigatus that occurs in susceptible patients with asthma or cystic fibrosis. A 10-year-old girl was referred to the Department of Pediatric Pulmonology for persistent consolidations on chest radiography. Pulmonary consolidations were observed in the right upper and left lower lobes and were not resolved with a 4-week prescription of broad-spectrum antibiotics. The patient had a history of atopic dermatitis and allergic rhinitis but no history of asthma. She had no fever but produced thick and greenish sputum. Her breathing sounds were clear. On laboratory testing, her total blood eosinophil count was $1,412/mm^3$ and total serum IgE level was 2,200 kU/L. Aspergillus was isolated in the sputum culture. The A. fumigatus-specific IgE level was 15.4 kU/L, and the Aspergillus antibody test was also positive. A chest computed tomography scan demonstrated bronchial wall thickening and consolidation without bronchiectasis. An antifungal agent was added but resulted in no improvement of pulmonary consolidations after 3 weeks. Pulmonary function test was normal. Methacholine provocation test was performed, revealing bronchial hyperreactivity ($PC_{20}=5.31mg/mL$). Although the patient had no history of asthma or bronchiectasis, ABPA-seropositivity was suspected. Oral prednisolone (1 mg/kg/day) combined with antifungal therapy was started. Pulmonary consolidations began decreasing after 1 week of treatment and completely resolved after 1 month. This is the first observed and treated case of seropositive ABPA in Korean children without previously documented asthma.

운동유발성 천식의 기관지 수축에 대한 Heparin, Cromolyn, Budesonide, Furosemide 흡입 치료의 효과 (The Protective Effect of Inhaled Heparin, Cromolyn, Budesonide, and Furosemide on Exercise-induced Asthma)

  • 이신형;심재정;이상엽;조재연;인광호;유세화;강경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6호
    • /
    • pp.1188-1198
    • /
    • 1998
  • 연구배경 : 운동유발성 천식은 운동후 기관지 수축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기도내 열과 수분의 손실로 비만세표의 기관지 수축물질이 유리되어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논란이 많은 실정이며 그 치료 또한 $\beta_2$-수용체 자극제 및 cromolyn을 흡입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인정되어 왔으나 최근 운동 유발성천식의 발생기전에 기초한 여러 가지 약물의 효과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furosemide, budesonide, 헤파린 및 cromolyn의 운동유발성 천식의 예방효과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운동유발성 천식으로 진단받은 8명(남자 5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대상환자들의 운동전 폐기능 검사소견은 $FEV_1$ 3.39L (93.5%), FVC 4.06L (95.1%), $FEV_1$/FVC 89.6%였고, 온도와 습도가 동일한 조건에서 운동시험을 실시하였다. 헤파린과 furosemide는 연무기를 이용하여 각각 Kg당 1,000 units와 1mg을 흡입하였고, cromolyn과 budesonide는 inhaler를 이용하여 각각 $1,000{\mu}g$$200{\mu}g$을 5일간 흡입하였으며, 약제 흡입후 운동시험와 methacholine 기관지 유발검사를 실시하였다. 결 과 : 운동후 120분 까지의 $FEV_1$의 최대 감소치는 cromolyn $86.8{\pm}6.53%$, budesonide $79.4{\pm}7.31%$. 헤파린 $83.1{\pm}4.81%$, furosemide $80.5{\pm}6.87%$로 대조군 $72.5{\pm}18.2%$에 비하여 헤파린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10), cromolyn, furosemide와 budesonide는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p>0.05)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된 결과를 보였다. 4가지 약제의 $FEV_1$의 최대 감소치에 대한 다중 비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p>0.05) 수치적으로는 헤파린이 가장 증가된 결과를 보였다. 헤파린 흡입 3일째에 측정한 aPTT는 흡입전과 차이가 없었다.(p>0.05) 약제 흡입후 methacholine 기관지 유발검사의 $PD_{20}$은 cromolyn $2.19{\pm}0.89$, budesonide $3.38{\pm}1.77$, heparin $4.17{\pm}96$, furosemide $1.85{\pm}0.86$으로 대조군 $1.58{\pm}0.49$에 비하여 각각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결 론 : 이상의 결과로 운동유발성 천식환자에서 운동전 헤파린 흡입으로 운동후 기관지수축을 예방할 수 있으며 cromolyn은 용량 및 투여기간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furosemide와 budesonide의 흡입은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어느정도의 효과를 나타낼수 있는 것으로 보여 향후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만성 기침에서 스테로이드 흡입제의 역할 (The Role of Inhaled Corticosteroid in the Management of Chronic Cough)

  • 이경훈;장승훈;이정화;엄광석;반준우;김동규;신태림;박상면;이명구;김철홍;현인규;정기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0권2호
    • /
    • pp.221-227
    • /
    • 2006
  • 연구배경 : 만성 기침은 정밀 검사를 추가하여도 진단율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고, 확진은 특이적 치료에 반응할 때에만 가능하다. 스테로이드는 비특이적 항염증 작용을 가지므로 만성 기침에 효과적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인 진단에 대한 진료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만성 기침에 대한 흡입 스테로이드의 반응률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 법 : 3주 이상의 만성 기침 환자를 대상으로 처음 내원하였을 때 객담 호산구, 메타콜린 기관지 유발검사, 부비동 방사선촬영 등의 기본적인 객관적 검사를 시행하고, 동시에 budesonide turbuhaler $800{\mu}g/day$를 10일간 투여하고 추적 방문토록 하였다. 추적 방문일에 환자 증상의 개선도에 따라 흡입 스테로이드 반응군과 불응군으로 분류하였고 검사의 진단 성적을 조사하였으며, 각 진단에 따른 스테로이드 반응률을 알아보았다. 결 과 : 총 69명의 만성 기침 환자가 최종 분석되었고, 흡입 스테로이드의 투여로 증상의 호전이 있었던 경우는 79.7%였다. 진단된 질환에 따른 흡입 스테로이드의 반응률은 차이가 없었다. 투여 기간 동안 부작용은 거의 관찰되지 않아서 우수한 내약성을 보였다. 결 론 : 만성 기침 환자를 진료할 때 기본 검사를 시행하는 동시에 흡입 스테로이드를 단기간 투여하는 것은 매우 안전하며, 검사의 진단적 한계를 극복하고 초기에 진료 지침을 세우는 방법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