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apenaeus joyneri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18초

가열 및 건조방법이 새우의 지방질 함량과 중성지방질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oking and Drying Methods on the Lipid Content and Neutral Lipid Composition of Shrimp)

  • 김현구;허우덕;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7-24
    • /
    • 1989
  • 가열처리 및 건조방법이 새우의 지방질 함량과 중성지방질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생새우의 총지방질 함량은 건물기준으로 6.0%였으며, 가열 및 건조방법에 따라 총지방질의 함량은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생새우의 중성, 당 및 인지방질의 함량비는 각각 36.8:21.5:41.7% 이었고 동결건조한 것은 열풍건조한 것보다 중성시방질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많은 반면에 당 및 인지방질의 함량은 적었다. 중성지방질의 주요성불은 triglyceride, free sterol, free fatty acid 및 esterified sterol이었으며, 동결건조한 것은 열풍건조한 것보다 triglyceride 함량은 유의적으로 많았고 free fatty acid 함량은 적었는데, 이는 열풍건조중 triglyceride가 분해된 것으로 생각되었다. 생새우의 총지방질의 구성 주요지방산은 palmitoleic acid, eicosapentaenoic acid 및 docosahexaenoic acid이었고, 중성지방질의 구성 주요 지방산은 palmitic acid, palmitoleic acid, oleic acid, eicosapentaenoic acid 및 docasahexaenoic acid이었다.

  • PDF

가열 및 건조방법이 새우의 극성지방질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oking and Drying Methods on the Polar Lipids Composition of Shrimp)

  • 김현구;조길석;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5-30
    • /
    • 1989
  • 가열처리 및 건조방법이 새우의 극성지방질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하였다. 새우중의 당지방질의 주요성분은 esterified steryl glycoside, monogalactosyl diglyceride 및 steryl glycoside 이었으며, 열풍건조한 것은 동결건조한 것보다 esterified steryl glycoside 함량은 유의적으로 많은 반면에 monogalactosyl diglyceride 함량은 적었다. 새우중의 인지방질의 주요성분은 phosphatidyl enthanolamine, phosphatidyl choline phosphatidic acid, phosphatidyl inositol, phosphatidyl serine 이었으며, phosphatidic acid 함량은 가열처리 하지 않고 열풍건조한 것은 8.3%, 동결건조한 것은 5.9%로서 전자가 후자보다 유의적으로 많았고, phosphatidyl ethanolamine 함량은 마이크로파 처리 할 경우 동결건조한 것은 열풍건조한 것보다 그 함량이 많은 반면에 phosphatidyl choline함량은 적었다. 생새우의 당 및 인지방질 획분의 주요 지방산은 pentadecanoic acid palmitic acid oleic acid, nervonic acid 및 eicosapentaenoic acid 이었다.

  • PDF

새우의 품질에 미치는 가열 및 건조방법의 영향 (Effects of Cooking and Drying Methods on the Quality of Shrimp)

  • 김현구;조길석;신효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2권3호
    • /
    • pp.286-294
    • /
    • 1989
  • 가열처리 및 건조방법이 새우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생새우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건물 100g당 81.4mg이었으며, 동결 건조한 것은 열풍건조한 것보다 그의 함량이 $5{\sim}28%$가 적었다. 새우의 신선도와 관계가 있는 volatile basic nitrogen과 trimethylamine의 함량은 열풍건조한 것이 동결건조한 것보다 이들의 함량이 높았고 세균수는 동결건조한 것이 열풍건조한 것보다 낮았다. 생새우를 가열하거나 건조하면 L값이 크게 상승하여 새우의 색깔이 밝아졌는데 동결건조한 것은 열풍건조한 것보다 그 폭이 더 컸고 색차는 L값과 반대현상을 나타냈다. 생새우의 무기질 중에는 칼슘 함량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칼륨, 나트륨이었으며, 이들 무기질 성분은 전체 무기질 성분의 96%를 차지하였으며 가열 및 건조방법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 PDF

Comparison of live shrimp bait catch efficiency in single line fishery

  • Koo, Myungsung;Munechika, Ishizaki;Cho, Samkwang;Bae, Bongseong;Cha, Bongji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4권11호
    • /
    • pp.383-389
    • /
    • 2021
  • On the southern coast of South Korea, dark-banded rockfish, sea bass, and red seabream are caught by single-line fishing. In particular, red seabream and sea bass are caught in the Jeollanam-do region using gear with attached fishing hooks, such as longline and single-line gear, with live shrimp as bai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atch efficiency of two types of live shrimp (naturally grown Shiba shrimp [Metapenaeus joyneri] and cultured whiteleg shrimp [Litopenaeus vannamei]) used as bait. The investigation included interviews, on-board surveys, and water tank experiment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relevant parties to determine the preference for live shrimp as bait, and the results showed a greater preference for cultured whiteleg shrimp. Further, an on-board survey was conducted to compare catch efficiency between these two types of live shrimp bait for single-line fishing. The on-board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once or twice a month between June and October. In total, the amounts of fish caught using naturally grown Shiba shrimp and cultured whiteleg shrimp were 56 and 52, respectively. Of these, the numbers of sea bass, the primary target fish species, caught using naturally grown Shiba shrimp and cultured whiteleg shrimp were 43 and 40, respectively. Thu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lmost no difference in the number of fish caught based on the bait used. However, according to a water tank experiment, cultured whiteleg shrimp survived longer than naturally grown Shiba shrimp.

전라북도 곰소만 연안조망에 어획된 수산생물의 종조성 및 군집구조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aquatic organisms caught by the coastal beam trawl in the Gomso Bay, Jeollabuk-do of South Korea)

  • 주영환;윤상철;최지훈;강명희;김진구;조현수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60권2호
    • /
    • pp.101-113
    • /
    • 202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aquatic organisms captured using coastal beam trawling in Gomso Bay, Jeollabuk-do, from January to December 2022.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a total of 20,246 individuals belonging to 94 marine species were captured, with a combined biomass of 602,828 g. Fish exhibited the highest abundance, comprising 56 species, followed by crustacea (21 species), bivalvia (8 species), cephalopoda (5 species), gastropoda (3 species), and holothuroidea (1 species). The dominant species was Leiognathus nuchalis, constituting 14.0% of the total individuals, followed by Portunus trituberculatus at 12.1%, Oratosquilla oratoria at 10.4%, Crangon hakodatei at 9.9%, and Metapenaeus joyneri at 7.9%. The diversity index ranged from 1.72 to 2.55, with the lowest diversity observed in March and the highest in July. Cluster analysis based on species composition of the 27 most common species showed that aquatic organism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spring and summer organisms (Group A) and summer organisms (Group B) and autumn and winter organisms (Group C).

새우의 맛성분과 미세구조에 미치는 가열 및 건조방법의 영향 (Effects of Cooking and Drying Methods on the Taste Component and Microstructure of Shrimp)

  • 김현구;장영상;신효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2권3호
    • /
    • pp.278-285
    • /
    • 1989
  • 가열처리 및 건조방법이 새우의 맛성분과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생새우의 핵산관련물질은 ATP,ADP,AMP,IMP, inosine 및 hypoxanthine이 검출되었는데 이 중 AMP는 흔적량 검출되었으나, 가열 및 건조방법에 따라서 AMP 함량은 100g당 $23.5{\sim}45.7{\mu}mole$로 증가하였는데 이는 열처리 및 건조에 의하여 ATP 및 ADP가 AMP로 분해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생새우 중의 유리아미노산은 arginine의 함량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glycine, lysine, proline, alanine등으로 이들 주요 아미노산 함량이 전체 유리아미노산 함량의 70%를 차지하였다. 총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생새우에서 건물 100g당 1,198mg이던 것이 끓인후 열풍 및 동결건조한 것은 각각 342mg 및 503mg으로 감소하였는데, 이는 가열처리시 수용성 아미노산이 용출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생새우를 가열처리 없이 열풍 및 동결건조한 것은 가열처리나 마이크로파 처리후 열풍 및 동결건조한 것보다 견고성 및 부서짐성이 높았으나 응집성과 검성은 낮았다. 동결건조한 것은 열풍건조한 것에 비하여 근육섬유질의 조직이 부드러웠고 마이크로파 처리후 열풍 및 동결건조한 것은 각각 조밀한 망상조직과 다공질의 망상조직을 형성하였다.

  • PDF

등전점 전기영동에 의한 서해산 해산어의 근형단백질의 전기영동에 관한 연구 (Electrophoretic Patterns of Sarcoplasmic Proteins in Mid-West Korean Sea Fishes by Thin Layer Polyacrylamide Gel Isoelectrofocusing)

  • 김종배;최선남;이근우;정용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55-460
    • /
    • 1991
  • 서로 비슷한 어종으로 약간의 저차 가공시에도 육안적 규별이 어려운 12개 어종의 등전점 전기영동 결과는 다음과 같다. 3종의 갑각류에서 대하와 중하는 밀새우와 다른 단백질 pattern이 pH 4.5 이하에서와 pH 5~7.5에서 서로 구별이 가능하였으며, pH 범위를 변경했을때, 중하와 대하 사이의 구별은 pH 5 부근에 있는 단백질띠로 나타났지만 크기나 형태적으로 거의 같은 대하의 치어에 대한 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민어속 어류에서도 참조기와 항강달이는 비슷한 등전점을 가지는 단백질의 분포가 pH 5~8 사이로 나타났다. 이 분포대에서 돌가자미와 도다리에서도 비슷한 현상을 보였으며, pH 6~7, pH 8~9 범위에서 박대와 도다리는 서로 다른 단백질 분포를 보였고, 참가자미와 돌가자미는 pH 4.5, pH 6.0과 pH 8.0이하에서 뚜렷이 다른 분포를 보였다. pH범위를 변경하여도 단백질 pattern의 구별이 어려운 참조기와 황강달이에서의 2차원 전기영동은 pH 5.0rhk pH 6.0부근에 있는 단백질들에서 추정분자량 11,700과 87,000으로서 등전점 전기영동시 pH 범위 변경 및 2차원 전개 전기영동을 병용할 경우 서해산 어종(중하, 대하, 밀새우, 참조기, 수조기, 황강달이, 참가자미, 도다리, 박대, 돌가자미, 병어, 아홉등가리)의 판별에 구성 단백질의 등전점 전기영동이 신속하고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