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etamorphosis

검색결과 211건 처리시간 0.024초

Cinnamon Clownfish Amphiprion melanopus의 난발생과 자치어 변태에 미치는 먹이생물과 갑상선호르몬의 영향 (Egg Development and Effects of Livefood and Thyroid Hormone on the Amphiprion melanopus Larvae)

  • 노경언;노섬;민병화;장영진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5권2호
    • /
    • pp.121-131
    • /
    • 2011
  • Amphiprion melanopus의 난발생과 자치어의 형태학적 발달에 대한 기초 조사와 함께, 먹이생물과 갑상선호르몬이 자치어의 성장과 체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수정 후, 부화까지 총 168시간이 소요되었다. 갓 부화 자어의 크기는 평균 $3.5{\pm}0.3$ mm 으며, 대부분의 자어는 부화 후 경과일 수에 따라 체색 변화(변태)를 나타내었다; DAH(days afterhatching) 10: 체색 흑화, DAH 15~20: 3개의 흰 줄무늬 출현, DAH 30: 등과 꼬리지느러미의 흰 줄무늬가 사라지기 시작,DAH 90: 체색 주황색; 성어: 체색은 진한 계피색이며 머리에만 흰 줄무늬 남음. Artemia와 T. japonicus를 함께 공급한실험구의 성장은 Artemia만 공급한 실험구보다 빨랐다. T. japonicus 만을 공급한 실험구의 지느러미 체색은 진하고 선명한 주황색이었다. 갑상선호르몬을 처리한 4 ppm구의 성장이 다른 실험구(0, 2, 6 ppm)보다 빨랐고 6 ppm구가 가장 느렸다. 본 연구의 결과, 주요 먹이생물로 알려져 있는 Artemia와 함께 T. japonicus를 공급함으로써 A. melanopus의 성장과체색을 개선시킬 수 있었고, 갑상선호르몬 또한 변태 및 체색 형성에 직접적으로 관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유생에 대한 3종 부착 규조류의 먹이효율 (Dietary Value of Three Benthic Diatom Species on Haliotis discus hannai Larvae)

  • 박세진;허성범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91-96
    • /
    • 2013
  • 북방전복 초기 유생의 사육에 적합한 부착 규조류를 파악하기 위하여 C. californica, Rhaphoneis sp. C. schroederi를 대상으로 veliger 유생의 부착률, 변태율, 생존율 및 성장을 조사하였다. 각 규조류의 단독 먹이 실험구, 3종의 혼합 먹이 실험구 및 먹이를 공급하지 않은 대조구로 구분하여 사육하였다. 유생의 부착률은 C. californica와 Rhaphoneis sp.에서 48시간째에 80-82%로 가장 높았고, C. schroederi의 최고 부착률은 96시간째에 67%로 상대적으로 늦고 낮은 경향을 보였다. 변태율도 C. schroederi는 6일째 37%로 C. californica와 Rhaphoneis sp.의 45-49%에 비하여 낮고 느린 결과를 보였다. 혼합 먹이 실험구는 단독 먹이 실험구에 비하여 낮은 부착률과 변태율을 보였다. 변태 후 10일째 C. californica와 Rhaphoneis sp.는 각각 69%와 61%의 높은 유생 생존율을 보였고, 일간 각장 성장은 각각 33.7 ${\mu}m$과 32.5 ${\mu}m$로 C. schroederi의 29.0 ${\mu}m$, 혼합 먹이 실험구의 21.8 ${\mu}m$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따라서 북방전복 초기 유생 사육을 위한 최적 규조류는 C. californica, Rhaphoneis sp., C. schroederi의 순으로, 이들 규조를 단독으로 공급하는 것이 혼합하여 공급하는 것보다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본 실험은 북방전복 초기 유생단계의 결과이므로 차후 치패를 대상으로 한 장기간의 먹이효율 조사가 필요하다.

프루텔고치벌(Cotesia plutellae) 유래 폴리드나바이러스의 비자연 기주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에 대한 발육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Cotesia plutellae Bracovirus (CpBV) on Development of a Non-natural Host, Spodoptera exigua)

  • 김용균;김지원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17-223
    • /
    • 2004
  • 폴리드나바이러스는 일부 내부기생봉의 공생 바이러스로서 기생봉 기생과정중 피기생자의 면역억제와 발육지연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프루텔고치벌(Cotesia plutellae)유래 브라코바이러스(CpBV)는 피기생자의 발육을 교란시키는 주요 원인자로서 작용하는 폴리드나바이러스의 일종이다. 본 연구는 이 CpBV가 비자연기주에게도 발육교란을 유발할 수 있는 지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프루텔고치별에 의해 기생되지 않는 비기주인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을 이용하였다. 이용된 CpBV는 프루델고치벌 난소받침(calyx)추출물에서 얻었다. 이 추출물은 CpBV항체에 대해서 뚜렷한 항원-항체반응성으로 CpBV 보유가 입증되었다. 고치벌 암컷 한 마리 CpBV 추출물을 후기 4령의 파밤나방 혈강내로 주입시켰다. CpBV 주입된 파밤나방 유충은 유충기간이 연장되고, 체중증가 가 억제되며, 궁극적으로 변태가 억제되었다. 이러한 CpBV의 발육억제 효과는 이 바이러스의 항체를 함께 주입하여 줌으로 해소되었다. 여기서 항체 단독으로는 파방나방 유충 발육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 결과는 CpBV가 공생 기생봉의 비기주체에 대해서 발육교란 효과를 줄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3차원 레이저 스케닝 시스템을 이용한 댐체의 3차원 형상구현 (3D Shape Embodiment of Dam using the 3D Laser Scanning System)

  • 손호웅;윤부열;박동일;표기원
    • 지구물리
    • /
    • 제9권4호
    • /
    • pp.377-386
    • /
    • 2006
  • 인류의 문명과 토목은 불가분의 관계를 갖고 있다. 고도의 산업화 사회로 발전하면서 제한된 지형적인 여건에 따라 다양한 대형 구조물이 형성되고 있다. 그러나 대형 구조물은 인간 생활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국가 시설이지만 침하 붕괴 등 예상하지 못한 재해가 발생할 수 있다. 현재 활용되고 있는 상대적 변위측정 시스템은 전체적인 변형량을 해석하기 어려운 실태이며 설계 허용 범위내에서 구조물의 변형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알 수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약13년 된 필댐을 대상체로 하여 3D Laser Scanning을 이용하여 흙댐의 3차원 공간좌표를 가지는 측점군(point-cloud)을 생성하여 대상체 표면상의 수많은 3차원 공간좌표(x,y,z)를 얻는 방법으로서 실제 댐 사면과 동일한 사면형상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이것은 3차원 공간상의 모델링이 형성되며, 이 자료로부터 댐 사면의 거리, 면적과 체적 등을 측정하여 댐체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댐체의 배부름(bulging)현상을 미연에 발견하여 유지관리의 중요 자료원으로 활용 할 수 있도록 한다.

  • PDF

Macrobrachium rosenbergi (De Maan)의 초기유생의 성장 및 수온과 변태와의 관계 (DEVELOPMENT, GROWTH, AND RELATIONSHIP BETWEEN TEMPERATURE AND METAMORPHOSIS RATE OF THE EARLIER LARVAE ON MACROBRACHIUM ROSENBERGI (DE MAAN))

  • 권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52-62
    • /
    • 1974
  • 1. 수조내에서 순화된 친가에서 부화시킨 유생을 실험실내에서 수온 $27.5\~28.7^{\circ}C$, 염분 $6.58-7.05\%_{\circ}$Cl. pH $8.0\~8.2$, 조도 3000lux, 여과수양 $0.3{\ell}/min$의 조건하에서 먹이로는 Artemia salina nauplius를 참여하여 사육하였다. 2. 갓 부화된 zoea 유생의 체장은 1.92mm이며 제1 post-larva는 7.69mm로써 11영기의 zoea기에서 제1 post-larva로 변태하며 상기 조건하에서는 35일이 소요되며 제11 영기에서 제1 post-larva로 변태할 때 복절의 길이가 줄어들고 굵어진다. 3. 갓 부화된 유생의 제3 복절의 배면에 출현하는 3개의 색소포와 미절의 기부에 나타나는 1개의 색소포는 Palaemonidae속 새로운 분류지표로 중요하다. 4. 유생의 제6 영기 부터 개체변이체인 "숙성이"가 출현하며 동일 영기개체군에서 형태적으로 뛰어나게 크다. 5. 유생의 전발생영기를 통하여 특히 "숙성이"가 출현하기 쉬운 단계가 있는 것 같으며 이것은 제6영기와 제10영기인 것 같다. 이 현상은 체장의 변동폭의 넓이와 관계가 크며 이것은 섭이요인이 가장 크게 작용하는 것같다. 6. 유생의 발생도중 완전한 skipping 현상이 나타나는 것처럼 여겨졌으나, 영기별 각 부속기관의 형태적인 특징을 비교관찰한 결과, 어느 영기가 완전히 skipping하는 것은 아닌 것 같다. 7. "숙성이"의 부속기관을 비교검토한 결과, 한영기에서 다음 영기로 분화발생할 때 각 기관의 분화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어떤 연관성을 가지며 각 기관마다 개별적인 분화발생속도를 유지하며 분화의 동시성은 볼 수 없는 것 같다.

  • PDF

TV 만화와 아동 과학 도서에 의한 진화의 오개념 분석 (Analysis of Mis-conceptualizations regarding Evolution Originating from TV Animation and Science Books for Children)

  • 하민수;차희영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5권4호
    • /
    • pp.352-362
    • /
    • 2006
  • 학생들의 개념이 정규 교육 과정에서 배우기 이전의 경험에 의해 선개념이 형성하게 되며 선개념중 오개념들은 과학적 개념을 습득하는 것을 방해한다. 생물학에서 중요한 진화 개념은 특히 오개념이 많은 개념 중 하나이다. 진화에 대한 오개념의 형성 과정에서 TV만화와 아동 과학 도서의 영향이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분석해 보았다. TV 만화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TV 만화 속에 등장하는 캐릭터를 활용하여 검사지를 제작하고 초등학생 146명, 중학생 161명, 고등학생 156명에겐 투입하여 분석하고 아동 과학 도서는 16권의 책을 수집하여 진화적 설명이 어떤 형태로 되어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아동은 TV 만화 속에서 진화라고 부르는 '성장', '변태' 과정을 진화로 알고 있었다. 그리고 진화의 의미로 '자라면서 변하는 것'의 응답이 매우 높았으며 이는 TV 만화의 영향을 해석된다. 일부 아동 과학 도서에서는 돌연변이, 자연 선택과 같은 개념을 포함시킨 도서도 있었지만 대부분의 아동 과학 도서에서는 진화적 설명으로 목적론적 설명, 내부 의지적 설명, 용불용설적 설명의 형태를 많이 사용하였다. 이는 진화 개념에서 학생들이 많은 오개념을 가지게 된 이유로 TV 만화와 아동 과학 도서 등을 통하여 유입된 잘못된 개념이 원인일 수 있다는 주장을 뒷받침한다. 그리고 TV 만화와 아동 과학 도서에 대한 검정 과정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해준다.

  • PDF

꿀벌부채명나방 뇌신경분비세포의 변태에 따른 변화 (Metamorphic Changes of the Neurosecretory Cells in the Brains of Wax Moth Gafferfa mellonella during Metamorphosis)

  • 이봉희;강성훈;김민영;김우갑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20-133
    • /
    • 1989
  • 꿀벌부채명나방의 후기유충, 전용, 유충 직후용, 4일용, 성충2일전용, 성체에서 뇌를 적출하여 paraidehyde-fuchsin으로 분비활성 신경분비세포만을 염색하여 이 세포들의 분포, 수, 분비물질의 특성등이 변태시기에 따라 변화하는 것으로 추적하였다. 위의 6변태단계 뇌의 뇌간부, 전뇌측부, 시엽근역부, 중뇌, 후뇌에서 4형의 신경분비세포가 동정되었다. 뇌간부에 있는 medial neurosecretory cell은 6변태시기 뇌에서 3-7개이며, 제I형 신경분비세포는 1개를 가지고 있는 성충2일전용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3개씩 관찰되었다. 전뇌측부에서 관찰되는 lateral neurosecretory cell은 용기와 성충기에서 1-5개가 관찰되었으며 제IV형 신경분비세포가 가장 많았다. 시엽근역부에 분포하는 Optic-lobe neurosecretory cell은 4일용에서만 1개가 관찰되었고 제I형 신경분비세포로 확인되었다. 중뇌에서 관찰되는 deuto cerebral neurosecretory cell은 성충에서만 1개가 관찰되었으며 이 세포는 제II형 신경분비세포이었다. 뇌에 있는 tritocerebral neurosecretory cell은 후기유충과 성충에서 3개와 1개가 각각 관찰되었으며 이 세포중 제I형 신경분비세포는 관찰되지 않았다.

  • PDF

붉은멍게(Halocynthia aurantium)의 배발생과 변태 (Embryonic Development and Metamorphosis of the Ascidian Halocynthia aurantium)

  • 김길중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58-63
    • /
    • 2020
  • 척삭동물문에 속하는 붉은멍게(Halocynthia aurantium)는 우렁쉥이와 같이 유용한 양식 품종으로 사료되지만, 발생과 생태 등 생물학적 특성에 대해 잘 알려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붉은멍게 양식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강원도 동해 연안에 서식하는 붉은멍게의 배발생을 조사하여 근연종인 우렁쉥이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붉은멍게의 수정부터 난할기, 낭배기, 신경배기의 배아 및 올챙이형 유생의 발달 단계 및 형태가 우렁쉥이와 매우 유사하였다. 붉은멍게의 수정란은 수온 11℃에서 부화까지 약 42.1시간이 소요되어 우렁쉥이의 40.9시간과 거의 유사하였다. 부화 후 어린개체로 변태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도 두 종 사이에서 매우 유사하였다. 수온 11℃에서 부화한 두 종의 유생은 모두 약 23일이 경과해서 입수공과 출수공이 명확하게 구분되는 어린개체로 발생하였다. 수온 변화에 따른 발생 속도는 저온에서 느렸고 고온에서 빠른 결과를 나타냈다. 붉은멍게의 경우는 9℃에서 부화까지 평균 62.3시간, 11℃에서 42.1시간, 13℃에서 36.3시간이 소요되었다. 우렁쉥이의 경우는 평균 60.4시간, 40.9시간, 35.2시간이 소요되었다. 붉은멍게 배아의 대부분은 수온 15℃ 이상에서 정상적으로 발생이 이루어지지 않아 종묘생산 과정에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Ecdysteroid agonist tebufenozide가 담수산 깔다구류에 미친 영향 (Effects of the Ecdysteroid Agonist Tebufenozide on Freshwater Chironomids)

  • 곽인실;이원철
    • 생태와환경
    • /
    • 제37권1호통권106호
    • /
    • pp.96-101
    • /
    • 2004
  • non-steroidal ecdysteroid 길항물질인 tebufenozide를 사용하여 C. flaviplumus와 C. riparius에 끼친 영향을 실내실험 하였다. 정적인 실험조건 하에서 깔따구류를 다양한 농도로 처리하였다 대부분의 실험에서 비처리군과 처리군은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tebufenozide의 농도가 높을수록 치사율은 증가되었으며 이는 탈피과정 또는 변태과정과 연관되었다. 30 ${\mu}g\;L^{-1}$ 이상의 고농도 처리에서 C. riparius의 유충 치사율은 C. flaviplumus보다 높았다. 발생적인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농도인 10 ${\mu}g\;L^{-1}$처리 하에서 성장지연이 보였다. 본 연구에서 탈피를 통하여 성충이 된 비율은 농도처리와 노출된 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콜하스와 츄미의 라 빌레뜨 공원 계획안 비교 분석 - 드로잉에 나타난 점, 선, 면의 구성과 작동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Parc de la Villette Project by Tshumi and Koolhaas - By Investigating the Actions of Points, Lines, and Surfaces in their Drawings -)

  • 김인성
    • 건축역사연구
    • /
    • 제20권4호
    • /
    • pp.115-134
    • /
    • 2011
  • International Competition for Parc de la Villette has evoked the old architectural question that is about the conflict between unchanging architecture and ever changing time. Tschumi and Koolhaas suggested well-known solutions for it, both of which had started from the criticism of general urban design approach that ignored changing factors in time. However, this study argues that the approaches of Tschumi and Koolhaas are even opposite to each other in spite of their common aims. Influenced by deconstructivists' theories, Tschumi tries to generate the 'text' on the surface of la Villette so that the different users of the park can read it differently. The text is built by 'superimposing' different systems such as points, lines, and surfaces. This study criticizes such formalistic approach since such 'forms' do not generate any dialogue with the real users but just stay as a backdrop for irrelevant events. Meanwhile, Koolhaas concentrates on the 'ground-ness' of la Villette. What he deals with is the real ground which embraces all the potentials on it already. His 'bands' express nothing but the metamorphosis of the ground, and the ground generates the 'differences' out of itself by repeating itself ceaselessly. This study tries to clarify all those happenings and meanings by intimate investigation of various drawing works for the la Villette project by Tschumi and Koolhaas.